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소식
양천·강서·영등포 총 8,564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2023년 백암고 2학년 2학기 영어 중간고사 분석 출제 범위2023년 2학년 2학기 백암고 중간고사는 교과서 1~3과, 23년 9월 고2 모의고사 29~45번 및 부교재 4강이 시험 범위에 포함되었다. 1학기 중간고사 시험 범위가 교과서와 모의고사였고, 1학기 기말고사는 교과서와 부교재만 들어 간 반면에 이번 시험은 교과서, 모의고사, 부교재를 모두 시험 범위에 포함하여, 작년과는 다른 패턴을 보여준다. 여름방학 기간 동안 2학기 중간고사를 대비해 미리 부교재를 미리 공부한 학생들이 꽤 많아 억울해할 수도 있지만, 다 자기 실력으로 돌아가니 긍정적으로 생각하면 좋을 것 같다.문제 유형 분석이번 시험에는 듣기가 객관식 65점, 서답형 35점으로 듣기 10점, 교과서 30.7, 모의고사 31.9, 부교재 19.9, 외부지문 두 문제로 7.5점이 배점되었다. 시험 전 범위에 걸쳐 점수가 고르게 분포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 소홀히 할 수가 없는 시험이었다. 교과서는 객관식에 비해 서술형이 더 비중 있게 출제되었고, 전반적으로 문제를 풀 때는 쉽게 느껴졌으나, 시험이 끝난 후 생각과 다른 점수를 받는 경우가 생겼을 것을 본다. 예를 들어 객관식 8번의 경우 ‘삶을 살아가다’라는 표현을 produce their lives가 가능한 표현으로 착각하여 오답이 많이 나왔을 것으로 본다. 서답형 1번은 본문의 어휘를 변형하고 문장을 추가하여 오답을 유도했지만 지문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으면 어렵지 않게 풀 수 있었고, 서답형 2번의 경우 it의 기능을 묻는 문제로 출제하여 대명사 it의 용법을 제대로 정리하지 않고, 시험장에서 처음으로 생각하면 시간을 많이 소모하는 문제가 될 수 있었다. 서답형 5번은 교과서 문장 그대로 어순 배열하는 문제라 절대로 틀리면 안 되는 문제였고, 서답형 6번의 경우도 문장을 추가하고 형태를 변형하는 어휘 문제로 출제했는데 맥락을 정확히 이해하고 공부했으면 어렵지 않게 풀 수 있는 수준이다,모의고사는 주로 수능형으로 출제가 되었고, 어법의 경우 교과서 2과의 핵심 문법인 가목적어 it을 출제하여 고등학교 내신에 나오는 문법의 범위가 문법 전 범위라고 할 수 있지만, 교과서 핵심 문법은 특히 더 주의 깊게 학습해야 함을 시사한다. 나머지 어휘와 문장 삽입의 경우 수능형 그대로 출제되어 무난했고, 내용 이해의 문제의 경우도 선지의 질문에 대한 답을 본문에서 찾을 수 없는 것을 고르는 형태였으나 본문의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으면 어렵지 않게 풀 수 있는 수준이다. 부교재는 어법, 어휘, 서술형으로 출제됐는데, 서술형이 9점으로 배점되어 1등급을 가르는 문제가 되었다. 전체 맥락을 정확히 이해하여 지칭 대상과 함의하는 바를 정확히 찾아내야 하는 문제인데 기본기가 잘 잡힌 학생들의 경우 크게 어렵게 느끼지 않을 수준이다.총평 및 대책기존 시험처럼 이번 백암고2 중간고사는 어법과 어휘의 기본기를 강조하고 있는 양상을 보였다. 이번 시험의 경우 얼핏 보면 쉬워 보이나 막상 시험을 치르고 난 후 결과가 본인의 예상과는 크게 다를 수 있는 수준이었다. 1등급 커트라인이 88~89점, 2등급 80~82, 3등급 70점 초반으로 예상된다. 이 기조는 이어질 것이라 예상하며, 백암고 내신 대비는 단순 암기가 아닌, 문장 단위로 어휘 및 어법을 꼼꼼하게 분석하고, 전체 흐름을 정리하며 숙달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목동 뒷단지 센트럴프라자 종필영어학원김종필 원장02-2650-8887 2023-12-08
-
따뜻하게 겨울을 나는 법 어느덧 사계절의 마지막, 겨울이 다가왔다. 겨울이 오면 동물들은 겨울잠을 자고 우리는 다양한 이벤트를 준비한다. 겨울이라는 계절을 떠올리면 송년회부터 시작해서 따끈따끈한 붕어빵, 호떡, 코코아 등 따뜻한 음식을 함께 떠올린다. 어떤 사람은 이불 밖은 위험하다면서 이불 안에서 새콤달콤한 귤을 까먹기도 한다. 그리고 우리 학생들은 긴 겨울 방학을 떠올린다. 조금 있으면 초등학생은 물론 중학생, 고등학생 그리고 대학생들의 방학이 시작된다.추운 겨울을 대하는 온도 차는 다양하다. 그중에서도 추운 겨울을 책으로 이겨낸 사람이 있다. 그 사람은 바로 조선 후기의 학자 이덕무(1741~1793)이다. 이덕무는 ‘책만 보는 바보’라고 불린 인물로 ‘간서치’라고도 불린다. 흔히 우리가 말하는 책벌레를 말한다. 이덕무는 6~7세에 이미 시문이 뛰어났고 책보는 일을 즐겼다. 사실, 이덕무가 책만 볼 수밖에 없었던 요인 중 하나는 사회적 한계 때문이기도 하다. 이덕무는 서자였기 때문에 글재주가 있어도 벼슬을 하기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그러나 1779년, 정조에 의해 규장각 검서관으로 등용되면서 벼슬길에 오르게 된다.