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삶의 터전을 문화·예술·역사가 살아있는 마을로 만들어야 할 때다.”
문화관광부는 문화의 세기, 세계화 시대를 맞아 우리의 정체성 확립이 중요하다고 보고, 민간이 자발적으로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우리문화·역사마을 만들기’ 국민운동을 추진하겠다고 24일 밝혔다.
김성재 문화부 장관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갖고 “우리 문화와 역사를 되살리지 않으면 문화·역사가 있는 중심국가의 위치에 설 수 없다”면서 “지역주민과 민간단체가 자발적으로 우리 민족 5000년 문화·역사 복원운동에 참여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지역단위별로 문화예술과 향토사학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민간 차원의 추진협의체 구성·운영하고, 시·군·구 단위로 공모제를 통해 우수지역사업을 선정·지원키로 했다.
재원은 민관이 분담하되, 지역주민·향토기업·향우회 등이 사업을 발굴해 자체 자금으로 추진한 뒤 문화부 쪽에 사업지원을 신청하면, 타당성 확인작업을 거친 후 국고나 기금 또는 공익자금 등을 활용해 지원할 계획이다.
문화부는 사업심사를 위해 지원심사위원회와 자문위원회를 구성키로 했다.
‘우리문화·역사마을 만들기’ 사업은 점차 전국으로 확대하게 되는데, 올해엔 기초조사연구 및 기획사업과 시범사업(10개 지역 선정)을 실시하며, 내년엔 32개 지역, 2004년 90개 지역, 2005년 100개 지역으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시범사업 선정을 위해 10월부터 대상사업 신청접수와 심의를 하고, 11월부터 구체적으로 시행될 방침이다.
김 장관은 이와 관련 “이번 사업 추진으로 그간 지엽적·산발적·개별적으로 추진돼 왔던 각종 문화·역사 복원사업이 구체적인 계획과 방향에 따라 실행될 수 있게 됐다”며 “민간 주도로 체계적인 문화예술운동이 확산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문화부는 경남 합천군 덕곡면에서 일고 있는 ‘오광대 문화마을 조성’움직임이나 충남 강경읍에서 계획중인 ‘강경 전통 맛깔젓 축제’ 등이 시범사업 대상으로 선정될 수 있다고 밝혔다.
문화관광부는 문화의 세기, 세계화 시대를 맞아 우리의 정체성 확립이 중요하다고 보고, 민간이 자발적으로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우리문화·역사마을 만들기’ 국민운동을 추진하겠다고 24일 밝혔다.
김성재 문화부 장관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갖고 “우리 문화와 역사를 되살리지 않으면 문화·역사가 있는 중심국가의 위치에 설 수 없다”면서 “지역주민과 민간단체가 자발적으로 우리 민족 5000년 문화·역사 복원운동에 참여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지역단위별로 문화예술과 향토사학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민간 차원의 추진협의체 구성·운영하고, 시·군·구 단위로 공모제를 통해 우수지역사업을 선정·지원키로 했다.
재원은 민관이 분담하되, 지역주민·향토기업·향우회 등이 사업을 발굴해 자체 자금으로 추진한 뒤 문화부 쪽에 사업지원을 신청하면, 타당성 확인작업을 거친 후 국고나 기금 또는 공익자금 등을 활용해 지원할 계획이다.
문화부는 사업심사를 위해 지원심사위원회와 자문위원회를 구성키로 했다.
‘우리문화·역사마을 만들기’ 사업은 점차 전국으로 확대하게 되는데, 올해엔 기초조사연구 및 기획사업과 시범사업(10개 지역 선정)을 실시하며, 내년엔 32개 지역, 2004년 90개 지역, 2005년 100개 지역으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시범사업 선정을 위해 10월부터 대상사업 신청접수와 심의를 하고, 11월부터 구체적으로 시행될 방침이다.
김 장관은 이와 관련 “이번 사업 추진으로 그간 지엽적·산발적·개별적으로 추진돼 왔던 각종 문화·역사 복원사업이 구체적인 계획과 방향에 따라 실행될 수 있게 됐다”며 “민간 주도로 체계적인 문화예술운동이 확산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문화부는 경남 합천군 덕곡면에서 일고 있는 ‘오광대 문화마을 조성’움직임이나 충남 강경읍에서 계획중인 ‘강경 전통 맛깔젓 축제’ 등이 시범사업 대상으로 선정될 수 있다고 밝혔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