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당 일대 지자체·주민대표·환경부 등으로 구성된 ‘팔당호 수질정책협의회’가 11일 한강환경유역청에서 제1차 회의를 개최한다.
이 협의회에는 환경부를 비롯한 경기도, 팔당호 주변 7개 시·군 및 의회, 주민 등이 참여하며, 향후 팔당상수원 수질보전을 위한 대책과 함께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방안을 협의해나갈 계획이다.
‘팔당호 수질정책협의회’는 환경부가 2003년 고시개정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지자체·지역주민들과의 협의에 따라 정부와 주민들이 공동으로 합의된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 구성됐다.
환경부 관계자는 “협의회는 환경부와 지역주민 사이의 인내와 신뢰를 바탕으로 상생의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 협의회를 통해 유보된 고시개정안 처리와 선진적 유역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조사연구 및 지자체·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방안 등을 공동으로 발굴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팔당호 수질정책협의회는 총 25명으로 구성되며 여기에는 환경부차관(국장 및 한강유역청장에게 위임), 경기도 행정부지사, 가평·광주·남양주·양평·여주·용인·이천 7개 시·군 단체장 및 의회의장, 지역주민 대표 9인 등이 참여한다.
협의회는 앞으로 △팔당호 수질보전을 위한 정책 개발 및 제도개선방안 협의 △팔당수계 7개 시·군의 환경보전과 지역발전을 조화시키기 위한 정책개발 및 제도개선방안 협의 △팔당호 수질관리를 위한 주민계도·홍보 및 민·관 공동대처방안 협의 △기타 고시개정 내용에 대한 협의 등 팔당호 수질관리방안 등을 협의할 예정이다.
이 협의회에는 환경부를 비롯한 경기도, 팔당호 주변 7개 시·군 및 의회, 주민 등이 참여하며, 향후 팔당상수원 수질보전을 위한 대책과 함께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방안을 협의해나갈 계획이다.
‘팔당호 수질정책협의회’는 환경부가 2003년 고시개정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지자체·지역주민들과의 협의에 따라 정부와 주민들이 공동으로 합의된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 구성됐다.
환경부 관계자는 “협의회는 환경부와 지역주민 사이의 인내와 신뢰를 바탕으로 상생의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 협의회를 통해 유보된 고시개정안 처리와 선진적 유역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조사연구 및 지자체·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방안 등을 공동으로 발굴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팔당호 수질정책협의회는 총 25명으로 구성되며 여기에는 환경부차관(국장 및 한강유역청장에게 위임), 경기도 행정부지사, 가평·광주·남양주·양평·여주·용인·이천 7개 시·군 단체장 및 의회의장, 지역주민 대표 9인 등이 참여한다.
협의회는 앞으로 △팔당호 수질보전을 위한 정책 개발 및 제도개선방안 협의 △팔당수계 7개 시·군의 환경보전과 지역발전을 조화시키기 위한 정책개발 및 제도개선방안 협의 △팔당호 수질관리를 위한 주민계도·홍보 및 민·관 공동대처방안 협의 △기타 고시개정 내용에 대한 협의 등 팔당호 수질관리방안 등을 협의할 예정이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