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쇄신안 준비하는 민주당 최고위원들 >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까
전면쇄신·시스템 개선 공감 … 측근 퇴진 목소리 낼지 주목
지역내일
2000-12-01
(수정 2000-12-01 오전 10:45:09)
민주당 최고위원들은 민심과 그 치유책을 여과없이 대통령에게 전달할 수 있을까. 최소한 소속 의원들의 위
기감이라도 전달할 수 있을까. 그것을 판가름할 시간이 눈앞으로 다가왔다.
2일 청와대 최고위원회의 일정이 잡힌 30일, 민주당은 긴급최고위원간담회를 1일 저녁으로 잡았다. 청와대
최고위원회의가 급하게 잡히자 원래 계획된 워크숍을 대신해 당정쇄신을 위한 최고위원들의 의견을 모으기
위해서다. 최고위원들은 30일 바깥출입을 자제하고 정계쇄신을 위한 구상을 가다듬거나 의원들의 의견수렴
을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는 모습이었다.
◇ 당정운영시스템 개선방안 논의 = 당정쇄신의 폭에 대해 대부분의 최고위원들은 당뿐 아니라 정부 청와
대 비서실을 포함한 전면적인 쇄신쪽에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정동영 최고위원은 “당직개편만 가지고는 민심의 호응을 받을 수 없는 만큼 근본적인 문제점까지 치유해야
하는데 그게 뭐냐를 고민하고있다”고 말했다. 한화갑 최고위원은 ‘당정관계에 대한 전면적인 점검’이라
는 말로 당정쇄신의 폭을 가늠케하고 있다. 정대철 최고위원 역시 대대적인 당정쇄신을 주장하고 있다.
당운영시스템을 바꾸기 위한 방안과 차기인물군의 성격에 대해서도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되고 있다.
관심사중 하나는 최고위원회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서다. 박상천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의 심의기구화와
함께 원내대책과 당운영을 사전지휘토록하는 실권을 줘야한다”고 주장했다.
여기에 반대하는 측에선 어차피 옛인물들인데 민심을 반전시킬 정도가 되겠느냐며 반문하고 있다. “선수를
가리지 말고 참신하고 개혁적인 인물들로 새롭게 진용을 짜야한다”는 주장이 적지않다.
이와 함께 당정관계를 원활하게 하고 정부부처를 당이 장악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는데 공감대가 형성되
고 있다.
한화갑 최고위원은 원만한 당정관계, 여야관계 조율을 위한 정무장관직 신설을 주장했다. 김근태 최고위원
은 당출신 인사들을 주요부처에 전진배치할 것을 주장했다. 정권말기의 기강해이를 막고 당이 책임지고 주
요정책을 실행하는 중심에 서자는 주장으로 대다수 최고위원들이 공감하고 있다.
◇ 의원들의 위기감 반영될까 = 이처럼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고 있지만 위기를 체감하고있는 의원들의 요
구와는 상당한 격차가 있다.
최고위원 위상과 관련 당의 자율성을 의미하느냐라는 대목에 대해선 누구도 선뜻 답을 하지 못하고 있다. 그
러나 수도권 중진의원은 “시기가 다소 이른 감이 있지만 총재직 사퇴를 고려해야한다”고 주문했다.
다른 하나는 소위 측근들에 대한 태도다. 호남권 한 의원은 “현재 논의가 핵심을 피해가고 있다. 더 망해야
정신을 차린다”고 현재의 논의에 극단적인 불신감을 나타냈다.
이 인사는 “측근 실세 퇴진이 첫 번째 과제이자 문제해결의 핵심임에도 이를 피해가고 있다”며 “결국 이
번에도 부분적 치유에 머물것이다”고 말했다.
이같은 의원들의 위기감과 요구를 최고위원들이 수용할 수 있을지, 과연 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 것인지
주목되는 대목이다.
기감이라도 전달할 수 있을까. 그것을 판가름할 시간이 눈앞으로 다가왔다.
2일 청와대 최고위원회의 일정이 잡힌 30일, 민주당은 긴급최고위원간담회를 1일 저녁으로 잡았다. 청와대
최고위원회의가 급하게 잡히자 원래 계획된 워크숍을 대신해 당정쇄신을 위한 최고위원들의 의견을 모으기
위해서다. 최고위원들은 30일 바깥출입을 자제하고 정계쇄신을 위한 구상을 가다듬거나 의원들의 의견수렴
을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는 모습이었다.
◇ 당정운영시스템 개선방안 논의 = 당정쇄신의 폭에 대해 대부분의 최고위원들은 당뿐 아니라 정부 청와
대 비서실을 포함한 전면적인 쇄신쪽에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정동영 최고위원은 “당직개편만 가지고는 민심의 호응을 받을 수 없는 만큼 근본적인 문제점까지 치유해야
하는데 그게 뭐냐를 고민하고있다”고 말했다. 한화갑 최고위원은 ‘당정관계에 대한 전면적인 점검’이라
는 말로 당정쇄신의 폭을 가늠케하고 있다. 정대철 최고위원 역시 대대적인 당정쇄신을 주장하고 있다.
당운영시스템을 바꾸기 위한 방안과 차기인물군의 성격에 대해서도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되고 있다.
관심사중 하나는 최고위원회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서다. 박상천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의 심의기구화와
함께 원내대책과 당운영을 사전지휘토록하는 실권을 줘야한다”고 주장했다.
여기에 반대하는 측에선 어차피 옛인물들인데 민심을 반전시킬 정도가 되겠느냐며 반문하고 있다. “선수를
가리지 말고 참신하고 개혁적인 인물들로 새롭게 진용을 짜야한다”는 주장이 적지않다.
이와 함께 당정관계를 원활하게 하고 정부부처를 당이 장악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는데 공감대가 형성되
고 있다.
한화갑 최고위원은 원만한 당정관계, 여야관계 조율을 위한 정무장관직 신설을 주장했다. 김근태 최고위원
은 당출신 인사들을 주요부처에 전진배치할 것을 주장했다. 정권말기의 기강해이를 막고 당이 책임지고 주
요정책을 실행하는 중심에 서자는 주장으로 대다수 최고위원들이 공감하고 있다.
◇ 의원들의 위기감 반영될까 = 이처럼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고 있지만 위기를 체감하고있는 의원들의 요
구와는 상당한 격차가 있다.
최고위원 위상과 관련 당의 자율성을 의미하느냐라는 대목에 대해선 누구도 선뜻 답을 하지 못하고 있다. 그
러나 수도권 중진의원은 “시기가 다소 이른 감이 있지만 총재직 사퇴를 고려해야한다”고 주문했다.
다른 하나는 소위 측근들에 대한 태도다. 호남권 한 의원은 “현재 논의가 핵심을 피해가고 있다. 더 망해야
정신을 차린다”고 현재의 논의에 극단적인 불신감을 나타냈다.
이 인사는 “측근 실세 퇴진이 첫 번째 과제이자 문제해결의 핵심임에도 이를 피해가고 있다”며 “결국 이
번에도 부분적 치유에 머물것이다”고 말했다.
이같은 의원들의 위기감과 요구를 최고위원들이 수용할 수 있을지, 과연 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 것인지
주목되는 대목이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