권용선의 <읽으면 읽을수록 좋은 만병통치약>를 통해서도 ‘이덕무’의 삶과 읽기 태도를 알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책 읽기의 유익함과 의미에 대해 생각하게 하고 독자가 책에서 얻을 수 있는 가치를 생각해 보게 한다.‘이덕무’가 말하는 네 가지 유익함은 첫 번째, 배가 고플 때 책을 읽으면 글에 담긴 이치를 맛보느라 배고픈 줄 모르게 된다. 두 번째, 추울 때 책을 읽으면 그 기운이 소리를 따라 몸속에 스며들면서 온몸이 활짝 펴져 추위를 잊게 된다. 세 번째, 근심과 번뇌가 있을 때 책을 읽으면 천만 가지 온갖 상념이 일시에 사라진다. 마지막으로 기침을 할 때 책을 읽으면 기운이 시원스럽고 환해져 막히는 바가 없게 되어 기침이 돌연 멎게 된다고 했다.실제로 학생들과 수업하면서 ‘독서’에 대해 다시 생각을 해본 적이 있다. 가을의 어느 날 책 읽기를 권유하는 공익 광고 포스터를 만든 적이 있다. 그때 “가을은 독서의 계절이라고 불린다”라고 아이들에게 설명하며 수업 주제와 목표를 설명했다. 그러자 한 학생이 골똘히 생각하는 표정으로 교사를 바라보더니, 이내 공익 광고 포스터를 그렸다. 학생이 만든 공익 광고 포스터에는 “독서의 계절 사계절”이라는 문구가 한눈에 들어왔다. 이렇게 학생의 결과물을 통해 책 읽기에는 계절이 없고,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 내내 책을 읽어야 함을 다시 한번 더 생각해 보게 된 일화가 있다.이번 겨울은 어느 때보다도 책을 많이 읽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다. 추워서 실외 활동을 많이 하지 못하고 집에서 뒹굴뒹굴할 때도 책을 끼고 앉아서 찬찬히 책을 들여다보면 좋겠다. 따뜻한 전기장판 위에 앉아서 새콤달콤한 귤을 까먹으면서 책을 읽는 겨울, 책을 읽고 다른 사람과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며 온기를 채우는 겨울이 되었으면 좋겠다. 이덕무의 말처럼 책 읽기가 만병통치약이 되는 겨울이길 바란다.책읽기와 글쓰기 리딩엠 목동 직영 교육센터 부원장 염보윤양천구 목동서로 349 센트럴프라자 6층02-2646-8828 2023-12-08
-
예비 고1의 겨울방학 나기 고교 입학 후 학교에 머무는 시간과 학원에서 공부하는 시간을 제외하고 하루에 4시간 정도를 순수하게 공부한다고 가정하면 “4시간×30일×12개월=1,440시간” 정도를 공부할 수 있을 것이다. 양적인 시간 투자가 무조건 최선은 아니다. 하지만 영어라는 과목만 놓고 볼 때 학습 방법이 정해져 있고 양적인 시간 투자가 선행되어야 상승곡선을 그릴 수 있다고 보면 시간의 양적인 투자는 겨울방학을 알차게 나기 위한 첫 번째 필요조건이라고 볼 수 있다. 3학년 2학기 기말고사 후 11월 중순부터 시작하여 하루에 12시간 정도를 책상에 앉아있다고 가정하고 2월까지 휴일을 제외하고 100일이라 가정하면 산술적으로 “하루 12시간×100일=1,200시간 이상”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하루 종일 책상에 앉아있어야 가능한 수치이다. 시간의 중요성을 새삼 강조하는 이유는 고교 첫 번째 내신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오기 위해서 중3 겨울방학을 어떻게 보내야 할 것인지를 재차 언급하기 위함이다.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지만 필자가 수험계 입문 이후 예비 고등학생들을 수도 없이 겪고 난 이후 권장하고 제시하고 있는 원칙이라면 원칙들이다.첫째, 예비 고1 과정을 준비하면서 대부분 아이들은 모의고사는 경험한다. 하지만 2015 교육과정 막바지에 있는 아이들은 봉영여중을 제외하고는 서술형이 아예 없는 중학교 내신을 통해서만 시험을 치러봤기에 서술형 시험이 있는 고교 내신 시험은 미지의 세계라 할 수 있다. 기준도 잣대도 없기 때문에 아이들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주요 과목에 대한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고교 진학 후 자신이 보완해야 할 전략 과목들과 그 과목들에 대한 목표설정이 있고 난 다음에야 세부 전략을 세우고 그에 따른 치밀한 계획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목표 없는 계획이 성공할 수 없다.둘째, 목표가 설정되었다면 각 개개인의 목표에 맞는 세부전략, 즉 부족하다고 느끼는 부분을 면밀히 검토하고 꼭 채워 나가겠다는 의지와 실천이 필요하다. 목표 설정이 구호라면 그에 맞는 행동이 뒤따라야 함은 필연이다. 의지와 실천은 무엇이겠는가?. 필자가 글 첫머리에서 새삼 강조한 ‘절대 시간’의 투자이다. 산술적으로 가능한 시간의 투자는 그에 걸맞는 정도의 집중하는 시간을 만들어낸다. 