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철도청이 수인선 전철 복선화사업과 관련 경기도 안산 시내구간의 지하화 가능성을 일부 인정했다. 또 수인전철 구간중 인천시 연수구 청학지구의 지하화에 대해 철도청과 인천시가 사전 합의한 것으로 밝혀지면서 수인전철 안산 시내구간의 지하화 가능성도 한층 높아졌다.
23일 민주당안산상록구지구당(위원장 김영환)과 ‘수인선 화물열차 도심통과 반대 시민대책위(이하 대책위)’ 등에 따르면 철도청은 최근 민주당 김영환 의원이 주최한 시민간담회에서 지하구간이 너무 짧아 지하화의 실익이 없다는 입장에 변화를 보였다.
김영환 의원은 이날 간담회에서 “지하 진입구배를 일반철도노선은 25‰(파밀리 1/1000단위), 지하철은 35‰까지 가능한데도 철도청이 13‰로 잡아 지하화구간이 1.8㎞에 불과, 투자비에 비해 실익이 적다고 주장해 왔다”며 “그러나 이는 진입구의 기울기 및 남측 진입구의 필요성에 대한 잘못된 판단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철도청 관계자들도 북측 진입구간의 축소가능성과 남측 진입구간이 필요없다는 점을 인정, 시내구간 지하화시 3㎞이상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김 의원은 “핀란드나 보스턴 등 선진국에서는 철도의 지하화 뿐만아니라 고속도로지하화, 나아가 대중교통을 지상에서 없앤다는 계획까지 추진하고 있다”며 “철도청이 안산시내구간 전철의 지하화에 소극적인 것은 크게 반성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안산시의회특위와 시민대책위 관계자들도 “철도청의 계획은 1990년대 초 수인철도 간선화 기초조사 이후 13년이 지난 만큼, 현재상황에 맞게 전면 재조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날 간담회 과정에서 철도청이 인천시와 연수구 청학지구 구간의 철도노선을 지하화하기로 했다는 합의내용이 밝혀지면서 도시 주택가를 가로지르는 안산시내구간의 지하화가 불가피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게 됐다.
23일 민주당안산상록구지구당(위원장 김영환)과 ‘수인선 화물열차 도심통과 반대 시민대책위(이하 대책위)’ 등에 따르면 철도청은 최근 민주당 김영환 의원이 주최한 시민간담회에서 지하구간이 너무 짧아 지하화의 실익이 없다는 입장에 변화를 보였다.
김영환 의원은 이날 간담회에서 “지하 진입구배를 일반철도노선은 25‰(파밀리 1/1000단위), 지하철은 35‰까지 가능한데도 철도청이 13‰로 잡아 지하화구간이 1.8㎞에 불과, 투자비에 비해 실익이 적다고 주장해 왔다”며 “그러나 이는 진입구의 기울기 및 남측 진입구의 필요성에 대한 잘못된 판단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철도청 관계자들도 북측 진입구간의 축소가능성과 남측 진입구간이 필요없다는 점을 인정, 시내구간 지하화시 3㎞이상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김 의원은 “핀란드나 보스턴 등 선진국에서는 철도의 지하화 뿐만아니라 고속도로지하화, 나아가 대중교통을 지상에서 없앤다는 계획까지 추진하고 있다”며 “철도청이 안산시내구간 전철의 지하화에 소극적인 것은 크게 반성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안산시의회특위와 시민대책위 관계자들도 “철도청의 계획은 1990년대 초 수인철도 간선화 기초조사 이후 13년이 지난 만큼, 현재상황에 맞게 전면 재조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날 간담회 과정에서 철도청이 인천시와 연수구 청학지구 구간의 철도노선을 지하화하기로 했다는 합의내용이 밝혀지면서 도시 주택가를 가로지르는 안산시내구간의 지하화가 불가피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게 됐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