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시 교통문화 전국최고

교통안전공단 조사 … 영천시 꼴찌, 소도시로 갈수록 열악

지역내일 2002-12-06 (수정 2002-12-09 오전 11:52:50)
군포시가 교통사고 위험 및 운전자·보행자의 행태 등을 종합한 교통문화지수가 가장 높고 영천시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교통안전공단이 71개 시민단체와 공동으로 지난 6월부터 8월까지 전국 81개 시급이상 도시를 대상으로 교통문화지수를 조사한 결과다.
교통문화지수는 교통 관련 자치행정, 시설정비, 시민의식 등이 총체적으로 반영되는 현장의 교통문화수준과 안전상황이 반영되는 조사다.
조사결과 64개의 소도시들 중에서 30만 이상 도시는 평균 72.23인데 반해 15만 미만 도시의 평균은 69.55로 나타났다. 도시기반시설 및 재정이 부족한 소도시로 갈수록 열악한 상황으로 드러나 정부지원 등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위를 차지한 군포시는 차량 1만대당 교통사고 발생건수(87.1건)와 인구 10만명당 보행자 사망자수(335.9명)가 가장 낮았다. 1만대당 교통사고 사망자수도 2.1명으로 전국에서 3번째로 낮아 교통사고 최고 안전지대로 꼽혔다.
반면 영천시는 운전행태(24.42) 77위, 교통안전(20.25) 78위, 보행행태 및 교통환경(13.14) 81위로 모든 부문 최하위권으로 결국 교통문화지수가 전국 꼴찌를 기록했다.
교통안전 영역에서는 군포시에 이어 부천시(사망자 1.85명, 전국1위), 의왕 성남 광명시의 순으로 조사됐다.
가장 교통위험 도시는 나주시로 차량 1만대당 교통사고 발생건수 345.12건(전국79위), 1만대당 교통사고 사망자수 18.58명(전국80위), 10만명당 사상자 1551.24명(전국77위)으로 교통안전영역에서 최하위를 기록했다.
횡단보도정지선 준수율, 안전띠 착용률, 안전속도 준수율, 신호준수율, 방향지시 등 점등율로 조사한 운전행태 영역에서는 진해시가 횡단보도정지선 준수율 전국1위, 신호준수율 전국2위를 기록한 진해시가 차지했다. 수원시는 5가지 지표가 고루 좋지 않아 운전행태가 가장 좋지 못한 도시로 평가됐다. 이어서 광명시, 김포시, 속초시 순이다.
그 외 도로변이 가장 조용한 도시는 동해(65.78dB)이고 가장 시끄러운 도시는 서울(76.54dB)다. 도로변 불법주차는 과천시(0.1대/100m)가 가장 적고 김제시(9.1대/100m)가 가장 많았다. 교통안전시설 관리는 문경시(100%)가 가장 양호하고 김해시(33.3%)가 가장 불량했다. 보행자의 법규 준수는 강릉시가 가장 높았고, 천안시가 가장 낮았다
특히 수도권 도시들은 교통안전 영역에서는 최상위권에 속하는 경우(군포, 부천, 의왕, 성남, 광명, 안양, 수원, 서울)가 많았으나 운전행태 영역에서는 중하위권 점수에 머물렀다.
한편 군산과 공주는 교통문화지수 최하위권 평가에 경각심을 갖고 집중관리, 올해 대폭 개선되는 성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2001년 교통문화지수 최하위였던 공주시가 지난해 54.27에서 올해 67.85로 대폭 상승하여 소도시 중에서는 중위권에 근접하였고, 66.26점으로 30도시 중 28위였던 군산은 올해 73.76점으로 향상됐기 때문이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닫기
(주)내일엘엠씨(이하 '회사'라 함)은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 있으며, 지역내일 미디어 사이트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에 대한 귀하의 동의를 받고자 합니다. 내용을 자세히 읽으신 후 동의 여부를 결정하여 주십시오. [관련법령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제17조, 제22조, 제23조, 제24조] 회사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중요시하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회사가 이용자로부터 제공받은 개인정보를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1) 수집 방법
지역내일 미디어 기사제보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이용 목적
기사 제보 확인 및 운영

3) 수집 항목
필수 : 이름, 이메일 / 제보내용
선택 : 휴대폰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IP 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 기록, 방문 기록, 불량 이용 기록 등)

4) 보유 및 이용기간
① 회사는 정보주체에게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간이 경과하거나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이 달성된 경우 지체 없이 개인정보를 복구·재생 할 수 없도록 파기합니다. 다만, 다른 법률에 따라 개인정보를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간 동안 개인정보를 보존합니다.
② 처리목적에 따른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문의 등록일로부터 3개월

※ 관계 법령
이용자의 인터넷 로그 등 로그 기록 / 이용자의 접속자 추적 자료 : 3개월 (통신비밀보호법)

5) 수집 거부의 권리
귀하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수집 거부 시 문의하기 기능이 제한됩니다.
이름*
휴대폰
이메일*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