12시간을 책상에 앉아있다고 가정하면 순수 집중 가능 시간은 70~90% 정도임을 인지하고 시간의 소중함을 스스로 일깨우며 전략과 계획을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이다. 12월 첫째 주이니 지금은 100여 일의 시간의 초입부이다. 어떤 장소에서 공부를 하든 초반 적응기를 잘 시작해야 본궤도에 진입하여 상승곡선을 그릴 수 있다. 여담이지만 아이들은 ‘내일은 내가 알아서 한다‘ ’일주일 혹은 한 달 만 쉬고 열심히 하겠다‘는 말을 부모님들께 습관처럼 당당하게 이야기한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 그런 말을 자주 뱉어내는 아이들의 경우 말만 앞세우거나 성공하는 사례가 매우 드물다. 자녀를 대학에 보내기까지 믿지 말아야 할 여러 가지 것들이 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알아서 하겠다’는 아이들 말일 것이다. 명심하자 ‘절대로 알아서 하지 않는다.’ 부모님의 역할이 ‘잔소리’를 하는 데 그치지 않도록 부모님들도 공부하고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 입시체계, 대학 입시의 흐름, 학교 진학 후 선택과목의 종류와 선택의 범위 등등 아이들보다 더 많이 혹은 아이들 만큼은 알고 얘기해야 아이들과 소통할 수 있다. 필자가 운영하는 학원 혹은 많은 학원에서 진행하는 설명회는 부모님들께 중요한 학습공간이다. 아이들은 목표를 위해, 부모님은 진정한 조언자와 보조자가 되기 위해 꼭 필요하다.고교 입학 전 3개월 남짓한 시간은 고교 1학년 전체의 순수 공부 시간과 맞먹는 엄청난 시간이다. 이 시간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서 대학의 등급이 달라질 수 있다. 겨울방학을 성공적으로 나기 위한 학생들과 그들을 보며 복잡한 심경을 가지고 계실 부모님들께 작은 도움이라도 됐으면 하는 마음이다. 학생들과 함께 슬기롭게 겨울방학을 보내고 3년 뒤 있을 대학 입시를 성공적으로 치르기 위해서는 부모님도 공부해야 아이들과 소통할 수 있다. 아이들의 진정한 서포터가 되기 위해 부모님도, 아이들도 최선을 다해야 시기임을 명심해야 한다.목동 더불어숲영어학원 고영홍 원장문의 02-2646-8202 2023-12-08
-
수능 국어 필망(必忘)하는 공부법, 국어 공부 이렇게 공부하면 안 된다! 2023학년도 수능 국어 시험을 학생들은 ‘불수능’이라고 한다. 하지만 필자 포함 많은 전문가들은 변별력이 잘 갖춰진 양질의 시험이라고 본다. 국어 공부를 열심히 한 학생이라면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지문의 난이도와 적당히 까다로운 5번까지의 선지가 잘 조화되어 있어 수험생들의 실력 차이를 비교적 적확하게 걸러내는 시험이었다는 평이 대세다.올 수능 국어에서 평소 ‘기본에 충실한 공부’보다 문제를 푸는 ‘테크닉 위주’로 공부를 한 학생들은 좋은 점수를 받지 못했을 것이다. 이제 한 해를 마무리 하고 새로운 학년을 준비하고 하는 학생들에게 수능 국어 1등급을 원한다면 반드시 피해야 할, 최악의 ‘필망(必忘) 공부법’을 설명하고자 한다.남 따라하는 공부는 하지마라먼저, 자신의 현재 국어 실력은 파악하지 않고 무작정 다른 사람을 따라 공부하는 것이다. ‘남이 장에 간다고 하니, 똥지게 지고 따라 간다’라는 속담이 있다. 자신이 지금 무엇을 하는 중이었는지, 또 무엇을 해야 하는지 생각하지 않고 남이 하는게 좋아 보여 무조건 따라한다는 뜻이다. 국어 공부를 할 때도 자신의 실력이나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남이 쓰는 교재를 따라 사거나, 남이 다니는 학원에 따라가는 방식의 국어 공부는 필망하는 공부법이다. 자신에게 어떤 점이 부족한지 파악해가면서 부족한 부분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계획을 세워 채워가며 공부해야 한다.모의고사 위주의 공부는 하지마라둘째로, 모의고사 위주로 국어 공부를 하는 것은 필망하는 공부법이다. 국어 학원을 선택할 때 반드시 피해야 할 학원은 모의고사 문제를 주 수업 텍스트로 사용하는 학원이다. 모의고사 문제는 자신의 실력을 평가하기 위한 문제이지 학습을 위한 것이 아니다. 그런데도 국어 학습의 과정을 잘 모르는 학부모들은 모의고사 문제를 학원에서 수업 교재로 다룬다고 하면 아이가 모의고사 더 나아가 수능 시험을 잘 볼 것이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기초는 부족한데 모의고사 문제를 다뤄달라고 요구하시기도 한다.하지만 충분한 ‘기본기 다지기 공부’ 없이 모의고사 위주로 공부하는 것은 국어 필망의 지름길이다. 문학 비문학 문법 등 수능 국어 제 영역에 걸쳐 자신의 실력에 맞는 교재로 충분히 실력을 갈고 닦은 후, 학습의 성과를 측정하는 용도로 모의고사는 사용해야 한다.핵심어 위주의 문제 풀이식 공부는 하지마라셋째, 비문학 독해 공부를 할 때, 핵심어 위주의 문제 풀이식 방식으로만 공부하는 것은 필망 공부법이다. 