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학년도는 수학 과목에 있어서, 특히 이과 학생들에게는 수능 역사상 가장 많은 변화가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문과 학생들이 대부분 선택하는 수학-나형의 경우 직접출제 범위가 수학II, 미적I, 확률과 통계로 큰 변화가 있지는 않지만, 이과 학생들이 대부분 선택하는 수학-가형 직접출제 범위가 미적분II, 확률과 통계, 기하와 벡터로 이전에 비해 많이 줄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 수능과 같은 형태인 2017학년도 수능 수학을 분석하여 2018학년도 수능 수학을 대비해야 할 것이다.
2017학년도 수능 수학 분석
2018학년도 수능 수학과 같은 출제범위의 수능 수학은 2017학년도 수능 수학 뿐 이므로 이를 철저히 분석 할 필요가 있다.
*2017학년도 수학-가형 난이도
난이도 | 최상 | 상 | 중상 | 중 | 중하 | 하 | 합계 |
미적분II | 1 | 1 | 1 | 4 | 5 | 12 | |
확률과 통계 | 1 | 1 | 2 | 5 | 9 | ||
기하와 벡터 | 1 | 2 | 2 | 4 | 9 | ||
합계 | 2 | 2 | 4 | 8 | 9 | 30 |
수학-가형의 경우 위 표와 같이 미적분II가 문항수도 가장 많고, 난이도도 높다는 걸 알수 있다. 상위권 학생들은 1등급과 만점을 목표로 킬러 문제에 대비해야 하므로, 최근 기출문제와 같이 킬러 문제가 나오는 단원인, 미적분II에서 미분의 도함수 활용과, 적분의 정적분. 기하와 벡터에서 공간도형. 공간벡터에 대한 심화 공부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2017학년도 수학-나형 난이도
난이도 | 최상 | 상 | 중상 | 중 | 중하 | 하 | 합계 |
수학 II | 1 | 4 | 6 | 11 | |||
미적분 I | 1 | 2 | 3 | 4 | 1 | 11 | |
확률과 통계 | 2 | 1 | 3 | 2 | 8 | ||
합계 | 1 | 3 | 2 | 4 | 11 | 8 | 30 |
수학-나형의 경우 위 표와 같이 미적분I이 문항수도 많고, 난이도도 높다는 걸 알 수 있다.
상위권 학생들은 1등급과 만점을 목표로 킬러 문제에 대비해야 하므로, 미적분I에서 다항함수 미분법의 도함수 활용과, 다항함수의 적분법에서 정적분 단원에 대한 심화 공부가 병행되어야 할 것 이다. 최근 기출문제 30번의 경우 지수.로그함수의 정수 격자점 세는 문제가 나왔었는데, 지수.로그함수가 수학-나형에서 제외 되어 수학 II에서 정수 격자점 세기 문제가 21번으로 나왔고, 30번은 미분에서 나왔으므로 수학-나형의 최상위 킬러 문제가 다시 미적분으로 바뀌었으니 최근 기출문제 이전의 미분.적분 킬러 문제를 찾아봐야 할 것이다.
중위권 학생들의 경우 킬러 문제 3~4문제를 제외하고는 중이하의 난이도가 대부분이므로 기본 개념과 공식들에 대한 부분을 탄탄히 다져서 킬러 문제를 제외하고 우선 다 맞출 수 있는 능력부터 배양 하는 것이 중요하다. 4문제를 제외하면 84점이고 여기서 한 문제정도만 더 맞추면 2등급도 바라 볼 수 있는 점수가 되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어느 단원 어떤 문제 형태가 나왔는지 등등 지면 관계상 다 쓰지 못하니 꼭 스스로 분석해 보고, 본인의 부족한 점과 더 집중적으로 공부해야 할 단원 등을 찾아서 학습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EBS연계 교재 효율적으로 공부
중위권 학생들의 경우 시판되는 고3교재 중에서는 EBS연계 교재가 그나마 나은 편이어서 전부 풀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라 할 수 있지만, 상위권 학생들의 경우 문제를 선별해서 풀 필요가 있다. EBS에서는 연계율이 70%라 말하고 있지만, 필자가 매년 분석해본 바로는 수학의 경우 체감 연계율을 30~40%에 머물고 난이도도 중 이하의 난이도만 연계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연계에 의미를 두기 보다는 수학을 공부한다는 생각으로 EBS연계 교재 문제 중 난이도가 높은 문제들 위주로 20%~30% 정도만 풀고, 최상위 문제는 미분.적분과 공간도형.공간벡터 위주로 풀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기출문제를 최우선으로 공부
고3 교재 대부분은 그 바탕을 기출문제로 하고 있다. EBS교재도 마찬가지 이다. 기출문제를 풀어 봤다면, 유사문제를 풀어 보는 것이 좋은데, 학생 혼자 공부하는 경우라면 유사문제를 구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시중교재에 유사문제라 할 만큼 질 좋은 문제가 많이 들어 있는 경우가 드물어 시중교재를 산 후 양질의 문제를 골라서 풀어야 하는데, 학생이 그렇게 하기에는 물리적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근 5개년간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반복적으로 풀어보는 것이 좋은데, 단순히 문제를 풀어내는 것 뿐 만아니라, 출제의도 파악과 출제이유. 문제 속에 숨어 있는 개념까지 완벽히 이해해서 자기 것으로 소화 시켜야 할 것이다. 이런 과정을 거쳐야 변형문제와 신유형이 나오더라도 자신감을 가지고 만점에 도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위에서도 언급 했지만 2018학년도와 완벽히 같은 형태는 2017학년도 이므로 2017학년도 수능.평가원 기출문제는 자이스토리등 문제집 말고, 원본형태를 EBS나 평가원등에서 다운받아 직접 풀어보고 분석하는 수고를 반드시 해봐야 할 것이다
목동 PGA학원 고3 수학
은한표 대표강사
문의 02-2644-1658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