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등 2025년 1학기 중간고사가 어느 정도 마무리되었다. 결과가 만족스러운 학생도 있고, 아쉬운 학생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지난 시험에 대한 성찰을 통해 성숙된 모습으로 기말고사를 준비해야 할 때이다. 과거를 뒤로 하고 앞으로 나아갈 전략을 세워 보도록 하자.
첫째, 오답 체크하기 : 문제를 틀린 이유를 분석해 보자. 개념을 정확히 이해를 못 했다면 오개념 정리를 해야 할 것이고, 개념을 이해했는데 문제 적용력이 부족해서 정확히 풀지 못했다면 문제 풀이 연습을 통해 이를 극복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시간 부족으로 문제를 틀렸다면 사전에 시간을 정해 놓고 문제를 푸는 실전 대비 연습을 해야 한다. 꼼꼼히 오답 원인을 분석하여 다음 시험에는 반복된 실수를 하지 않도록 하자.
둘째, 시험 준비 과정 체크하기 : 시험 준비 기간이 적당했는지, 시험 대비 계획에 맞게 실행을 했는지, 시험 당일 컨디션 조절은 했는지를 점검해 보자. 시험 준비 기간을 어느 정도로 해야 적당한지를 생각해 보고, 이전 시험 대비 계획보다 꼼꼼하게 시간표를 짜고 이를 착실히 수행하도록 하자. 준비를 다해 놓고 컨디션 난조로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할 수 있으니 건강 관리 및 멘탈 관리도 해야 한다. 다음 기말고사를 위해 꼭 체크한 결과를 기록해 두도록 하자.
셋째, 기말 대비 개념 익히기 : 오답 체크도 하고 시험 준비 과정도 체크하였다면 기말 대비 새로운 개념을 숙지하도록 하자. 암기보다는 이해 위주로 스스로 묻고 답하면서 개념 확인을 하고 관련 자료를 찾아보며 심화학습을 하도록 하자. 교과 내용 관련 독서를 하면 더 좋다. 용어 익히기, 개념 정리하기, 심화 학습하기를 통해 기말 대비를 천천히 준비해 보자. 통합과학은 수능 필수과목이므로 1학기 중간고사 범위의 부족한 개념을 꼭 정리해 두도록 하자.
중간고사보다 기말고사는 범위도 넓고 내용도 어려우므로 지금부터 준비해야 한다. 수행평가 및 교내 활동을 열심히 하면서도 1학기 기말고사 준비는 조금씩이라도 해야 한다고 생각하길 바란다. 한 학기가 끝나는 시점에 중간고사 성적, 수행평가 결과, 기말고사 성적이 합산되어 성적표에 기재되고, 교내 활동도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되므로 매순간 최선을 다해 임하도록 하자. 방향을 정하고 전략을 세웠으면, 꾸준히 실행하여야 한다. 그리고 그 결과는 내가 원하는 모습일 것임을 명심하자!
안쌤의 쉬운 과탐 학원 안수빈 원장
문의 02-537-0517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