수능 국어 영역에서 비문학의 비율은 60% 이상이다. 탄탄한 비문학 독해 실력 없이는 수능 국어 1등급은 먼 꿈나라 이야기인 것이다. 그런데 유명 강사나 유명 학원들 중에는 ‘지문 분석’이라는 이름으로 핵심어 위주의 지문 독해기술만 가르치는 경우가 있다. 이런 분들의 강의를 듣다보면, 그 기술만 있으면 공부를 조금만 하고도 문제를 다 맞출 것 같은 생각이 들기도 한다.그러나 그런 생각은 어리석은 오해다. 국어 지문 독해는 수학 공식처럼 예외 없이 맞아 떨어지는 규칙이 없기 때문이다. 물론 어떤 수준에 올라가면 약간의 테크닉이 지문 독해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기본기를 탄탄히 하는 우공이산(愚公移山)의 노력 없이 테크닉 위주로만 공부를 한다면 수능 국어에서 필망하고 말 것이다.한쪽 방향식 수업은 피하라넷째, 국어 공부를 할 때, 질문이나 대화 없이 일방향 강의식 수업만 듣는 것은 공부의 효율이 떨어져 ‘국어 필망’이 되기 쉽다. 국어 공부를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읽고 쓰고 말하기’이다.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말하면! 국어 공부를 잘할 수밖에 없다. 수능 국어를 대비하는 중고등 학생들도 점을 명심해야 한다.그래서 필자는 학생들을 가르칠 때, 학생들에게 질문을 많이 하고, 또 학생들에게는 질문을 많이 하라고 재촉도 한다. 일방적으로 강의식 수업을 듣는 것만으로는 국어 공부 성과를 극대화시키기 어렵다.꾸준함에만 만족하며, 매일 조금씩만 하는 공부는 하지 마라마지막으로, 매일 매일 3~4지문씩 꾸준히 문제를 푸는 공부법은 수능 국어에서 필망하기 십상인 공부법이다. 국어 공부는 일정 기간 동안 한번 공부를 시작하면 최소 4~5시간 이상 몰입하는 집중몰입식으로 공부할 때 눈에 띄는 성과를 볼 수 있다. 고등 단계에서 국어 공부는 조금씩 꾸준히 하는 방식으로는 성과를 보기 어렵다. 적은 양의 공부는 쌓이지 않고 대부분 흘러가 버리기 때문이다. 집중몰입식 국어 공부법에 관해서는 다음 기회에 자세히 소개하기로 하겠다.한 해를 마무리하고 새로운 마음을 다 잡는 학생들이 필망(必忘)하는 공부법을 피하고 필승(必勝)하는 공부법을 습관화하여 2024년 수능 국어에서는 모두가 국어의 신(國神)이 돼 있기를 바라본다. 유리나 원장목동 생각의지평 국어논술 학원문의 02-2646-1241 2023-12-08
-
과학고는 수학 과학만 잘하면 된다? 영어 과목의 중요성 돌아보기 영재고에 이어 전기 모집인 과학고등학교의 합격자가 12월 초 발표되었다. 과학고 입학전형에서는 대부분 중학교 3학년까지의 수학, 과학 성적만 반영이 되므로 저학년 때부터 과학고, 영재고 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들은 아무래도 수학, 과학 과목에 ‘올인’하게 된다. 입학 후 교과과정은 당연히 수학, 과학 중점의 학습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과연 영어와 같은 타 과목은 어떻게 반영되고 그에 대한 대비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영어가 발목을 잡을 수도필자는 대치동에서 오랜 기간 과학고 재학생의 영어 내신을 담당했고, 많은 학생들이 영어 내신 준비에서 힘들어 하는 것을 보아왔다. 앞서 말한 것처럼 수,과학 학습에 몰입해온 과학고 학생들은 영어를 포함한 다른 과목에 대한 학습이 소홀해질 수밖에 없는데, 이로 인해 대입에서 수시의 비중이 큰 과학고에서 수학,과학 다음으로 비중있는 영어, 국어 등의 과목들을 따라가기 위한 학습력이 부족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서울 지역 한성과학고, 세종과학고 1학년을 기준으로 영어 과목 수업 시수는 3단위로 결코 비중이 낮지 않다.따라서 조기 진학, 조기 졸업을 염두에 둔 학생들은 1학년 때부터 영어 내신에도 신경 써야 한다. 중학교 때부터 영어 학습도 함께 신경 쓴다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한 학생들은 수학, 과학에 비해 영어 내신 성적이 부족하여 2학년에 올라가 영어 과목으로 인해 고민하는 학부모님들을 많이 보았다. 이처럼 과학고에서도 영어는 꼭 챙겨야 할 과목 중 하나이다.과학고 영어는 최소 시간으로 최대 효율을한성과학고, 세종과학고 모두 영어 내신 시험에서 서술형의 비중이 50% 이상으로 매우 높다. 따라서, 과학고 합격생들은 입학 전 방학 기간을 통해 문법/서술형을 중심으로 영어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야 한다. 물론, 영어에 대한 기초가 부족한 학생들은 입학 전 두 달 정도의 기간이 충분치 않지만, 1학년 핵심 문법을 중심으로 최소한의 문법적 지식을 반드시 갖춰야 할 것이다. 입학 후 내신 대비는 1학년 핵심 문법에 대한 학습과 함께 타 과목에 더 시간을 투자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수업이 가장 중요하다고 본다. 최소한의 시간으로 학습하여 최대한의 효율을 낼 수 있는 수업과 함께, 방학 기간을 통해 문법/서술형을 집중적으로 보완하는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프리미엄 중고등 영어입시전문목동 YSD너희의봄날 영어학원김지연 원장문의 02-2646-0320 2023-12-08
