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빠른 속도로 노무현 후보중심체제로 전환한다.
민주당은 24일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정치부패가 나올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 등 현단계에서 제기되는 정치개혁과제를 맡을 개혁추진기구 설치를 결정했다. 전날 의원워크숍에서 쏟아져나온 의원들의 개혁요구를 수용하는 한편, 강도높은 정치개혁을 통해 민주당의 개혁정당화, 이를 통한 현재의 부패비리정국 타개를 노리는 노무현 후보의 요구를 뒷받침하는 것이다.
전날 한화갑 대표는 “6·13지방선거 이후 곧바로 대선체제로 전환해 후보중심으로 선대위를 꾸릴 것”이라며 “이렇게 되면 노무현당이 된다”고 노 후보 우위 당체제를 선언했다.
◇ 노무현과 당 일치 한목소리 = 23일 민주당 의원워크숍에서는 백가쟁명식의 다양한 정국진단과 해법이 쏟아졌지만 당을 노 후보 중심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데는 한목소리였다.
일각에서는 ‘당정분리 유예’를 주장하는 등 후보에게 힘을 실어줘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또 노 후보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대선기획단 구성, 노 후보를 위한 정책개발 등 노 후보 중심의 당-후보간 관계설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쏟아져나왔다.
이호웅 의원은 “노 후보가 당정분리 원칙에 따라 당무 불개입을 천명했으나 그건 대통령이 된 뒤의 얘기지 후보로선 다르다”며 “노 후보와 당이 일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상수 의원도 “노 후보는 당의 후보인 만큼 당무쇄신 등에 적극 역할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김경재 의원은 “당정분리는 대통령이 된 후 하는 것”이라며 “후보를 과거 총재처럼 모셔야 하고, 후보는 1주일에 한번은 최고위원회의에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재정 의원은 “노 후보와 최고위원회의가 단합된 모습을 보여줘 후보와 당의 관계가 유기적 구조가 돼야 한다”며 “대선기획단을 조기발족시켜 기획단을 통해 노 후보를 당과 의원들이 지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채정 의원도 “당정분리는 합당하나 이는 당선후의 일”이라며 “선거를 앞두고 당과 후보는 단단히 결합돼야 한다”면서 대선기획단의 조기발족을 요구했다.
이와는 별도로 당내 정책통들은 ‘노무현식’ 정책개발에 나설 것을 제안했다. 강운태 의원은 “‘노무현다운’ 정책을 개발,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를 정책으로 제압해야 한다”면서 지역통합과 계층통합, 세대통합을 3대 정책방향으로 제시했다.
김효석 제2정조위원장은 경제분야 분임토의 내용을 소개하면서 “이번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과의 정책 차별성을 활용해야 한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며 법인세 인하와 재벌규제완화를 주장하는 한나라당을 재벌당으로 규정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얼굴 익히기에서 역할 나누기로 = 이같은 주장에 대해 노 후보는 이날 “지금의 시스템은 기존의 시각에서 보면 생소하겠지만 후보로서 문제를 느끼지않는다”고 당정분리원칙을 지켜가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노 후보는 “후보는 국정개혁이나 국정과제에 대한 생각을 가다듬고 준비해 나가고, 당은 정치개혁에 앞장서고 조직을 잘 정비해 양대 선거와 정치의 구심으로서 준비를 해야한다”고 역할을 나누었다.
24일 최고위원회의의 개혁기구 구성은 이같은 노 후보의 뜻이 반영된 것이어서 역할을 통한 후보와 당간 관계정립에 들어섰음을 보여줬다.
노 후보는 23일 의원워크숍에서 “후보 비서실이 완성 안됐지만 의원 각각에게 두세가지 역할을 맡기겠다”고 말했다. 노 의원이 그간 의원들을 상대로 얼굴 익히기와 거리감 좁히기에 주력해왔다면 이제부터 ‘일을 함께 하는 단계’로 전환하겠다는 뜻을 시사한 것이다.
이같은 노 후보의 행보는 ‘오랜 뜸들이기’에 이은 의원들의 ‘자발적 요구에 따르는’ 형식을 취한 것이다. 기존의 줄세우기나 세력화와는 다른 접근법으로, 당정분리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나타난 노 후보의 정치적 리더십을 보여주고 있다는 게 당내 일각의 평가다.
