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숙자 보호시설인 서울 영등포구 소재 ‘자유의 집’ 부지의 매각을 둘러싸고 서울시와 방림 간에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17일 서울시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공시지가보다 보다 비싼 감정가에 서울시가 이 부지를 사겠다는 의사를 방림 측에 전달했으나 이 회사가 집과사람에 서둘러 매각했다”며 “관련 예산을 확보 집과사람에 땅을 다시 사겠다고 제안했으나 거절당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방림이 집과사람에 이 땅을 공시지가보다 싸게 팔았는데 정말 이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방림은 “회사 경영난으로 땅을 빨리 팔 수 밖에 없었다”며 “서울시가 자유의 집을 완전히 철수하지 않은 상태에서 매수자가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부담(리스크)이 있기 때문에 싸게 팔았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방림은 집과사람에 이 땅을 95억원에 매각했다. 이곳의 1㎡당 공시지가는 143만원으로 6682㎡에 이르는 부지의 총 공시가는 95억5526만원에 이른다.
서울시 관계자는 “여기에 건물에 대한 공시가 12억원을 합치면 부동산의 총 공시가격이 107억원에 달한다”고 말했다. 시행사에 땅을 헐값으로 팔았다는 것이다.
또 매각 결정 과정에서 회사내부에서조차 “싸게 파는 것보다 별도의 시행사나 사업부를 만들면 큰 수익을 올릴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됐지만 경영진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방림과 집과사람의 관계에 ‘뭔가 있지 않느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서울 등 수도권에 공장 부지를 많이 소유했던 다양한 업종의 기업들이 주택사업부를 만들거나 시행 자회사를 설립해 부동산 매각 수익은 물론 개발이익까지 챙겨온 것과 크게 대조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방림 측은 “경영진의 보수적 성격이 신규 사업보다는 바로 현금이 들어오는 부지매각으로 방향을 잡았던 것”이라고 해명했다.
한편 이 땅을 95억원에 매입한 집과사람은 소유권이전 등기가 완료된 3월 29일 바로 이 부동산을 담보로 모 상호저축은행에 90억원의 근저당을 설정, 대출을 받은 사실이 등기상 확인됐다. 이 자금이 부동산 매입에 쓰였을 경우 최하 수억원으로 100억대의 부동산을 매입한 셈이 된다.
이와 관련 진위를 확인하기 위해 집과사람 측에 수차례 취재 요청을 했으나 응하지 않았다.
17일 서울시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공시지가보다 보다 비싼 감정가에 서울시가 이 부지를 사겠다는 의사를 방림 측에 전달했으나 이 회사가 집과사람에 서둘러 매각했다”며 “관련 예산을 확보 집과사람에 땅을 다시 사겠다고 제안했으나 거절당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방림이 집과사람에 이 땅을 공시지가보다 싸게 팔았는데 정말 이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방림은 “회사 경영난으로 땅을 빨리 팔 수 밖에 없었다”며 “서울시가 자유의 집을 완전히 철수하지 않은 상태에서 매수자가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부담(리스크)이 있기 때문에 싸게 팔았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방림은 집과사람에 이 땅을 95억원에 매각했다. 이곳의 1㎡당 공시지가는 143만원으로 6682㎡에 이르는 부지의 총 공시가는 95억5526만원에 이른다.
서울시 관계자는 “여기에 건물에 대한 공시가 12억원을 합치면 부동산의 총 공시가격이 107억원에 달한다”고 말했다. 시행사에 땅을 헐값으로 팔았다는 것이다.
또 매각 결정 과정에서 회사내부에서조차 “싸게 파는 것보다 별도의 시행사나 사업부를 만들면 큰 수익을 올릴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됐지만 경영진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방림과 집과사람의 관계에 ‘뭔가 있지 않느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서울 등 수도권에 공장 부지를 많이 소유했던 다양한 업종의 기업들이 주택사업부를 만들거나 시행 자회사를 설립해 부동산 매각 수익은 물론 개발이익까지 챙겨온 것과 크게 대조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방림 측은 “경영진의 보수적 성격이 신규 사업보다는 바로 현금이 들어오는 부지매각으로 방향을 잡았던 것”이라고 해명했다.
한편 이 땅을 95억원에 매입한 집과사람은 소유권이전 등기가 완료된 3월 29일 바로 이 부동산을 담보로 모 상호저축은행에 90억원의 근저당을 설정, 대출을 받은 사실이 등기상 확인됐다. 이 자금이 부동산 매입에 쓰였을 경우 최하 수억원으로 100억대의 부동산을 매입한 셈이 된다.
이와 관련 진위를 확인하기 위해 집과사람 측에 수차례 취재 요청을 했으나 응하지 않았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