- 목동 영어, 중학생 때 잘 버티던 아이들 왜 고등학교 시험에서 무너질까? 40. 밑줄 그은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의 개수는? [2.7점]There will be people who ①learn about the passing of Stan Lee and politely pause before shrugging off his contributions as child’s play. And while it is true he became famous for the creation of Marvel Comics and characters such as Spider-Man, Black Panther, Thor and The Incredible Hulk, the reason why he is loved ②aren’t child’s play at all. His famous characters ③may have started offas comics but they never stayed on the page. They outgrew the merchandising. They overflowed out of our televisions. They even are larger than their fictional lives ④portray on the big screen. That’s because Stan Lee did more than create characters. He created hope and hope cannot ⑤be contained. Those who would hear of Stan Lee’s passing and not feel a tremendous sense of loss ⑥doing so, I would argue, because they are not able to see all ⑦what he gave the world.①1개 ②2개 ③3개 ④4개 ⑤5개고등학교 내신 시험의 50%는 문법적 조직력이다!위 지문은 목동 소재 00고등학교에서 문법 문제로 나온 실제 외부 지문이다. 응용과 난이도가 극단적(?)이라 할 정도로 높다. 이처럼 목동 지역 고등학교 영어 시험에서 변칙이 키워드가 된 이유는 ‘상대평가’ 때문이다. 90점만 넘으면 되는 중학교 시험의 ‘절대평가’ 방식과는 다르게 고등학교에서는 학생의 등수에 따라 등급을 나눈다. 더불어 2015년 이후로 학생부종합전형의 비중이 증가하면서부터, 고등학교 시험의 난도는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특히, 목동 지역 고교 영어 시험 난이도는 중학교 때 제대로 준비하지 않고서는 손을 댈 수 없는 수준이다. 난도 높은 고교 영어 내신시험을 버텨내기 위해서는 중학생 때 어떤 공부를 해야 할까?핵심을 말하자면 ‘영작을 기반으로 한 문법 능력(문법적/구조적 조직력)’을 길러야 한다는 것.한때 문법영역 네 문제가 수능 등급을 결정하던 때가 있었으나, 난도가 너무 높다는 여론 때문에 문법은 이제 수능에서 한 문제 정도로 비중이 줄었다. 하지만 학교 내신에서는 여전히 문법의 영향력이 세다. 영어 시험 등급을 결정하는 요소 중 거의 50%까지 차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문법은 문제를 내기도, 평가하기도 가장 쉽기 때문이다. 그래서 문법/영작 학습의 기반이 가장 중요하다. 즉, 문장을 조직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할 수 없으면 고교 영어 시험에서 제대로 버티기 어렵다. 본문을 그대로 출제하는 고등학교는 거의 없다. 본문을 외워서 시험보는 중학교식 공부 방법으로는 문법적 변형을 감당할 수가 없다.시험이 끝나면 완전히 백지 상태가 되는 아이들중학교 때는 잘 드러나지 않지만 고교 진학 시 가장 위험한 아이들은 초등학생 이후 축적된 데이터 양은 많은데 조직력이 떨어지는 타입이다. 조직력을 구축하지 않고, 양(암기) 위주로 공부한 아이들과 부모님들의 한결같은 불안은 “돌아서면 완전히 백지 상태로 돌아간다”이다.그리고 암기형으로 공부를 하고서 점수가 잘 나오지 않으면 하는 대표적인 3가지 변명은 이렇다. “다 아는 건데 실수했다”, “이것도 저것도 뜻이 통하니 둘 다 답 아닌가?”, “내용은 알겠는데 정확한 답이 헛갈린다” 이 학생들은 이런 변명 후에 다음 시험 대비로 더 철저하게 외우기를 선택한다.중학생들은 왜 이처럼 암기 위주로 공부할까? 중학교 시험이 절대평가라 비교적 쉽기 때문이다. 중학 시험은 교과서에 나오는 문법 키워드 4개만 출제되기에 암기만으로도 충분하다. 