6·13지방선거가 한달 앞으로 다가옴에 따라 각당은 속속 후보를 결정하고, 본격적인 지방선거체제로 들어간다.
양당과 대선 후보들은 모두 수도권 및 영남권을 승부처로 보고 역량을 집중, 사활을 건 대접전을 벌일 전망이다. 그 결과에 따라 정계개편과 12월 대선구도에 일대 파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 정계개편의 강도 결정 = 한나라당은 13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새 대표를 선출하는대로 후속 당직개편을 단행하고 지방선거대책위를 구성할 예정이다. 민주당도 한화갑 대표를 위원장으로, 김원길 사무총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지방선거대책위를 발족시킬 계획이다.
민주당은 6·13 지방선거에 대비, 권역별 선대위를 구성하지 않되 영남권에 한해 권역 선대위를 별도로 설치, 총력전을 펼치기로 했다. 이는 부산시장 선거를 비롯해 영남권 지방선거에서 선전하는 게 12월 대선승리의 지름길이라는 판단에 따라 노무현 후보를 중심으로 영남권을 적극 공략하기 위한 것이다.
한나라당과 이회창 후보는 대통령 아들 비리 등 현 정부의 권력형 비리를 집중 공격하면서 노 후보를 ‘DJ정권의 적자’로 규정하고 ‘부패정권 교체론’에 총력을 기울이는 동시에 노 후보의 정계개편을 인위적 정계개편으로 몰아붙여 차단한다는 전략이다.
민주당과 노 후보는 이번 대선을 ‘서민 대 특권층’ ‘개혁 대 수구’의 싸움으로 규정하고 정책구도의 정계개편을 통한 정치지형의 대변화를 역설할 것으로 계획이다. 특히 YS와의 연대를 통한 부산시장 선거공략이 무산됨에 따라 독자적인 힘으로 돌파해야할 부산시장선거결과가 노 후보의 앞날을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 최대승부처 서울 경기 부산 = 한나라당과 민주당 후보가 박빙의 접전을 벌이고 있는 서울과 경기, ‘영남권의 이-노 대리전’이 되고 있는 부산시장선거가 최대의 승부처다.
수도권에는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각각 개성이 분명한 후보들을 내세워 일전을 겨루고 있다. 현재 각종 여론조사 결과 오차범위내에 있어 박빙의 승부가 예고되고 있다. 서울에선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와 민주당 김민석 후보, 경기에선 지사 선거 재수에 나선 한나라당 손학규 후보와 경제 부총리를 지낸 진 념 후보가 대결을 벌이고 있다. 인천에선 안상수 박상은 후보가 격돌하고 있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최대 승부처로 떠오른 부산에선 한나라당 안상영 현 시장에게 김영삼 정부에서 경제수석비서관을 지낸 민주당 한이헌 후보가 ‘노풍(盧風)’을 지원세력으로 삼아 도전장을 던졌다. 두 사람의 승부는 곧 이회창-노무현 후보간 사활을 건 대리전이다.
울산에선 이 지역에서 강세인 노동세력을 기반으로 변호사인 민주노동당 송철호 후보와 한나라당 박맹우 후보가 양자대결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부산과 함께 한나라당의 영남독식 정치구도를 깰 것인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충청권은 한나라당과 자민련의 지역맹주 쟁탈전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대전시장의 경우 자민련 후보인 홍선기 현 시장에 맞서 한나라당 염홍철 후보와 민주당 정하용 후보가 도전장을 냈다. 충남에선 자민련 심대평 현 지사를 상대로 한나라당 박태권 후보, 충북에선 자민련에서 한나라당으로 이적한 이원종 현지사에 맞서 자민련 구천서 후보가 도전한다.
민주당은 영토확장을 노리는 한나라당의 공세를 자민련이 저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측면에서 후보를 내지않을 것으로 보인다.
강원에선 한나라당 김진선 지사와 민주당 남동우 후보가 맞붙고, 제주에선 민주당 우근민 현 지사와 한나라당 신구범 후보가 전현직 지사 대결을 벌이고 있다.
영남과 호남은 여전히 지역구도가 맹위를 떨칠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은 텃밭인 대구, 경북, 경남 지사후보로 조해녕, 이의근, 김혁규 후보를 각각 공천했으나 민주당은 아직 후보를 확정하지 못했다. 반면 민주당은 이의제기가 접수된 광주를 제외하고 전남, 전북에 강현욱 박태영 후보를 확정했으나 한나라당은 마땅한 인물을 찾지 못하고 있다.
