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 복원 추진위원회를 구성, 청계천 복원을 위한 여론수렴과 계획수립에 착수한 서울시가 이번에는 시청앞 시민광장 추진위원회(가칭)를 구성하기로 해 시민광장 조성사업을 본격화하기 위한 실무작업에 들어간다.
그러나 반대의견도 워낙 첨예한데다 경찰까지 난색을 표명하는 등 사업의 타당성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내기가 쉽지 않을 전망이어서 조성사업 추진이 순탄치만은 않을 전망이다.
서울시는 내주중 학계 전문가와 시민단체 대표 등 20인 이내로 자문기구 성격의 ‘시민광장 추진위원회(가칭)’를 발족할 방침이라고 28일 밝혔다.
추진위원회는 시청앞 광장 추진 전반에 대한 자문과 함께 공청회 개최 등을 통해 여론을 수렴하고 이를 계획에 반영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이는 시가 의견수렴 과정 없이 성급하게 시청앞 광장 조성사업을 추진한다는 반대여론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따라서 완공시기도 당초 계획인 오는 10월에서 다소 늦춰질 전망이다.
그러나 지난 25일 관련 토론회에서도 견해차를 좁히지 못했듯 반대의견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가 가장 큰 관건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백남철 선임연구원은 25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시청앞 시민광장 조성에 관한 토론회’에서 “단순한 도로체계 개선만으로는 교통지체 문제를 시청 외곽으로 이동시키는 결과만 가져올 것”이라고 밝혔다.
걷고싶은 도시만들기 시민연대 강병기 대표도 이날 토론회에서 “시청앞 시민광장 조성문제는 일방적으로 성급히 추진해서는 부작용만 초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경찰 등 일부에서는 이 일대의 하루 교통량이 10만∼15만에 이르는 데다 이곳이 시내 교통의 중심지이기 때문에 광장조성이 자칫하면 시청앞 교통정체는 물론 시내 전체의 교통난 가중 등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반대의견도 워낙 첨예한데다 경찰까지 난색을 표명하는 등 사업의 타당성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내기가 쉽지 않을 전망이어서 조성사업 추진이 순탄치만은 않을 전망이다.
서울시는 내주중 학계 전문가와 시민단체 대표 등 20인 이내로 자문기구 성격의 ‘시민광장 추진위원회(가칭)’를 발족할 방침이라고 28일 밝혔다.
추진위원회는 시청앞 광장 추진 전반에 대한 자문과 함께 공청회 개최 등을 통해 여론을 수렴하고 이를 계획에 반영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이는 시가 의견수렴 과정 없이 성급하게 시청앞 광장 조성사업을 추진한다는 반대여론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따라서 완공시기도 당초 계획인 오는 10월에서 다소 늦춰질 전망이다.
그러나 지난 25일 관련 토론회에서도 견해차를 좁히지 못했듯 반대의견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가 가장 큰 관건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백남철 선임연구원은 25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시청앞 시민광장 조성에 관한 토론회’에서 “단순한 도로체계 개선만으로는 교통지체 문제를 시청 외곽으로 이동시키는 결과만 가져올 것”이라고 밝혔다.
걷고싶은 도시만들기 시민연대 강병기 대표도 이날 토론회에서 “시청앞 시민광장 조성문제는 일방적으로 성급히 추진해서는 부작용만 초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경찰 등 일부에서는 이 일대의 하루 교통량이 10만∼15만에 이르는 데다 이곳이 시내 교통의 중심지이기 때문에 광장조성이 자칫하면 시청앞 교통정체는 물론 시내 전체의 교통난 가중 등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