개념을 잘 몰라도 문제집만 풀면 점수가 나온다. 이러하니 문법 용어와 개념을 강조해봤자 아이들에게는 전혀 와 닿지 않고, 자신에게 가장 손쉬운 암기라는 방법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나 뒤로 갈수록 변칙, 심화 등의 응용으로 이어질 수 없고 고등학교 시험 대비를 할 수 없게 된다. 고교 시험은 영작을 기반으로 문법 전체에 대한 얼개가 제대로 되어 있어야 대비 가능하다.‘설명이 기반 된 영작’만이 유일한 해결책“문장을 만드는 전체 얼개가 만들어져야 문법 체계가 자리를 잡는다!”학생이 조직적 능력이 갖추어져 있는가를 테스트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설명’이다.교과서에 있는 문장을 그대로 외워 쓰는 것이 아니라 기본 문장부터 영작이 가능한지 확인해 보아야 한다. 이는 문장을 크게 주어와 서술어로 구분할 수 있는지, 우리말과 영어의 구성 원리 사이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이해 과정의 토대 위에 문법적인 힘이 받침이 되어야 고등학교에 가서도 무너지지 않는다.고등학교에 가서도 잘하는 중학 최상위권 학생의 공통점은 첫째, 난도 높은 영작에 강하다. 둘째, 명확하게 품사/용어적 ‘설명’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문장의 구성 원리를 체득하고 있으며, 문장 전체를 구성할 수 있는 힘이 있어야, 즉 ‘영작’의 힘이 있어야 문법적 체계와 범주에 대한 이해가 자리를 잡게 된다. 그렇기에 영작을 기반으로 한 문법적 조직력이 고교 영어 시험의 핵심이 되는 것이다.김준현 부원장목동영어학원 박상준어학원02-2648-1809 2023-12-08
-
중학교 수학과 고등학교 수학의 결정적 차이 고등학교 진학을 앞둔 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은 아마도 수학일 것이다. 중학교 수학보다 양과 내용 모두 어려워졌으니 공부시간과 문제 풀이를 늘려야 한다는 조언도 많이 들을 것이다. 하지만 단순하게 양만 늘리는 것이 도움이 될까?고등학교 입학 후 첫 중간고사를 보고 나면 학생들은 큰 혼란에 빠진다. 어려워 풀지 못하는 문제가 많고, 시간도 부족해서 풀 수 있는 문제를 못 풀고 끝내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중학 수학과 고등학교 수학의 어떤 차이가 이런 문제를 발생시키는지 알아보고 그 해결책을 제시해 보려고 한다.고등학교 수학에서 문제 해석의 중요성중학교 수학과 고등학교 수학의 가장 큰 차이는 문제 접근방법에 있다. 중학 수학 문제는 출제자가 원하는 것을 문제에 직접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개념 적용-결론 도출’이라는 2-스텝(step) 과정만으로도 문제가 해결된다. 2-스텝으로 문제 해결 연습을 하다 보면 학생들은 문제를 보자마자 출제자의 의도를 확인하고 그에 맞는 개념을 적용하여 결론을 낸다.하지만 고등수학의 경우 ‘문제해석’이라는 새로운 단계가 추가된다. 문제해결 과정이 3-step으로 바뀌는 것. 이것이 중학교 수학과 고등학교 수학의 결정적 차이다. 고등학교 수학은 ‘문제 해석-개념 적용-결론 도출’의 세 단계를 모두 연습해야 한다. 그 중에서도 예비 고1 학생들은 ‘문제해석’ 방법에 더욱 집중해야 한다. 아직은 낯선 이 방법이 고등수학을 정면 돌파하는 핵심 키워드이기 때문이다. 한 문장씩 문제를 읽어 내려가면서 마치 영어를 독해하듯이 문장의 표현에 개념을 적용하여 해석해 내야 한다. 문제 풀이란 결국 이렇게 해석해 놓은 내용을 논리적으로 재조합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풀리지 않는 문제로 고민할 때 선생님의 힌트 한마디가 돌파구가 되는 경우가 꽤 있다. 학생이 해석하지 못한 문장의 속뜻에 대한 힌트일 뿐인데도 풀이의 실마리가 된다. 즉 잘 된 해석+논리적 재조합+결론 도출이라는 일련의 과정이 고등학교 수학의 특징이다.고등학교 수학에서 꼭 필요한 연습고등학교 수학 문제는 영어 과목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패러프레이징(paraphrasing)’이라는 방법을 사용하여 출제되는 경우가 많다. 흔히 ‘바꿔 말하기’라고 하는 이 방법은 똑같은 의미를 다양한 표현으로 바꾸어 나타내는 방법이다. 상위권 도전을 위해서는 이런 표현 해석 연습을 반드시 해야 한다. ‘그저 많은 문제를 풀다 보면 언젠가 알겠지’란 생각은 시간에 쫓기고 문제 해석이 안 되는 고등학생들에겐 무책임한 말이다.만약 자녀가 수학의 돌파구를 찾지 못한다면, 개념의 부족 외에 문제해석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지 않나 생각해 보아야 한다. 무턱대고 문제를 푸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내용을 어떻게 해석하는지가 중요하다. 출제자가 제공한 정보를 해석하고 그 안에 있는 내용을 파악해야만 상위권으로 도약할 수 있다. 중학 수학과 고등학교 수학의 가장 큰 차이를 알았으니 그에 맞는 공부를 통해 고등학교에 진학한 후에 수학에 대한 두려움을 떨치고 준비할 수 있기를 바란다.김현진 원장목동 멘툴스 수학전문학원문의 02-6953-8778 2023-12-08
