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달 28일 검찰과 경찰이 ‘의정부 여중생 사망관련 미군규탄대회’를 취재 중이던 인터넷신문 ‘민중의 소리’ 기자 2명을 미군부대 철책선을 넘어 들어갔다는 이유로 구속영장까지 청구하는 등 강경하게 대응한 배경에 미군측의 강력한 요구가 있었던 것으로 뒤늦게 드러났다.
또 검찰은 한유진(31), 이정미(31) 두 기자가 시위대와 함께 철책선을 절단하고 미군기지에 진입했다며 구속영장을 청구했으나 이튿날 법원이 “피의자들이 주도적·계획적으로 미군 기지내로 진입했다고 볼 수 없다”며 기각, 미군의 강경대응 요청에 따라 검·경이 무리하게 법 적용을 했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규탄대회 뒤 두차례 대책회의=1일 경기도 제2청 등에 따르면 규탄대회 직후인 27일과 28일 미군측 대표단과 우리측 관계기관이 참여한 가운데 대책회의를 가졌으며 이 자리에서 미군측은 “영내에 침입한 기자 2명을 처벌할 것”을 강력히 요청했다.
관계기관 대책회의에는 미군측에서 참모장인 골드 대령 등이 참석했으며 한국측에서는 경기2청 행정2부지사와 관련 공무원을 포함, 한국 25사단장과 1군단 간부, 경찰 관계자가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2청 관계자는 “미군측은 과실을 전혀 인정하지 않은 채 기자 2명의 처벌을 강력히 요구했으며 한국측은 공정한 조사와 재발방지책 마련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한씨 등의 변호를 맡고 있는 이덕우 변호사는 “두 사람이 연행되던 26일 밤 의정부경찰서 측은 ‘간단한 진술서만 받은 뒤 내일(27일) 석방될 것’이라고 말했으나 다음날 오후부터 갑자기 분위기가 돌변했다”며 “경찰 관계자로부터 상부의 방침이 바뀐 것 같다는 말을 들었다”고 밝혀 이같은 주장을 뒷받침했다.
◇하루만에 석방방침 번복=검찰과 경찰이 무리한 수사 끝에 구속영장이 기각되자 대책위와 시민단체는 미군측에 저자세로 일관하고 있는 정부대응에 대한 비판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미군범죄근절운동본부 관계자는 “‘(사고 당시 미군측의)과실은 없었으며 두 기자를 한국경찰이 연행했다’며 거짓말을 일삼고 있는 미군측에 대해서는 공식항의 한번 제대로 못하면서 시위대에 떠밀려 미군영내로 들어간 기자에게 구속영장까지 청구하면서 과잉대응하는 정부가 어느 나라 정부인지 의심이 갈 정도”라며 비판했다.
/ 성홍식·의정부 김성배 기자 hssung@naeil.com
또 검찰은 한유진(31), 이정미(31) 두 기자가 시위대와 함께 철책선을 절단하고 미군기지에 진입했다며 구속영장을 청구했으나 이튿날 법원이 “피의자들이 주도적·계획적으로 미군 기지내로 진입했다고 볼 수 없다”며 기각, 미군의 강경대응 요청에 따라 검·경이 무리하게 법 적용을 했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규탄대회 뒤 두차례 대책회의=1일 경기도 제2청 등에 따르면 규탄대회 직후인 27일과 28일 미군측 대표단과 우리측 관계기관이 참여한 가운데 대책회의를 가졌으며 이 자리에서 미군측은 “영내에 침입한 기자 2명을 처벌할 것”을 강력히 요청했다.
관계기관 대책회의에는 미군측에서 참모장인 골드 대령 등이 참석했으며 한국측에서는 경기2청 행정2부지사와 관련 공무원을 포함, 한국 25사단장과 1군단 간부, 경찰 관계자가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2청 관계자는 “미군측은 과실을 전혀 인정하지 않은 채 기자 2명의 처벌을 강력히 요구했으며 한국측은 공정한 조사와 재발방지책 마련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한씨 등의 변호를 맡고 있는 이덕우 변호사는 “두 사람이 연행되던 26일 밤 의정부경찰서 측은 ‘간단한 진술서만 받은 뒤 내일(27일) 석방될 것’이라고 말했으나 다음날 오후부터 갑자기 분위기가 돌변했다”며 “경찰 관계자로부터 상부의 방침이 바뀐 것 같다는 말을 들었다”고 밝혀 이같은 주장을 뒷받침했다.
◇하루만에 석방방침 번복=검찰과 경찰이 무리한 수사 끝에 구속영장이 기각되자 대책위와 시민단체는 미군측에 저자세로 일관하고 있는 정부대응에 대한 비판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미군범죄근절운동본부 관계자는 “‘(사고 당시 미군측의)과실은 없었으며 두 기자를 한국경찰이 연행했다’며 거짓말을 일삼고 있는 미군측에 대해서는 공식항의 한번 제대로 못하면서 시위대에 떠밀려 미군영내로 들어간 기자에게 구속영장까지 청구하면서 과잉대응하는 정부가 어느 나라 정부인지 의심이 갈 정도”라며 비판했다.
/ 성홍식·의정부 김성배 기자 hssu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