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정목초등학교(교장 서진숙) 4학년 3반 담임 박미진 교사와 28명의 학급 학생들은 지난 10월 17일 창의적 학급활동으로 완성한 UCC ‘토의·토론은 즐거워’를 서울교육 희망메시지 공모전에 출품해 대상을 수상했다. 평소 즐겨하는 학습활동인 토의·토론을 노래로 만들고 학생들이 손수 그린 작품을 넣어 UCC로 제작했다. UCC는 토의토론의 방법과 함께 하는 토의토론이 재미있고 즐거운 활동이라는 내용으로 구성됐다.
토의토론 방법과 장점 가사로 만들어
서울정목초 4학년 3반 학생들이 ‘토의·토론은 즐거워’ UCC를 만들게 된 건 학급회의는 물론 수업 시간에도 토의토론을 즐겨하기 때문이다. 박미진 담임교사는 “토의토론을 어떻게 하면 잘할 수 있을까 생각하다 1년 동안 수업에 활용한 것을 UCC로 만들게 됐다”고 설명한다.
‘토의·토론은 즐거워’ UCC는 ‘네모의 꿈’이란 곡에 맞춰 가사를 썼다. 어떤 가사를 쓸지 고민하다 학급의 모든 아이들이 낸 안건 중에서 장점만 골라 곡을 완성했다. 가사의 주요 내용은 토의토론을 하는 방법과 장점 등을 선별한 것이다.
UCC 배경화면은 28명의 학급생 전원이 토의토론을 잘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오랫동안 연구하고 고민한 것을 그림으로 직접 그렸다. 각자의 역할도 회의와 의견 조율을 통해 자율적으로 분담했다.
UCC 만들기 위한 역할분담도 자율적으로
1년 동안 준비했지만 이렇게 큰 상을 받을 줄은 몰랐다. 문혁준군은 “상을 받으려고 대회에 나간 건 아니었다. 녹음한 노래의 목소리도 이상하게 들리고 그림도 이상해 보이는데 대상을 받으니 더 이상했다”고 고백한다. 박세영양은 “대상을 받은 것도 기쁜데 엄마가 UCC 동영상을 보고 잘 만들었다고 칭찬해주면서 내가 그린 그림에 대해 물어보고 잘 그렸다고 격려해주어 기분이 더 좋았다”고 전한다. 이정우군은 “UCC를 만들기 위해 역할분담을 하면서 친구들과 친해질 수 있는 기회가 됐고 좋은 추억이 됐다”고 말했다.
토의토론을 1년 동안 수업에 활용하면서 아이들은 토의토론에 대한 각자 나름의 정의를 내린다. 박예원양은 “토의토론은 친구들 간의 의견을 듣고 자신의 의견을 이야기하면서 가까워질 수 있는 행동”이라 말한다. 김강희양은 “생각을 나눈 후에 마음도 공유하고 반박하면서 머리도 좋아진다”고 설명한다.
가정에서는 가족회의로 이어져
학교에서 배운 토의토론은 학교에서만 끝나는 게 아니었다. 집에서 엄마와 아빠와 함께 가족회의로도 이어진다. 함승우군은 “가족끼리 모여 이야기할 때 엄마에게 용돈을 올려야 하는 이유에 대해 정확하게 근거를 제시했더니 용돈을 정말 올려주었다”며 “토의토론을 이렇게 활용하게 될 줄 몰랐다”며 웃는다.
최황록군은 “예전에는 집에서 엄마 말을 잘 듣지 않고 짜증을 냈는데 토의토론을 배우고 나서 엄마와 소통이 잘 된다”며 “엄마 말을 귀담아들으니 엄마가 더 좋아한다”고 말한다. 이조운군은 “친구나 동생에게 말할 때 중간에 말을 자르지 않고 다 듣고 동의할 것인지 반박을 할 것인지 결정한다”며 “다 듣고 있기가 힘들지만 참는 연습도 필요하다”고 덧붙인다.
구가영양은 “전교어린이회에서 운영하는 회의에 참여할 때 소통, 공감, 참여를 같이할 수 있어 토의 토론 수업이 도움이 됐다”며 “어려운 자리지만 회의를 잘 이끌 수 있었고 선생님께 칭찬도 받았다”고 강조한다.
이제 4학년 3반 친구들은 수업 시간뿐 아니라 학급회의 시간에 더 열띤 토론을 한다. 친구의 말을 끝까지 잘 경청하고 반박할 근거를 제시하면서 학급 분위기는 더 좋아졌다. 특히 학급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문제는 친구들의 의견을 수렴해 학급 토론을 거쳐 결정하면서 더불어 사는 공동체의 원리를 배우게 됐다.
미니 인터뷰
김서연 학생“발표할 때 자신감 생겼어요”
“UCC 동영상을 만들 때 우리 반 교실을 그리고 친구들의 말을 경청하고 있는 모습을 그림으로 그렸어요. 같이 그림을 그린 친구랑 사이도 좋아졌고 토의토론을 하면서 설득력이 좋아졌어요. 발표할 때 자신감이 생긴 것 같아요.”
유예은 학생
“아빠 설득해서 애완동물 샀어요”
“아빠가 애완동물을 안 사주셨어요. 토의토론을 배우고 나서 논리적으로 설득하는 방법을 연구한 다음 아빠에게 혼자 있어서 외롭다며 같이 옆에 있으면 좋은 애완동물을 사달라고 설득했어요. 그랬더니 아빠가 애완동물을 사주셨어요.”
구창림 학생
“친구의 말 끝까지 들으려고 해요”
“토의토론은 공감, 협력, 참여하는 것이라 배웠습니다. 평소 친구와 이야기할 때 짜증을 많이 내고 말을 중간에 자르고 끼어들었는데 토의토론을 배운 후에는 친구와 공감하려고 애쓰고 친구의 말을 끝까지 잘 듣고 소통하려고 합니다.”
홍지원 학생
“엄마 말에 끼어들지 않아 덜 혼나요”
“엄마랑 대화할 때 중간에 끼어들어서 혼이 난 적이 많았는데 토의토론을 배우고 난 후부터는 끼어들기를 안 해서 혼이 덜 나요. 친구들과 이야기할 때도 끝까지 들으려고 참고 기다립니다. 말을 끝까지 듣는 좋은 습관이 생겼어요.”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