양당과 대선 후보들은 모두 수도권 및 영남권을 승부처로 보고 역량을 집중, 사활을 건 대접전을 벌일 전망이다. 그 결과에 따라 정계개편과 12월 대선구도에 일대 파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 정계개편의 강도 결정 = 한나라당은 13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새 대표를 선출하는대로 후속 당직개편을 단행하고 지방선거대책위를 구성할 예정이다. 민주당도 한화갑 대표를 위원장으로, 김원길 사무총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지방선거대책위를 발족시킬 계획이다.
민주당은 6·13 지방선거에 대비, 권역별 선대위를 구성하지 않되 영남권에 한해 권역 선대위를 별도로 설치, 총력전을 펼치기로 했다. 이는 부산시장 선거를 비롯해 영남권 지방선거에서 선전하는 게 12월 대선승리의 지름길이라는 판단에 따라 노무현 후보를 중심으로 영남권을 적극 공략하기 위한 것이다.
한나라당과 이회창 후보는 대통령 아들 비리 등 현 정부의 권력형 비리를 집중 공격하면서 노 후보를 ‘DJ정권의 적자’로 규정하고 ‘부패정권 교체론’에 총력을 기울이는 동시에 노 후보의 정계개편을 인위적 정계개편으로 몰아붙여 차단한다는 전략이다.
민주당과 노 후보는 이번 대선을 ‘서민 대 특권층’ ‘개혁 대 수구’의 싸움으로 규정하고 정책구도의 정계개편을 통한 정치지형의 대변화를 역설할 것으로 계획이다. 특히 YS와의 연대를 통한 부산시장 선거공략이 무산됨에 따라 독자적인 힘으로 돌파해야할 부산시장선거결과가 노 후보의 앞날을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 최대승부처 서울 경기 부산 = 한나라당과 민주당 후보가 박빙의 접전을 벌이고 있는 서울과 경기, ‘영남권의 이-노 대리전’이 되고 있는 부산시장선거가 최대의 승부처다.
수도권에는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각각 개성이 분명한 후보들을 내세워 일전을 겨루고 있다. 현재 각종 여론조사 결과 오차범위내에 있어 박빙의 승부가 예고되고 있다. 서울에선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와 민주당 김민석 후보, 경기에선 지사 선거 재수에 나선 한나라당 손학규 후보와 경제 부총리를 지낸 진 념 후보가 대결을 벌이고 있다. 인천에선 안상수 박상은 후보가 격돌하고 있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최대 승부처로 떠오른 부산에선 한나라당 안상영 현 시장에게 김영삼 정부에서 경제수석비서관을 지낸 민주당 한이헌 후보가 ‘노풍(盧風)’을 지원세력으로 삼아 도전장을 던졌다. 두 사람의 승부는 곧 이회창-노무현 후보간 사활을 건 대리전이다.
울산에선 이 지역에서 강세인 노동세력을 기반으로 변호사인 민주노동당 송철호 후보와 한나라당 박맹우 후보가 양자대결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부산과 함께 한나라당의 영남독식 정치구도를 깰 것인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충청권은 한나라당과 자민련의 지역맹주 쟁탈전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대전시장의 경우 자민련 후보인 홍선기 현 시장에 맞서 한나라당 염홍철 후보와 민주당 정하용 후보가 도전장을 냈다. 충남에선 자민련 심대평 현 지사를 상대로 한나라당 박태권 후보, 충북에선 자민련에서 한나라당으로 이적한 이원종 현지사에 맞서 자민련 구천서 후보가 도전한다.
민주당은 영토확장을 노리는 한나라당의 공세를 자민련이 저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측면에서 후보를 내지않을 것으로 보인다.
강원에선 한나라당 김진선 지사와 민주당 남동우 후보가 맞붙고, 제주에선 민주당 우근민 현 지사와 한나라당 신구범 후보가 전현직 지사 대결을 벌이고 있다.
영남과 호남은 여전히 지역구도가 맹위를 떨칠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은 텃밭인 대구, 경북, 경남 지사후보로 조해녕, 이의근, 김혁규 후보를 각각 공천했으나 민주당은 아직 후보를 확정하지 못했다. 반면 민주당은 이의제기가 접수된 광주를 제외하고 전남, 전북에 강현욱 박태영 후보를 확정했으나 한나라당은 마땅한 인물을 찾지 못하고 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