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반전국 참여금지’ 재론할 수도”미국과 이른바 반전국가들인 프랑스, 독일이 이라크 부채탕감과 이라크재건사업참여를 놓고 딜을 벌일 가능성이 제기돼 주목되고 있다.
미국은 16일 이라크 부채탕감 노력에 본격 착수하며 이른바 반전국들의 이라크재건사업 참여금지를 재론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라크 특사로 지명된 제임스 베이커 전 미국무장관은 이날 프랑스와 독일을 잇따라 방문, 자크 시라크 대통령과 게르하르트 슈뢰더 총리와 각각 회담하고 1200억달러에 달하는 이라크의 대외부채를 탕감하는 노력을 본격화하기로 합의했다.
이와 관련 백악관의 스콧 맥클레런 대변인은 이날 “우리는 이라크재건사업과 관련된 미국의 결정을 놓고 일부 국가들이 재론하기를 원한다면 기꺼이 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백악관의 이런 입장 표명은 후세인의 생포 이후 즉각 환영의 뜻을 표시하고 제임스 베이커 특사를 환대하며 화해의 제스쳐를 취하고 있는 프랑스, 독일 등 반전국가들의 움직임에 호응, 미국이 부채탕감과 일부 이라크재건사업 허용을 나눠갖는 딜을 할 수 있다는 여지를 보인 것으로 일부 미 언론들은 해석하고 있다.
그러나 럼스펠드 미 국방장관은 이날 미국의 예산으로 지원되는 이라크재건사업에는 이른바 반전국가들이 제외돼야 한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음을 강조했다.
이 때문에 부시행정부내에서도 입장차이를 보이고 있거나 반전국들의 이라크 부채탕감을 이끌어내기 위해 강온 입장으로 역할분담을 하고 있다는 관측을 낳고 있다.
/워싱턴=한면택 특파원
미국은 16일 이라크 부채탕감 노력에 본격 착수하며 이른바 반전국들의 이라크재건사업 참여금지를 재론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라크 특사로 지명된 제임스 베이커 전 미국무장관은 이날 프랑스와 독일을 잇따라 방문, 자크 시라크 대통령과 게르하르트 슈뢰더 총리와 각각 회담하고 1200억달러에 달하는 이라크의 대외부채를 탕감하는 노력을 본격화하기로 합의했다.
이와 관련 백악관의 스콧 맥클레런 대변인은 이날 “우리는 이라크재건사업과 관련된 미국의 결정을 놓고 일부 국가들이 재론하기를 원한다면 기꺼이 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백악관의 이런 입장 표명은 후세인의 생포 이후 즉각 환영의 뜻을 표시하고 제임스 베이커 특사를 환대하며 화해의 제스쳐를 취하고 있는 프랑스, 독일 등 반전국가들의 움직임에 호응, 미국이 부채탕감과 일부 이라크재건사업 허용을 나눠갖는 딜을 할 수 있다는 여지를 보인 것으로 일부 미 언론들은 해석하고 있다.
그러나 럼스펠드 미 국방장관은 이날 미국의 예산으로 지원되는 이라크재건사업에는 이른바 반전국가들이 제외돼야 한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음을 강조했다.
이 때문에 부시행정부내에서도 입장차이를 보이고 있거나 반전국들의 이라크 부채탕감을 이끌어내기 위해 강온 입장으로 역할분담을 하고 있다는 관측을 낳고 있다.
/워싱턴=한면택 특파원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