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장 인사 협의’ 놓고 논란

법무 “충분히 의견 청취” … 검찰 “강 장관측 단독작품”

지역내일 2004-01-15
참여정부의 법무·검찰인사는 검찰총장의 인사결정 참여여부를 놓고 지난해 인사를 앞두고 또다른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강 장관측은 “두차례 인사에서 총장 의견을 충분히 들었다”고 주장하지만 검찰은 “강 장관의 단독작품”이라고 반발했다.
기존 인사는 장관과 총장이 충분히 협의하는 구조를 갖췄다. 명시돼 있지 않지만 인사 실무안은 법무부 검찰국장과 검찰 1과장이 짜고 주요 보직에 대해 장관과 총장이 함께 조율했다는게 검찰측 설명이다.
하지만 참여정부에서 이뤄진 두 번의 검찰인사는 기존 틀이 적용되지 않았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마찰이 빚어졌다. 지난해 3월 이뤄진 첫 번째 인사 당시 실무진의 증언. “법무부 인사라인은 한달동안 놀았다. 강 장관이 인사라인을 부르지도 않았고 묻지도 않았다.”
당시 검찰 수뇌부도 비슷한 의견이다. 강 장관이 기존처럼 총장과 협의하지 않은 채 전화를 걸어 일방통보 했다는 것. 이들 수뇌부는 첫 인사가 청와대와 특정 검사들의 작품이었다고 입을 모은다.
한 중견검사의 분석. “강 장관은 법원출신이어서 인사 대상인 검사들의 정서를 잘 몰랐다. 인사를 하고 싶어도 인사대상을 전혀 모르는데 어떻게 하나.” 물론 강 장관측 설명은 다르다. 검찰 인사를 앞두고 수많은 인사들을 만나 의견 청취와 추천을 받았으며 총장측 얘기를 충분히 들었고 실제 반영하기도 했다는 것. 평검사 50명의 의견을 들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양측의 이견은 지난해 8월 이뤄진 두 번째 인사에서도 여지없이 반복됐다. 송광수 총장이 공언한 ‘서울지검 부장 유임설’은 보기좋게 깨졌고 송 총장 측근으로 꼽혔던 검사들이 좌천성 인사를 당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검에서 “총장에게 법적으로 인사 협의권을 보장해야한다”는 의견이 터져나오기 시작했다.
인사가 이뤄진 열흘 뒤 강 장관이 송 총장을 보신탕집에서 만나 “우리는 원래 마음이 잘 맞았다”며 팔짱을 낀 장면은 당시 인사권을 둘러싼 갈등 반증하는 대목이기도 했다. 지난해말 국회를 통과한 검찰청법 개정안은 장관이 검사 보직인사와 관련해서는 총장 의견을 듣도록 명시해놓았다.
검찰 주변에서는 세 번째 인사에서 법무부와 대검간 갈등설이 또 한번 불거질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엄경용 기자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닫기
(주)내일엘엠씨(이하 '회사'라 함)은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 있으며, 지역내일 미디어 사이트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에 대한 귀하의 동의를 받고자 합니다. 내용을 자세히 읽으신 후 동의 여부를 결정하여 주십시오. [관련법령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제17조, 제22조, 제23조, 제24조] 회사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중요시하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회사가 이용자로부터 제공받은 개인정보를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1) 수집 방법
지역내일 미디어 기사제보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이용 목적
기사 제보 확인 및 운영

3) 수집 항목
필수 : 이름, 이메일 / 제보내용
선택 : 휴대폰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IP 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 기록, 방문 기록, 불량 이용 기록 등)

4) 보유 및 이용기간
① 회사는 정보주체에게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간이 경과하거나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이 달성된 경우 지체 없이 개인정보를 복구·재생 할 수 없도록 파기합니다. 다만, 다른 법률에 따라 개인정보를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간 동안 개인정보를 보존합니다.
② 처리목적에 따른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문의 등록일로부터 3개월

※ 관계 법령
이용자의 인터넷 로그 등 로그 기록 / 이용자의 접속자 추적 자료 : 3개월 (통신비밀보호법)

5) 수집 거부의 권리
귀하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수집 거부 시 문의하기 기능이 제한됩니다.
이름*
휴대폰
이메일*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