-
예비 중학생, 수능 준비를 위한 영어학습 방향성 찾기 특정 과목에 뛰어난 재능을 보여 이미 확실한 방향을 잡은 경우가 아니라면, 현재 예비 중1 자녀를 둔 학부모들은 중학교 입학 전 ‘과연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고민이 클 것이다. 더욱이 입시 정책이 거의 매년 바뀌어 혼란이 가중되는 현실에서 뚜렷한 목표나 소신이 없다면 주변 정보에 이리저리 흔들리기 십상이다. 예비 중1 학생들이 어떻게 해야 시행착오를 줄이고 바람직한 대입의 길을 갈 수 있는지 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아카데믹 영어학습으로의 체질 개선현 중3, 예비 중1 학생들에게 가장 시급한 것은 ‘체질 개선’이다. 기존에 해오던 영어 학습이 회화 패턴과 흥미 위주의 ESL 방식이었다면 이제 서서히 아카데믹 영어 학습 방식에 적응하도록 해야 한다.학교 내신 시험 문제는 학년별 커리큘럼을 넘어서는 다양한 문제들이 많다. 고학년이 될수록 더 그렇다. 학교에서 배우는 학습과 실제로 학생들이 풀어야 하는 문제들 사이의 괴리감은 아주 크다. 따라서 예비 중학생들은 한국식 입시 영어를 병행할 수밖에 없다. 이번 겨울방학을 반드시 입시 영어의 기틀을 다지는 전환기로 삼아야 한다.어휘가 없으면 영어도 없다학교 시험이든 수능 영어든 TEPS같은 고난도 인증시험이든 앞으로 치를 모든 시험에서 고득점 선결과제는 ‘시험에 맞설만한 탄탄한 어휘력을 갖추는 것’이다. 지금껏 스토리텔링과 회화에 나오는 표현들을 오로지 감각에 의지한 감으로 찍었다면, 오늘부터 단 20개라도 실제 출제 빈도가 높은 아카데믹 영단어를 암기하는 습관을 들여라. 특히 많은 중학생들이 영단어를 제대로 읽을 줄 모른다는 사실도 간과해선 안 된다.중등수준 이상의 영어실력을 다져놓은 경우가 아니라면 지금 당장 단어장을 펴서 자녀들이 영단어를 제대로 읽는지, 발음기호를 알고 있는지 확인해 보길 권한다. 단어를 제대로 읽지 못하면 단어를 암기하는 것도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독해지문을 정확히 해석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제대로 된 발음을 모르기에 실제 아는 단어라도 듣기시험의 음원으로 나오면 도무지 알아들을 수 없다. 외워야 할 어휘들이 정말 많긴 하다. 하지만 그 단어들이 입시 성공의 두둑한 밑천이 될 것이다.문법 용어가 어려운 건가? 문법이 어려운 건가?현재 자녀들이 ESL 프로그램과 원어민 회화에만 익숙해 있다면, 한국식 문법 용어는 분명 매우 껄끄럽고 이해하기 힘든 두려움의 대상이 돼버리고 만다. 예를 들어 형용사의 역할과 쓰임을 모르는 학생은 현재분사, 과거분사, to 부정사 형용사적 용법, 관계대명사절, 관계부사절을 잘 이해하지 못한다. 이러한 잠재적 불안요소를 없애고 문법의 기틀을 확실히 갖추기 위해서는 우선 8품사, 문장의 5형식, 구와 절 등의 핵심 문법 용어들부터 정리해주고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도록 학습관리를 해줘야 한다.‘단기간’ ‘속성’ ‘영문법 마스터’ 등 어린 학생들이 영문법 책 몇 권 봤다고 문법이 빨리 정리되지는 않는다. 영문법의 가장 기본을 철저히 이해하고, 독해 지문에서의 문법 구조를 꼼꼼히 분석하며, 짧은 문장이라도 정확히 영작하는 훈련을 거듭하는 등 어느 정도의 시간을 꾸준히 들여야 영문법은 비로소 정리가 된다. 제발 영문법이란 것은 영어를 읽고, 듣고, 쓰고, 말하는 방법이지 문제풀이를 위한, 빨리 점수를 내기 위한 도구가 아니란 것을 명심하시라.이제는 입시 영어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때사실 듣기 영역이 아니라면 어린 학생들이 영어에서 큰 두각을 보이기 어렵다. 입시 상황에서 지금 당장 예비 중학생들이 점수를 낼 수 있는 부분도 아직은 듣기 영역 밖엔 없다. 어떤 입시 영어든 듣기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은 높다. 반복적인 듣기 훈련을 통해 기본 점수대를 높이고 영어에 대한 자신감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또한 지금껏 동화나 짧은 에피소드 위주로 읽기를 많이 해왔다면 이제부터는 내용과 사실적 정보가 있는 아카데믹한 독해를 시작하라. 지문 내용을 통해 배경 지식을 쌓고, 긴 문장은 서서히 구조분석을 하며, 장황한 전체 지문 가운데 글의 흐름을 파악하게 함으로써 앞으로 겪게 될 입시 영어에 대한 적응력을 얻어야 한다. 또한 서술형 문제에서 스펠링 하나라도 틀리면 무조건 감점이 되는 상황에서 ‘실수했다’는 말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 학교에선 그저 ‘실력’으로 비춰지며 ‘점수’로 기록된다. 감각의 촉을 세우도록 학습시켜 우선 어순배열부터, 짧은 문장부터 제대로 쓰도록 하고 향후 좀 더 디테일 한 영작능력을 갖추도록 지속적인 관리를 해줘야 한다.공부에 왕도는 없다지만 시행착오는 무수히 많다. 시행착오를 줄인 흔들림 없는 영어 실력을 갖춘다면 우리 초등, 예비 중학생들이 입시 영어에서도 승리할 것이라 확신한다.한창열 원장연세대 영어교육석사현)목동 메카영어전문학원전)강남 한솔학원 고등부원장02-2653-0579 2023-12-08
