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정치권에 거액의 정치자금을 뿌렸다는 진술이 속출하고 있는 대부업체 굿머니가 수백억원대의 불법대출을 받는 전후 과정에서 금감원과 검찰이 적절한 대응을 하지 않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해 굿머니 의혹을 최초 주장한 민주당 조재환 의원측은 “굿머니가 정치권 금품로비를 통해 금감원과 검찰의 감시망을 무마시킨 정황이 있다”고 주장해 진위 여부가 주목된다.
◆사건관련자 반년만에 검거= 조 의원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금감원이 굿머니 사건에 제때 대응하지 않은 것은 물론 비호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조 의원은 “굿머니 관련자들이 금감원 윗선에 로비를 해서 (2002년) 12월 검사는 무마했는데 (2003년) 2월에는 내부제보가 있어서 막지 못했다는 얘기가 들려오고 있다”고 말했다. 당시 참고인으로 나선 굿머니 관계자 이 모(여)씨는 “금감원에서 나온다고 했을 때 (회사 임원들이) 위에 다 손을 써놨으니까 걱정하지 않아도된다고 했지만 일이 잘못된 2월에는 금감원장이 바뀌어서 이렇게 됐다는 식으로 얘기했다”고 증언하기도 했다.
조 의원측은 검찰 수사과정에 대해서도 의구심을 제기했다. 조 의원 측근은 기자와의 통화에서 “금감원 고발이 지난해 3월 이뤄졌지만 대부분 관련자들이 반년이 넘은 지난해말에야 검거됐다”며 “이들 중 일부는 6월까지 집에 거주했었다고 말해 검찰이 수사의지가 있었는지 의심스럽다”고 전했다. 이 측근은 “더욱이 굿머니 주변에서 정치권 연루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됐음에도 검찰은 주범격인 굿머니 김영훈 사장을 못잡은채 나머지 공범들을 단순사기범으로 몰아 사실상 사건을 종결했다”고 말했다.
◆여야에 수십억 제공 주장= 조 의원측은 금감원과 검찰의 ‘부실대응 의혹’ 이면에는 정치권 로비가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추측을 내놓고 있다. 실제 굿머니가 여야에 거액의 불법자금을 제공했다는 진술은 지난해부터 끊이지 않았다.
지난해 국정감사 참고인 이씨는 “(회사직원들은 대출자금이) 대선자금에 들어간다는 둥 얘기를 많이 했으며 솔직히 저희한테는 이회창 후보를 뽑으라는 얘기까지 했다”고 말해 한나라당측에 정치자금을 제공했다는 의혹을 처음으로 제기했다.
12일 청문회에서는 또다른 폭탄진술이 나왔다. 굿머니 사기대출 명의자 모집책이었던 김진희(여)씨는 “직원들이 10억원이 든 가방을 굿머니 김 사장에게 전달하는 것을 2002년 11월말과 12월말경 두차례 봤다”며 “돈을 받은 사람이 신계륜 의원이란 얘기를 지난해 1월 들었다”고 말했다. 김씨는 청문회 이후 일부 언론을 만난 자리에서는 “김 사장으로부터 한나라당에 2002년 10월 60억원을 전달했다는 얘기를 직접 들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조 의원과 관련자 주장은 뚜렷한 물증이 뒷받침되지 않아 당장 폭발력을 갖기는 어려워 보인다. 일개 대부업체가 범죄까지 저질러가면서 100억원대에 가까운 정치자금을 제공했다는 것도 납득하기 어려운 대목. 굿머니측이 자금조성 시발점인 김천저축은행을 인수한 시점이 2002년 9월인 점을 고려하면 10월에 60억원대 자금을 조성해 정치권에 건넸다는 것도 설득력이 떨어져보인다.
/엄경용 기자 rabbit@naeil.com
◆사건관련자 반년만에 검거= 조 의원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금감원이 굿머니 사건에 제때 대응하지 않은 것은 물론 비호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조 의원은 “굿머니 관련자들이 금감원 윗선에 로비를 해서 (2002년) 12월 검사는 무마했는데 (2003년) 2월에는 내부제보가 있어서 막지 못했다는 얘기가 들려오고 있다”고 말했다. 당시 참고인으로 나선 굿머니 관계자 이 모(여)씨는 “금감원에서 나온다고 했을 때 (회사 임원들이) 위에 다 손을 써놨으니까 걱정하지 않아도된다고 했지만 일이 잘못된 2월에는 금감원장이 바뀌어서 이렇게 됐다는 식으로 얘기했다”고 증언하기도 했다.
조 의원측은 검찰 수사과정에 대해서도 의구심을 제기했다. 조 의원 측근은 기자와의 통화에서 “금감원 고발이 지난해 3월 이뤄졌지만 대부분 관련자들이 반년이 넘은 지난해말에야 검거됐다”며 “이들 중 일부는 6월까지 집에 거주했었다고 말해 검찰이 수사의지가 있었는지 의심스럽다”고 전했다. 이 측근은 “더욱이 굿머니 주변에서 정치권 연루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됐음에도 검찰은 주범격인 굿머니 김영훈 사장을 못잡은채 나머지 공범들을 단순사기범으로 몰아 사실상 사건을 종결했다”고 말했다.
◆여야에 수십억 제공 주장= 조 의원측은 금감원과 검찰의 ‘부실대응 의혹’ 이면에는 정치권 로비가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추측을 내놓고 있다. 실제 굿머니가 여야에 거액의 불법자금을 제공했다는 진술은 지난해부터 끊이지 않았다.
지난해 국정감사 참고인 이씨는 “(회사직원들은 대출자금이) 대선자금에 들어간다는 둥 얘기를 많이 했으며 솔직히 저희한테는 이회창 후보를 뽑으라는 얘기까지 했다”고 말해 한나라당측에 정치자금을 제공했다는 의혹을 처음으로 제기했다.
12일 청문회에서는 또다른 폭탄진술이 나왔다. 굿머니 사기대출 명의자 모집책이었던 김진희(여)씨는 “직원들이 10억원이 든 가방을 굿머니 김 사장에게 전달하는 것을 2002년 11월말과 12월말경 두차례 봤다”며 “돈을 받은 사람이 신계륜 의원이란 얘기를 지난해 1월 들었다”고 말했다. 김씨는 청문회 이후 일부 언론을 만난 자리에서는 “김 사장으로부터 한나라당에 2002년 10월 60억원을 전달했다는 얘기를 직접 들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조 의원과 관련자 주장은 뚜렷한 물증이 뒷받침되지 않아 당장 폭발력을 갖기는 어려워 보인다. 일개 대부업체가 범죄까지 저질러가면서 100억원대에 가까운 정치자금을 제공했다는 것도 납득하기 어려운 대목. 굿머니측이 자금조성 시발점인 김천저축은행을 인수한 시점이 2002년 9월인 점을 고려하면 10월에 60억원대 자금을 조성해 정치권에 건넸다는 것도 설득력이 떨어져보인다.
/엄경용 기자 rabbit@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