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중 시중 자금이 은행권에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9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권 수신액은 추석을 맞아 민간에 돈이 많이 풀리면서 수시입출금식 예금을 중심으로 4조2609억원 증가했다.
반면 투신사는 기업의 추석 결제자금 인출 등으로 머니마켓펀트에서 8427억원, 주가하락으로 혼합형 펀드에서 1조1629억원 등 총 1조9900억원의 자금이 빠져나간 것으로 조사됐다. 또 은행의 금전신탁도 만기도래 자금규모가 커지면서 9069억원이 유출된 것으로 집계됐다.
한은은 주식시장이 침체를 겪고 있는데다 부동산가격도 상승세가 둔화되면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시중자금이 단기상품을 중심으로 은행에 유입됐다고 분석했다.
총유동성(M3) 증가율은 지난 5월 13.7%를 정점으로 6월과 7월 각각 13.5%와 13%를 기록한 데 이어 8월에도 12.4%에 그쳐 돈이 풀리는 속도가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액은 6조1461억원으로 8월 5조4372억원에 이어 다시 증가폭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대출도 은행의 대출확대 노력과 추석 등 계절적인 자금수요가 맞물려 3조6545억원 증가했다.
반면 대기업 대출은 기업의 현금사정이 양호한데다 분기말 부채비율 관리를 위해 기존 대출을 상환함에 따라 6493억원 줄었다.
회사채는 기업의 설비투자 부진을 반영, 4549억원이 순상환돼 상환기조가 이어졌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9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권 수신액은 추석을 맞아 민간에 돈이 많이 풀리면서 수시입출금식 예금을 중심으로 4조2609억원 증가했다.
반면 투신사는 기업의 추석 결제자금 인출 등으로 머니마켓펀트에서 8427억원, 주가하락으로 혼합형 펀드에서 1조1629억원 등 총 1조9900억원의 자금이 빠져나간 것으로 조사됐다. 또 은행의 금전신탁도 만기도래 자금규모가 커지면서 9069억원이 유출된 것으로 집계됐다.
한은은 주식시장이 침체를 겪고 있는데다 부동산가격도 상승세가 둔화되면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시중자금이 단기상품을 중심으로 은행에 유입됐다고 분석했다.
총유동성(M3) 증가율은 지난 5월 13.7%를 정점으로 6월과 7월 각각 13.5%와 13%를 기록한 데 이어 8월에도 12.4%에 그쳐 돈이 풀리는 속도가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액은 6조1461억원으로 8월 5조4372억원에 이어 다시 증가폭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대출도 은행의 대출확대 노력과 추석 등 계절적인 자금수요가 맞물려 3조6545억원 증가했다.
반면 대기업 대출은 기업의 현금사정이 양호한데다 분기말 부채비율 관리를 위해 기존 대출을 상환함에 따라 6493억원 줄었다.
회사채는 기업의 설비투자 부진을 반영, 4549억원이 순상환돼 상환기조가 이어졌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