민주당은 24일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정치부패가 나올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 등 현단계에서 제기되는 정치개혁과제를 맡을 개혁추진기구 설치를 결정했다. 전날 의원워크숍에서 쏟아져나온 의원들의 개혁요구를 수용하는 한편, 강도높은 정치개혁을 통해 민주당의 개혁정당화, 이를 통한 현재의 부패비리정국 타개를 노리는 노무현 후보의 요구를 뒷받침하는 것이다.
전날 한화갑 대표는 “6·13지방선거 이후 곧바로 대선체제로 전환해 후보중심으로 선대위를 꾸릴 것”이라며 “이렇게 되면 노무현당이 된다”고 노 후보 우위 당체제를 선언했다.
◇ 노무현과 당 일치 한목소리 = 23일 민주당 의원워크숍에서는 백가쟁명식의 다양한 정국진단과 해법이 쏟아졌지만 당을 노 후보 중심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데는 한목소리였다.
일각에서는 ‘당정분리 유예’를 주장하는 등 후보에게 힘을 실어줘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또 노 후보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대선기획단 구성, 노 후보를 위한 정책개발 등 노 후보 중심의 당-후보간 관계설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쏟아져나왔다.
이호웅 의원은 “노 후보가 당정분리 원칙에 따라 당무 불개입을 천명했으나 그건 대통령이 된 뒤의 얘기지 후보로선 다르다”며 “노 후보와 당이 일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상수 의원도 “노 후보는 당의 후보인 만큼 당무쇄신 등에 적극 역할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김경재 의원은 “당정분리는 대통령이 된 후 하는 것”이라며 “후보를 과거 총재처럼 모셔야 하고, 후보는 1주일에 한번은 최고위원회의에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재정 의원은 “노 후보와 최고위원회의가 단합된 모습을 보여줘 후보와 당의 관계가 유기적 구조가 돼야 한다”며 “대선기획단을 조기발족시켜 기획단을 통해 노 후보를 당과 의원들이 지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채정 의원도 “당정분리는 합당하나 이는 당선후의 일”이라며 “선거를 앞두고 당과 후보는 단단히 결합돼야 한다”면서 대선기획단의 조기발족을 요구했다.
이와는 별도로 당내 정책통들은 ‘노무현식’ 정책개발에 나설 것을 제안했다. 강운태 의원은 “‘노무현다운’ 정책을 개발,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를 정책으로 제압해야 한다”면서 지역통합과 계층통합, 세대통합을 3대 정책방향으로 제시했다.
김효석 제2정조위원장은 경제분야 분임토의 내용을 소개하면서 “이번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과의 정책 차별성을 활용해야 한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며 법인세 인하와 재벌규제완화를 주장하는 한나라당을 재벌당으로 규정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얼굴 익히기에서 역할 나누기로 = 이같은 주장에 대해 노 후보는 이날 “지금의 시스템은 기존의 시각에서 보면 생소하겠지만 후보로서 문제를 느끼지않는다”고 당정분리원칙을 지켜가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노 후보는 “후보는 국정개혁이나 국정과제에 대한 생각을 가다듬고 준비해 나가고, 당은 정치개혁에 앞장서고 조직을 잘 정비해 양대 선거와 정치의 구심으로서 준비를 해야한다”고 역할을 나누었다.
24일 최고위원회의의 개혁기구 구성은 이같은 노 후보의 뜻이 반영된 것이어서 역할을 통한 후보와 당간 관계정립에 들어섰음을 보여줬다.
노 후보는 23일 의원워크숍에서 “후보 비서실이 완성 안됐지만 의원 각각에게 두세가지 역할을 맡기겠다”고 말했다. 노 의원이 그간 의원들을 상대로 얼굴 익히기와 거리감 좁히기에 주력해왔다면 이제부터 ‘일을 함께 하는 단계’로 전환하겠다는 뜻을 시사한 것이다.
이같은 노 후보의 행보는 ‘오랜 뜸들이기’에 이은 의원들의 ‘자발적 요구에 따르는’ 형식을 취한 것이다. 기존의 줄세우기나 세력화와는 다른 접근법으로, 당정분리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나타난 노 후보의 정치적 리더십을 보여주고 있다는 게 당내 일각의 평가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