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풍동 택지개발 사업의 토지보상 문제를 놓고 주민들이 주택공사 본사에서 항의집회를 개최하는 등 민원문제가 장기화되고 있다.
풍동택지개발 주민대책위는 중앙토지수용위의 재결 결과 인근 부동산 가액의 60%에 그치는 보상가가 책정돼 재산권 행사에 심각한 침해를 당했다고 26일 밝혔다.
풍동택지개발 사업지구는 지난 99년 7월 택지개발예정지구로 고시, 지역별 감정가를 산출했지만 지역별 감정가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나자, 새로운 주민대책위가 구성되는 등 3년여동안 주민들과 마찰을 일으켜 왔다.
특히 주민대책위는 사업주체인 주택공사의 이주·생계 대책이 같은 개발사업체인 토지공사보다 부실해 민원발생의 여지가 크다는 이색적인 주장을 제기했다.
주민대책위 박청구 위원장은 19일 성남시 주택공사 본사 앞에서 열린 집회에서 “각종 의혹이 끊이지 않는 풍동지구에 대해 보상가 문제를 포함해 종합적인 재조사 작업이 필요하다”며 “주택공사가 주민들의 이주대책 등에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어 문제가 해결될때까지 강경대응할 방침”이라고 주장했다.
고양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풍동택지개발 주민대책위는 중앙토지수용위의 재결 결과 인근 부동산 가액의 60%에 그치는 보상가가 책정돼 재산권 행사에 심각한 침해를 당했다고 26일 밝혔다.
풍동택지개발 사업지구는 지난 99년 7월 택지개발예정지구로 고시, 지역별 감정가를 산출했지만 지역별 감정가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나자, 새로운 주민대책위가 구성되는 등 3년여동안 주민들과 마찰을 일으켜 왔다.
특히 주민대책위는 사업주체인 주택공사의 이주·생계 대책이 같은 개발사업체인 토지공사보다 부실해 민원발생의 여지가 크다는 이색적인 주장을 제기했다.
주민대책위 박청구 위원장은 19일 성남시 주택공사 본사 앞에서 열린 집회에서 “각종 의혹이 끊이지 않는 풍동지구에 대해 보상가 문제를 포함해 종합적인 재조사 작업이 필요하다”며 “주택공사가 주민들의 이주대책 등에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어 문제가 해결될때까지 강경대응할 방침”이라고 주장했다.
고양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