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교통부는 지난 4일 중앙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경기도 및 광주광역시 일원의 국민임대주택 건설부지 10개 지구(경기 9개, 광주 1개) 190만평의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임대주택에 대한 수요가 많은 도시 내부에 쓸 수 있는 택지가 이미 고갈된 상태에서 저소득층의 생활기반과 밀접한 도시주변의 개발제한구역을 제한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2002년 2월 건교부가 발표된 ‘국민임대주택단지 조성 계획’의 일환이다.
이번에 해제된 지구는 환경평가 결과 보전가치가 낮은 지역이 대부분이다. 또 지형구조상 부득이 포함된 일부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은 특수성을 감안해 주변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중저밀도의 환경친화적 주거단지로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있다.
건교부가 작년부터 개발제한구역내 국민임대주택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택지개발예정지구로 지정한 후,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추진하고 있는 지구는 수도권 11, 부산 2, 광주 1, 대구 1,울산 1개 지구 등 총 16개 지구 311만평이다.
이들 지구는 개발제한구역 해제 후, 금년 중 택지개발계획 및 실시계획 승인을 거쳐 주택건설에 착수하고, 2004년 상반기 중 주택분양을 실시해 2006년 하반기 중 입주가 이뤄지도록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임대주택에 대한 수요가 많은 도시 내부에 쓸 수 있는 택지가 이미 고갈된 상태에서 저소득층의 생활기반과 밀접한 도시주변의 개발제한구역을 제한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2002년 2월 건교부가 발표된 ‘국민임대주택단지 조성 계획’의 일환이다.
이번에 해제된 지구는 환경평가 결과 보전가치가 낮은 지역이 대부분이다. 또 지형구조상 부득이 포함된 일부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은 특수성을 감안해 주변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중저밀도의 환경친화적 주거단지로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있다.
건교부가 작년부터 개발제한구역내 국민임대주택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택지개발예정지구로 지정한 후,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추진하고 있는 지구는 수도권 11, 부산 2, 광주 1, 대구 1,울산 1개 지구 등 총 16개 지구 311만평이다.
이들 지구는 개발제한구역 해제 후, 금년 중 택지개발계획 및 실시계획 승인을 거쳐 주택건설에 착수하고, 2004년 상반기 중 주택분양을 실시해 2006년 하반기 중 입주가 이뤄지도록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