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패: 첫회동하는 최병렬 정대철 대표의 40년 인연

원만한 여야관계 열까?

지역내일 2003-06-30 (수정 2003-06-30 오전 10:07:52)
한나라당 최병렬 대표와 민주당 정대철 대표가 30일 오후 회동을 갖는다.
당대표로써 공식회동은 이번이 처음이다. 박관용 의장 주선으로 이뤄지는 이날 회동에서 양 대표는 새특검법 등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을 다룰 예정이어서 회동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양당 대표는 △상생의 정치 △정치권 개혁을 위한 대국민 메시지 △민생과 경제에 대한 초당적 협력(추경과 예결위원장 문제 포함) △150억 비자금 특검 문제 등을 다룰 예정이다.
하지만 이런 정치적 관계에 앞서 두 사람은 이미 40년을 이어온 남다른 인연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화제다. 정대철 대표의 비서실장인 이낙연 의원이 대표회동 직전 이 같은 내용을 귀뜸 했다.
우선 두 사람은 서울대 법대 5년 선·후배간이다. 최 대표가 15회, 정 대표가 20회다.
대학졸업 후 최병렬 대표는 당시 동아일보에서 기자생활을 하게 된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최 대표가 담당하게 된 주 취재원이 고 정일형 박사다. 정 대표의 아버지다. 당시 최 대표는 정 박사뿐 아니라 정 대표의 어머니인 이태형 여사와도 막역한 사이로 지냈다. 함께 만나 토론하고 격론도 서슴지 않을 정도로 거리감이 없었다는 전언이다. 당시 정 대표는 미국에 유학생활 중이었다. 따라서 최 대표는 정 대표보다 정 대표의 부모님들과 더욱 가까웠던 사이다. 그 뒤 정 박사가 작고했다. 정 대표는 유학생활을 마친 뒤 77년 정 박사의 유지를 받들어 정계에 입문했다.
이때 최 대표와 또 다른 인연을 맺었다. 당시에는 정치권에서 조언을 받을 수 있는 자문역이나 고문을 두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고 한다. 이때 정 대표의 자문역을 맡았던 사람이 바로 당시 현직 언론인이었던 최 대표다.
악연도 있었다. 88년 언론청문회 때의 일이다. 정 대표는 당시 문공위원장을 맡고 있었고, 최 대표는 문공부 장관이었다. 결국 청문회때 언론통폐합 문제를 두고 심하게 부딪칠 수밖에 없었다. 야당 상임위원장과 현직 국무위원간의 관계에서는 그럴 수밖에 없었다. 그러다가 최 대표도 정치권에 진입하고 지금까지 왔다. 정치권 연배로는 5선인 정 대표가 훨씬 선배다. 두 사람은 지금도 사석에서 만날 때는 “정 대표”, “최 선배”라고 부른다.
두 사람의 남다른 관계처럼 여야관계도 원만하게 풀리길 기대하는 목소리가 곳곳에 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닫기
(주)내일엘엠씨(이하 '회사'라 함)은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 있으며, 지역내일 미디어 사이트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에 대한 귀하의 동의를 받고자 합니다. 내용을 자세히 읽으신 후 동의 여부를 결정하여 주십시오. [관련법령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제17조, 제22조, 제23조, 제24조] 회사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중요시하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회사가 이용자로부터 제공받은 개인정보를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1) 수집 방법
지역내일 미디어 기사제보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이용 목적
기사 제보 확인 및 운영

3) 수집 항목
필수 : 이름, 이메일 / 제보내용
선택 : 휴대폰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IP 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 기록, 방문 기록, 불량 이용 기록 등)

4) 보유 및 이용기간
① 회사는 정보주체에게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간이 경과하거나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이 달성된 경우 지체 없이 개인정보를 복구·재생 할 수 없도록 파기합니다. 다만, 다른 법률에 따라 개인정보를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간 동안 개인정보를 보존합니다.
② 처리목적에 따른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문의 등록일로부터 3개월

※ 관계 법령
이용자의 인터넷 로그 등 로그 기록 / 이용자의 접속자 추적 자료 : 3개월 (통신비밀보호법)

5) 수집 거부의 권리
귀하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수집 거부 시 문의하기 기능이 제한됩니다.
이름*
휴대폰
이메일*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