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전력소비량이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월간 기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산업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1월 국내 전력소비량은 264억kWh로, 과거 월간 최대치였던 지난해 12월의 248억kWh보다 6.6% 증가했다. 이는 또 지난해 1월보다 8.5% 늘어난 수치다.
용도별로는 산업용이 전체 소비의 50.2%를 차지했고, 주택용 25.3%, 일반용 20.5%, 기타 4%였다.
하지만 주택용과 일반용이 지난해 1월보다 각각 11.4%, 12.0% 늘어났으며, 산업용은 평균 증가율에 미달하는 5.5% 증가에 그쳤다.
이같은 현상은 지난 1월 15일 하루 전력거래량이 9억3134만kWh에 달하는 등 1월에만 두차례 일일 전력거래량 역대 최고기록을 경신한 바 있어 어느정도 예견됐었다.
이와 관련 에너지시민연대는 논평을 통해 정부의 에너지정책의 일대 전환을 주장했다.
김태호 사무처장은 “전력소비량이 급증한 것은 난방에너지 소비가 증가한 탓도 있지만 심야전력제도를 방치한 것이 주 원인”이라며 “심야전력제도의 과감한 개선과 전력수요관리 목표치를 25%대(기존 6.4%)로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2일 산업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1월 국내 전력소비량은 264억kWh로, 과거 월간 최대치였던 지난해 12월의 248억kWh보다 6.6% 증가했다. 이는 또 지난해 1월보다 8.5% 늘어난 수치다.
용도별로는 산업용이 전체 소비의 50.2%를 차지했고, 주택용 25.3%, 일반용 20.5%, 기타 4%였다.
하지만 주택용과 일반용이 지난해 1월보다 각각 11.4%, 12.0% 늘어났으며, 산업용은 평균 증가율에 미달하는 5.5% 증가에 그쳤다.
이같은 현상은 지난 1월 15일 하루 전력거래량이 9억3134만kWh에 달하는 등 1월에만 두차례 일일 전력거래량 역대 최고기록을 경신한 바 있어 어느정도 예견됐었다.
이와 관련 에너지시민연대는 논평을 통해 정부의 에너지정책의 일대 전환을 주장했다.
김태호 사무처장은 “전력소비량이 급증한 것은 난방에너지 소비가 증가한 탓도 있지만 심야전력제도를 방치한 것이 주 원인”이라며 “심야전력제도의 과감한 개선과 전력수요관리 목표치를 25%대(기존 6.4%)로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