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부동산 투기 의혹을 제기한 김문수 한나라당 의원과 조선, 중앙, 동아, 한국일보 등 언론사를 상대로 30억원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한 것이 알려지자 네티즌들이 들썩이고 있다.
현직 대통령이 자신과 관련된 의혹제기에 대해 의원과 언론사를 상대로 소송을 낸 것은 사상 초유의 일이기 때문이다.
노 대통령은 소장에서 ‘김 의원이 근거없고 사실과 전혀 다른 허위 내용으로 명예훼손 행위를 계속했으며, 해당 언론사들도 사실 확인을 거치지 않은 채 김 의원의 주장을 일방적으로 보도해 명예에 큰 손상을 입었다’고 이번 소송의 이유를 밝혔다.
이에 따라 취임 이후 줄곧 일부 언론사와 ‘전쟁’을 벌여온 노 대통령의 이번 소송을 계기로 언론과의 충돌이 전면전 양상으로 치닫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14일 네티즌들은 노 대통령의 소송 제기 사실이 보도되자마자 각 인터넷 사이트 토론 게시판과 댓글을 통해 찬반양론을 펼쳤다.
인터넷 포털 다음(www.daum.net)이 ‘일부 신문을 상대로 한 노무현 대통령의 소송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설문조사에 14일 현재 2154명이 참여한 가운데 60.7%인 1308명이 ‘이해할 수 있다. 신문의 보도자세가 문제’라고 답했다. ‘지나친 처사다. 대통령의 언론관이 문제’라고 답한 네티즌은 36.4%인 783명이었으며 ‘판단유보’라고 답한 네티즌도 2.9%인 63명이었다.
◆일부 언론사 ‘횡포’제동 걸어야 = 노 대통령의 소송 제기를 지지한 네티즌들은 그간 일부 언론사가 정부를 깎아내리기에만 바쁜 보도 행태를 보여 위기감을 조장했다며 이번 소송으로 이러한 ‘횡포’에 제동을 걸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ID‘parkdongjin’이라는 네티즌은 “각종 비리 등 모든 사건을 부풀려 위기감을 조장해온 일부 언론과 한나라당의 바람잡기가 경기침체와 소비자 심리 위축에도 한몫했다”며 “대통령으로서 과도한 비난에 대해 말할 권리를 내세운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잘했다’는 ID로 글을 올린 네티즌도 “그간 일부 언론들은 중립성을 잃고 편향된 논조로 명확한 사실확인 없이 ‘아니면 말고’식의 보도 행태를 일삼아왔지만 오보로 밝혀져도 이를 인정하거나 별다른 사후 조치도 없었다”며 “대통령의 소송을 언론탄압이라고 비난하기 전에 언론 스스로 개혁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ID‘cgh6615’라는 네티즌은 “권위주의 시대 권력을 향해 ‘용비어천가’를 불러온 보수 언론들이 탈권위주의 시대가 도래하자 스스로의 권력을 창출하기 위해 대통령에게 비난을 퍼붓고 있다”며 “이번 소송으로 이런 언론의 행태에 일침을 가해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명예회복 위한 거액 소송 부적절 = 반면 현 정부에 반하는 언론보도를 수용하지 못하고 자신의 명예 회복을 위해 거액의 소송을 제기한 것은 대통령으로서 올바른 처사가 아니라고 비판하는 네티즌도 많았다.
또 이들은 경기 침체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는 상황에서 언론과의 대립각을 세우는데만 몰두하는 대통령의 모습은 국민들의 지지를 받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어이없다’는 ID로 글을 올린 네티즌은 “각종 여론조사에서 대통령의 지지도가 현저히 떨어졌다고 나오는 상황에서 경제 살리기에 몰두해도 모자랄 판에 30억이라는 거액의 소송을 제기한 대통령의 생각을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며 “국정운영을 제대로 하고 비리와 관련된 루머가 나돌지 않도록 처신했다면 언론에 빌미를 제공하지도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ID‘큰그릇’이라는 네티즌은 “각 신문사들의 입장이 있는데 현 정권에 반한다고 해서 몇마디 비판에 그렇게 연연해한다면 대통령을 반대한 50%의 국민은 어떻게 수용할지 걱정스럽다”며 “언론의 보도 행태가 옳은 것만은 아니지만 대통령으로서 언론의 비판에 대해 좀더 대범한 모습을 보여주기를 기대한다”고 조언했다.
