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의 언론관이 논란거리가 되는 이유는 언론관의 적절 여부를 떠나 국가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언론과 국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해봤을 언론인 출신 정치인들에게 노 대통령의 현 언론관이 국가적으로 미칠 영향에 대해 물어봤다. 다만 소속 당에 따라 목소리가 달랐다.
한나라당 소속 언론인 출신 정치인들은 대통령 개인의 언론관도 문제지만 그것이 공무원 사회 및 국민 전체에 끼칠 영향이 더 큰 문제라고 입을 모았다. 국민들에게는 왜곡된 언론관을 심어주고, 공무원들에게는 남의 탓만 하는 나쁜 습성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문광위 간사 한나라당 고흥길 의원(중앙일보 출신)은 “공무원은 공복의 자세로 주어진 의무에 충실해야 하는데 남의 탓으로 돌리기 시작하면 책임행정의 구현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공무원들이 대통령과 코드를 맞추는 과정에서 책임행정구현보다는 언론비판에 초점을 맞추는 등 본질적인 문제를 외면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한나라당 윤여준 의원은 언론에 대한 불신이 홍보만능주의로 빠질 것에 대해 우려했다. 윤 의원은 “전 정권에서도 언론이 부당하게 자기들을 비판한다고 생각하고 결국은 홍보만능주의의 함정에 빠졌다”면서 “순수한 마음으로 일을 잘 하면 되는 것인데 홍보라는 수단만 강화하면 도움이 될 일이 없다”고 인터넷 국정신문 등의 발상을 비판했다. 그는 또 “언론이 문제가 있다고 보는 것은 당연하지만 언론에 문제가 있다고 해서 정부가 어떻게 해보겠다고 나설 때 이미 언론탄압이 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민주당 의원들은 언급을 꺼렸다. “자세히 안 봐서 얘기할 것이 없다”(박병석 의원) “원론적인 얘기를 한 것 아니냐”(김성호 의원)는 정도였다.
다만 동아일보 기자 출신 임채정 의원은 대통령을 적극 옹호하고 나섰다. 임 의원은 “대통령의 언론관은 민주주의 지도자로서 전혀 부족하지 않은 언론관을 가지고 있다”며 “대통령이 사시적인 언론과 외로운 투쟁을 벌이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임 의원은 또 “몇몇 보수언론들이 보도의 객관성 사실성 책임성에 문제가 있고 대단히 편향적이라는 것은 사실 아니냐”며 “대통령의 이런 발언들이 결국은 언론개혁에 대한 관심을 일으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민주당 민영삼 부대변인도 논평을 내고 “참여정부는 언론의 자유가 민주주의의 근간임을 한번도 부정해 본적이 없는데 한나라당이 언론탄압이라고 하는 것은 정치공세”라고 주장했다.
상대적으로 언론과 국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해봤을 언론인 출신 정치인들에게 노 대통령의 현 언론관이 국가적으로 미칠 영향에 대해 물어봤다. 다만 소속 당에 따라 목소리가 달랐다.
한나라당 소속 언론인 출신 정치인들은 대통령 개인의 언론관도 문제지만 그것이 공무원 사회 및 국민 전체에 끼칠 영향이 더 큰 문제라고 입을 모았다. 국민들에게는 왜곡된 언론관을 심어주고, 공무원들에게는 남의 탓만 하는 나쁜 습성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문광위 간사 한나라당 고흥길 의원(중앙일보 출신)은 “공무원은 공복의 자세로 주어진 의무에 충실해야 하는데 남의 탓으로 돌리기 시작하면 책임행정의 구현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공무원들이 대통령과 코드를 맞추는 과정에서 책임행정구현보다는 언론비판에 초점을 맞추는 등 본질적인 문제를 외면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한나라당 윤여준 의원은 언론에 대한 불신이 홍보만능주의로 빠질 것에 대해 우려했다. 윤 의원은 “전 정권에서도 언론이 부당하게 자기들을 비판한다고 생각하고 결국은 홍보만능주의의 함정에 빠졌다”면서 “순수한 마음으로 일을 잘 하면 되는 것인데 홍보라는 수단만 강화하면 도움이 될 일이 없다”고 인터넷 국정신문 등의 발상을 비판했다. 그는 또 “언론이 문제가 있다고 보는 것은 당연하지만 언론에 문제가 있다고 해서 정부가 어떻게 해보겠다고 나설 때 이미 언론탄압이 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민주당 의원들은 언급을 꺼렸다. “자세히 안 봐서 얘기할 것이 없다”(박병석 의원) “원론적인 얘기를 한 것 아니냐”(김성호 의원)는 정도였다.
다만 동아일보 기자 출신 임채정 의원은 대통령을 적극 옹호하고 나섰다. 임 의원은 “대통령의 언론관은 민주주의 지도자로서 전혀 부족하지 않은 언론관을 가지고 있다”며 “대통령이 사시적인 언론과 외로운 투쟁을 벌이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임 의원은 또 “몇몇 보수언론들이 보도의 객관성 사실성 책임성에 문제가 있고 대단히 편향적이라는 것은 사실 아니냐”며 “대통령의 이런 발언들이 결국은 언론개혁에 대한 관심을 일으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민주당 민영삼 부대변인도 논평을 내고 “참여정부는 언론의 자유가 민주주의의 근간임을 한번도 부정해 본적이 없는데 한나라당이 언론탄압이라고 하는 것은 정치공세”라고 주장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