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부가 12일 발표한 ‘디지털홈’ 추진 계획은 세계적 수준으로 평가받는 정보통신 인프라를 바탕으로 새로운 산업을 육성하겠다는 취지다.
또 현재 전국 1000만 가구에 초고속인터넷이 보급됐고 3000만명의 이동전화 인구가 있으나, 아직 이 같은 정보통신 발전의 성과가 ‘디지털생활’ 실현이라는 질적 측면에선 미흡하다는 평가도 동시에 작용했다.
전문가들은 향후 IT 발전에 대해 통신·인터넷· 방송 등 디지털 기술이 융합되고, 언제 어디서나 기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이 구축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디지털TV 차세대PC 등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경제·사회활동이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IT생활화’가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통부는 이 같은 분석에 따라 이미 세계적 수준에 이른 ‘정보인프라’ ‘가전산업’ ‘사이버아파트’ 등을 기반으로 전세계적으로 초기단계인 디지털홈 구축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정통부의 계획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국민들은 정보화 혜택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고, IT산업은 새로운 수요와 부가가치를 만들어내 제2의 정보강국을 실현할 수 있을 전망이다.
실제로 세계적 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 자료에 따르면 디지털홈 관련 장비(유·무선 네트워크, 홈게이트웨이, 이동·고정단말, 정보가전 등)의 세계 시장은 지난해 509억달러에서 2007년엔 1183억달러로 연평균 18%씩 성장할 전망이다.
특히 홈게이트웨이(서버 포함)는 지난해 11억달러에서 2007년 124억달러로 매년 63%씩 고속 성장하는 유망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국내 업체들의 이 분야 산업에 대한 투자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적지 않은 숙제를 안고 있다.
현재 일부 고급아파트를 중심으로 원격제어 수준의 서비스는 제공중이나, 기존주택 등 일반 주거환경을 고려한 홈디지털 서비스 모델은 찾아볼 수 없다. 또 통신사업자와 서비스 연관업체 등의 유기적인 협조체제도 부족하다. 뿐만 아니라 저가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정통부는 디지털홈 구축 계획과 관련, 다양한 의견수렴을 위해 오는 14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덧붙였다.
정통부는 공청회에서 디지털홈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관심과 확산을 유도하기 위해, 가전기기 원격제어, 양방향 TV 등 다양한 홈디지털서비스를 시연하고 국내 기업에서 개발한 홈네트워크용 첨단제품들을 전시할 계획이다.
정통부는 이번 공청회에서 제기된 다양한 의견들을 수렴하여, 이달 중으로 ‘디지털홈 구축계획''을 확정 시행할 계획이다.
또 현재 전국 1000만 가구에 초고속인터넷이 보급됐고 3000만명의 이동전화 인구가 있으나, 아직 이 같은 정보통신 발전의 성과가 ‘디지털생활’ 실현이라는 질적 측면에선 미흡하다는 평가도 동시에 작용했다.
전문가들은 향후 IT 발전에 대해 통신·인터넷· 방송 등 디지털 기술이 융합되고, 언제 어디서나 기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이 구축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디지털TV 차세대PC 등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경제·사회활동이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IT생활화’가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통부는 이 같은 분석에 따라 이미 세계적 수준에 이른 ‘정보인프라’ ‘가전산업’ ‘사이버아파트’ 등을 기반으로 전세계적으로 초기단계인 디지털홈 구축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정통부의 계획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국민들은 정보화 혜택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고, IT산업은 새로운 수요와 부가가치를 만들어내 제2의 정보강국을 실현할 수 있을 전망이다.
실제로 세계적 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 자료에 따르면 디지털홈 관련 장비(유·무선 네트워크, 홈게이트웨이, 이동·고정단말, 정보가전 등)의 세계 시장은 지난해 509억달러에서 2007년엔 1183억달러로 연평균 18%씩 성장할 전망이다.
특히 홈게이트웨이(서버 포함)는 지난해 11억달러에서 2007년 124억달러로 매년 63%씩 고속 성장하는 유망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국내 업체들의 이 분야 산업에 대한 투자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적지 않은 숙제를 안고 있다.
현재 일부 고급아파트를 중심으로 원격제어 수준의 서비스는 제공중이나, 기존주택 등 일반 주거환경을 고려한 홈디지털 서비스 모델은 찾아볼 수 없다. 또 통신사업자와 서비스 연관업체 등의 유기적인 협조체제도 부족하다. 뿐만 아니라 저가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정통부는 디지털홈 구축 계획과 관련, 다양한 의견수렴을 위해 오는 14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덧붙였다.
정통부는 공청회에서 디지털홈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관심과 확산을 유도하기 위해, 가전기기 원격제어, 양방향 TV 등 다양한 홈디지털서비스를 시연하고 국내 기업에서 개발한 홈네트워크용 첨단제품들을 전시할 계획이다.
정통부는 이번 공청회에서 제기된 다양한 의견들을 수렴하여, 이달 중으로 ‘디지털홈 구축계획''을 확정 시행할 계획이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