/ 정애선 기자 asjung@naeil.com
현직 대통령이 자신과 관련된 의혹제기에 대해 의원과 언론사를 상대로 소송을 낸 것은 사상 초유의 일이기 때문이다.
노 대통령은 소장에서 ‘김 의원이 근거없고 사실과 전혀 다른 허위 내용으로 명예훼손 행위를 계속했으며, 해당 언론사들도 사실 확인을 거치지 않은 채 김 의원의 주장을 일방적으로 보도해 명예에 큰 손상을 입었다’고 이번 소송의 이유를 밝혔다.
이에 따라 취임 이후 줄곧 일부 언론사와 ‘전쟁’을 벌여온 노 대통령의 이번 소송을 계기로 언론과의 충돌이 전면전 양상으로 치닫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14일 네티즌들은 노 대통령의 소송 제기 사실이 보도되자마자 각 인터넷 사이트 토론 게시판과 댓글을 통해 찬반양론을 펼쳤다.
인터넷 포털 다음(www.daum.net)이 ‘일부 신문을 상대로 한 노무현 대통령의 소송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설문조사에 14일 현재 2154명이 참여한 가운데 60.7%인 1308명이 ‘이해할 수 있다. 신문의 보도자세가 문제’라고 답했다. ‘지나친 처사다. 대통령의 언론관이 문제’라고 답한 네티즌은 36.4%인 783명이었으며 ‘판단유보’라고 답한 네티즌도 2.9%인 63명이었다.
◆일부 언론사 ‘횡포’제동 걸어야 = 노 대통령의 소송 제기를 지지한 네티즌들은 그간 일부 언론사가 정부를 깎아내리기에만 바쁜 보도 행태를 보여 위기감을 조장했다며 이번 소송으로 이러한 ‘횡포’에 제동을 걸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ID‘parkdongjin’이라는 네티즌은 “각종 비리 등 모든 사건을 부풀려 위기감을 조장해온 일부 언론과 한나라당의 바람잡기가 경기침체와 소비자 심리 위축에도 한몫했다”며 “대통령으로서 과도한 비난에 대해 말할 권리를 내세운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잘했다’는 ID로 글을 올린 네티즌도 “그간 일부 언론들은 중립성을 잃고 편향된 논조로 명확한 사실확인 없이 ‘아니면 말고’식의 보도 행태를 일삼아왔지만 오보로 밝혀져도 이를 인정하거나 별다른 사후 조치도 없었다”며 “대통령의 소송을 언론탄압이라고 비난하기 전에 언론 스스로 개혁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ID‘cgh6615’라는 네티즌은 “권위주의 시대 권력을 향해 ‘용비어천가’를 불러온 보수 언론들이 탈권위주의 시대가 도래하자 스스로의 권력을 창출하기 위해 대통령에게 비난을 퍼붓고 있다”며 “이번 소송으로 이런 언론의 행태에 일침을 가해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명예회복 위한 거액 소송 부적절 = 반면 현 정부에 반하는 언론보도를 수용하지 못하고 자신의 명예 회복을 위해 거액의 소송을 제기한 것은 대통령으로서 올바른 처사가 아니라고 비판하는 네티즌도 많았다.
또 이들은 경기 침체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는 상황에서 언론과의 대립각을 세우는데만 몰두하는 대통령의 모습은 국민들의 지지를 받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어이없다’는 ID로 글을 올린 네티즌은 “각종 여론조사에서 대통령의 지지도가 현저히 떨어졌다고 나오는 상황에서 경제 살리기에 몰두해도 모자랄 판에 30억이라는 거액의 소송을 제기한 대통령의 생각을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며 “국정운영을 제대로 하고 비리와 관련된 루머가 나돌지 않도록 처신했다면 언론에 빌미를 제공하지도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ID‘큰그릇’이라는 네티즌은 “각 신문사들의 입장이 있는데 현 정권에 반한다고 해서 몇마디 비판에 그렇게 연연해한다면 대통령을 반대한 50%의 국민은 어떻게 수용할지 걱정스럽다”며 “언론의 보도 행태가 옳은 것만은 아니지만 대통령으로서 언론의 비판에 대해 좀더 대범한 모습을 보여주기를 기대한다”고 조언했다.
/ 정애선 기자 asju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