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 기업들이 품질관리의 필요성은 느끼고 있지만 정작 품질향상과 관련한 활동에는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품질관리에 대한‘10년 이상’의 장기계획을 가지고 있는 업체도 6.7%에 불과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서울소재 290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기업의 품질관리 실태 및 개선방안 조사’를 실시한 결과 기업들은 품질관리에 대해 78.5%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47.9%는 어떠한 품질 개선 활동도 하지 않는다고 답했고, 56.9%는 품질 인증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조사대상 기업의 25.8%가 품질관리를 담당하는 부서가 없었으며, 57.5%는 생산, 기획 등 관련 부서에서 품질관리를 담당하고 있었다. 반면 별도의 품질관리 전담 부서가 있는 업체는 16.7%에 그쳤다.
품질 개선 활동으로는‘개선제안 활동’(38.3%), ‘분임조 활동’(13.4%), ‘5S활동’(8.1%) 등을 시행하고 있었으며, 품질 개선 활동을 시행하지 않는 기업은 규모별로 대기업 20.9%, 중소기업 54.8%에 달했다.
한편 품질관리 전략 수립 기간에 있어서는 42.5%가 ‘2년 미만’의 단기계획 수립에 머물렀으며, ‘10년 이상’의 장기계획을 가지고 있는 업체는 6.7%에 불과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품질이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은 기업들도 알고 있지만, 품질 관련 전문 인력과 예산 확보의 어려움, 최고 경영자 및 임직원의 관심 부족 등으로 실제 활동에 있어서는 소극적”이라고 밝혔다.
이어 “선진국의 높은 기술력과 중국의 가격 경쟁력을 감안하면 국내기업의 품질향상 노력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서울소재 290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기업의 품질관리 실태 및 개선방안 조사’를 실시한 결과 기업들은 품질관리에 대해 78.5%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47.9%는 어떠한 품질 개선 활동도 하지 않는다고 답했고, 56.9%는 품질 인증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조사대상 기업의 25.8%가 품질관리를 담당하는 부서가 없었으며, 57.5%는 생산, 기획 등 관련 부서에서 품질관리를 담당하고 있었다. 반면 별도의 품질관리 전담 부서가 있는 업체는 16.7%에 그쳤다.
품질 개선 활동으로는‘개선제안 활동’(38.3%), ‘분임조 활동’(13.4%), ‘5S활동’(8.1%) 등을 시행하고 있었으며, 품질 개선 활동을 시행하지 않는 기업은 규모별로 대기업 20.9%, 중소기업 54.8%에 달했다.
한편 품질관리 전략 수립 기간에 있어서는 42.5%가 ‘2년 미만’의 단기계획 수립에 머물렀으며, ‘10년 이상’의 장기계획을 가지고 있는 업체는 6.7%에 불과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품질이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은 기업들도 알고 있지만, 품질 관련 전문 인력과 예산 확보의 어려움, 최고 경영자 및 임직원의 관심 부족 등으로 실제 활동에 있어서는 소극적”이라고 밝혔다.
이어 “선진국의 높은 기술력과 중국의 가격 경쟁력을 감안하면 국내기업의 품질향상 노력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