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14일 경유자동차 대기오염 개선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정부와 시민단체, 자동차 전문가 등 모두 15명이 참여한 ‘경유차 환경위원회’를 구성했다고 밝혔다.
‘경유차 환경위원회’는 정부 3명, 시민단체 5명, 전문가 7명으로 구성됐으며 △에너지 가격체계와 연료품질 △레저용 차량과 트럭 등 제작차 기준 강화 △경유승용차 배출기준 조정 등 경유차 문제 전반에 대해 논의한 후 다음달 6일까지 ‘민·관 협의안’을 마련, 이를 경제장관간담회에 상정할 계획이다.
민관 협의안이 경제장관간담회에 상정되면 정부는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다음달 15일까지 방침을 결정하게 된다.
이에 앞서 경유차 환경위는 11일 김명자 환경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1차 회의를 열고 △제작차 배출가스 허용기준 강화와 제작·운행차 관리제도 개선방안 등 경유차 대기오염 저감 △에너지 가격체계 개선 △연료환경 품질 개선 등을 주요 의제로 정했다.
또 다음달 6일까지 4차례의 회의와 1차례의 공개토론회를 더 갖고 경유자동차로 인해 발생하는 대기오염을 현실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김 장관은 이날 회의에서 “경유차 문제는 현실적으로 여러 어려움이 있기는 하지만 국가와 사회, 국민을 위해 미룰 수 없는 과제인 만큼 전문가, 시민단체가 힘을 합쳐야 한다”며 “에너지 가격체계 개선, 연료 품질 개선, 경유차 전반에 관한 대기질 개선프로그램 등 세부사항을 논의하여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해달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 환경부와 시민단체, 전문가들은 “환경부의 입장을 우선 정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일방적인 결정이 나올 수 있는 위험성을 배제하기 위해 산업부와 업계의 입장을 수렴할 것”이라면서 “앞으로 2월 15일을 전후한 경제장관간담회를 통해 최종결정이 나오게 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경유차 환경위원회’는 정부 3명, 시민단체 5명, 전문가 7명으로 구성됐으며 △에너지 가격체계와 연료품질 △레저용 차량과 트럭 등 제작차 기준 강화 △경유승용차 배출기준 조정 등 경유차 문제 전반에 대해 논의한 후 다음달 6일까지 ‘민·관 협의안’을 마련, 이를 경제장관간담회에 상정할 계획이다.
민관 협의안이 경제장관간담회에 상정되면 정부는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다음달 15일까지 방침을 결정하게 된다.
이에 앞서 경유차 환경위는 11일 김명자 환경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1차 회의를 열고 △제작차 배출가스 허용기준 강화와 제작·운행차 관리제도 개선방안 등 경유차 대기오염 저감 △에너지 가격체계 개선 △연료환경 품질 개선 등을 주요 의제로 정했다.
또 다음달 6일까지 4차례의 회의와 1차례의 공개토론회를 더 갖고 경유자동차로 인해 발생하는 대기오염을 현실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김 장관은 이날 회의에서 “경유차 문제는 현실적으로 여러 어려움이 있기는 하지만 국가와 사회, 국민을 위해 미룰 수 없는 과제인 만큼 전문가, 시민단체가 힘을 합쳐야 한다”며 “에너지 가격체계 개선, 연료 품질 개선, 경유차 전반에 관한 대기질 개선프로그램 등 세부사항을 논의하여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해달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 환경부와 시민단체, 전문가들은 “환경부의 입장을 우선 정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일방적인 결정이 나올 수 있는 위험성을 배제하기 위해 산업부와 업계의 입장을 수렴할 것”이라면서 “앞으로 2월 15일을 전후한 경제장관간담회를 통해 최종결정이 나오게 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