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생들의 인성교육을 위한 봉사활동이 프로그램 부재로 학생들의 불
만을 유발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교육을 통한 동기부여도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경기도의회 안기영 의원(안양 동안)이 경기지역 고교생 2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현대리서치연구소에 분석을 의뢰한 결과 가장 많은 학생이 봉사프로그램 부재(31.9%)
를 불만요인으로 지적했다.
시간조정의 어려움(25.7%), 보람을 못느낀다(14.6%)는 학생이 뒤를 이었다.
봉사활동 참여동기에 대해서는 성적때문(64.4%)이라고 응답한 학생이 월등히 많은 반면 자
발적으로(14.4%)참여한 학생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구를 통해서(10%), 권유에
의해서(8.5%) 순으로 답했다.
자원봉사활동을 대학입시나 취업에 반영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찬성(36.7%)보다 반대(50.
4%)한다는 여론이 높았다.
봉사활동에 관한 교육도 받아본 경험이 있다(37.4%)는 학생보다 교육을 받은 일이 없다
(53.0%)는 학생이 많았으며 장애요인으로는 다른 활동(39.7%), 성적 지장(24.0%),
자원봉사에 대한 정보보족(17.5%)을 이유로 들었다.
그러나 봉사활동 시행에 대한 질문에서 계속시행(38.1%)을 원하는 학생이 폐지해야 한다
(23.0%)는 학생보다 많고 적극적인 태도(45.6%)를 갖는 학생도 소극적인 학생(15.2%)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어른이 되어서도 자원봉사에 참여할 의사가 있다(59.3%)고 응답한 학생이 참여할 생각
이 없다(6.3%)는 경우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나 불만족 요인을 제거하고 올바른
동기부여가 이루어진다면 큰 교육적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수원 정흥모 기자 hmchung@naeil.com
만을 유발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교육을 통한 동기부여도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경기도의회 안기영 의원(안양 동안)이 경기지역 고교생 2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현대리서치연구소에 분석을 의뢰한 결과 가장 많은 학생이 봉사프로그램 부재(31.9%)
를 불만요인으로 지적했다.
시간조정의 어려움(25.7%), 보람을 못느낀다(14.6%)는 학생이 뒤를 이었다.
봉사활동 참여동기에 대해서는 성적때문(64.4%)이라고 응답한 학생이 월등히 많은 반면 자
발적으로(14.4%)참여한 학생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구를 통해서(10%), 권유에
의해서(8.5%) 순으로 답했다.
자원봉사활동을 대학입시나 취업에 반영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찬성(36.7%)보다 반대(50.
4%)한다는 여론이 높았다.
봉사활동에 관한 교육도 받아본 경험이 있다(37.4%)는 학생보다 교육을 받은 일이 없다
(53.0%)는 학생이 많았으며 장애요인으로는 다른 활동(39.7%), 성적 지장(24.0%),
자원봉사에 대한 정보보족(17.5%)을 이유로 들었다.
그러나 봉사활동 시행에 대한 질문에서 계속시행(38.1%)을 원하는 학생이 폐지해야 한다
(23.0%)는 학생보다 많고 적극적인 태도(45.6%)를 갖는 학생도 소극적인 학생(15.2%)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어른이 되어서도 자원봉사에 참여할 의사가 있다(59.3%)고 응답한 학생이 참여할 생각
이 없다(6.3%)는 경우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나 불만족 요인을 제거하고 올바른
동기부여가 이루어진다면 큰 교육적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수원 정흥모 기자 hmchu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