-
겨울방학, 공부에 앞서 마음가짐부터 바로 하자 이 글은 공부를 매우 잘하고 싶은 그리고 공부를 통해 지금까지와는 다른 삶을 살아보려는 의지를 지닌 학생들을 위한 것이다. 욕심만 앞설 뿐 실천은 하지 않으면서 어설픈 공부 비법이나 요령 같은 것들을 기대하는 학생은 여기에서 읽기를 멈춰야 한다. 조금 힘들 수 있지만 올바른 공부의 길을 한 걸음씩 내딛어보려는 학생만 계속해서 읽어주길 바란다.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지난 16일 치러졌다. 이제 예비 고3 학생들의 새로운 입시 레이스가 시작되었다. 착실히 공부하며 내신과 수능을 준비해왔든, 다소 아쉬운 시간을 보냈든 다가오는 2024년은 인생에서 가장 성실하게 보내는 한 해로 만들어야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겨울 방학을 의미 있게 보내야 한다. 겨울 방학에는 온전히 자기 공부에만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무려 두 달 넘게 주어지기 때문이다. 노력의 질과 양에 따라 그 정도는 다르겠지만, 이 시간이라면 긍정적인 변화를 끌어내기에 부족함이 없다.공부의 시작은 새로운 마음가짐으로부터겨울 방학을 잘 보내려면 무엇보다도 마음가짐을 새롭게 해야 한다. 그 첫 번째는 나 자신에게 강하게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다. 도대체 이 힘든 공부를 왜 해야만 하는지, 대학은 왜 가려고 하는지 자신에게 물어보도록 하자. 그저 남들이 하니까, 부모님이 시키니까 안 할 수 없어서, 유명한 대학에 가면 졸업 후 취업이 잘 되어 돈을 더 잘 벌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생각으로 공부한다면 그 과정은 한없이 괴롭기만 할 것이고 결과도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이다. 그러니 본격적으로 공부하기에 앞서 나만의 절실한 이유, 동기는 하나쯤 만들어두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왠지 이 대학교 학생이라고 나를 소개하면 어깨가 으쓱할 것 같다는 조금은 유치하게 느껴지는 이유라도 괜찮다. 이것은 분명 훗날 공부에 지치고 힘들 때, 내가 다시 달릴 수 있게 도와주는 러닝메이트가 될 것이다.서울대에 2번 합격할 수 있었던 마인드 세팅필자인 나 자신을 예로 들어보겠다. 나는 이왕 하는 공부 제대로 해보고 싶었다. 그리고 공부로 누군가에게 뒤지고 싶지 않았다. 결국 내 목표는 서울대 진학으로 정해졌고, 그 생각 하나로 공부하기 싫은 순간, 조금 더 놀고 싶은 마음을 다스렸다. 나 역시도 다른 남학생들처럼 컴퓨터 게임을 좋아했으니, 그걸 참아가며 공부한다는 게 여간 힘든 게 아니었다. 그러나 서울대 학생이 되고야 말겠다는 나의 열망과 의지는 그것들을 이겨낼 수 있게 해주었고, 그 덕분에 나는 나에게 주어진 시간을 알차게 보낼 수 있었다. 그 결과 고3 때에는 서울대 공대에, 두 번째 도전에서는 서울대 수의대에 합격할 수 있었다. 이처럼 강한 의지가 갖는 힘은 실로 엄청나다.타인에게 설명할 수 있어야 진정한 공부두 번째는 단 한 권의 책, 단 한 편의 강의를 보더라도 그 안에서 모르는 게 없는 상태를 만들고 다른 교재, 다른 강의로 넘어가려는 태도를 지녀야 한다는 것이다. 내가 공부한 책에서 모르는 게 없다는 것은, 그 내용을 책을 덮은 채로도 다른 사람에게 정확히 ‘설명’해서 이해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가벼운 마음으로 교재 한두 번 읽고 강의 하나 완료한다고 이룰 수 있는 경지가 아니다. 꽤 많은 학생이 책에 있는 모든 문제를 한 번 풀어내면 공부를 끝냈다고 여기고 곧바로 새로운 책을 찾아다니는 모습을 보이는데, 그런 학생에게 틀렸던 문제를 무작위로 골라 풀고 설명해보게 했을 때 제대로 해내는 경우를 거의 보지 못했다. 이렇게 해서는 실력을 키울 수 없다. 단순히 시간과 횟수에 의미를 두지 말고 앞서 언급한 상태가 될 때까지 계속해서 새겨나가는 진정한 공부를 해야 한다.이 대목에서 다른 사람에게 공부한 내용을 설명하는 행동이 갖는 의미에 대해 짚어보겠다. 단언컨대 설명은 내가 제대로 공부했는지, 또 완전히 알고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중 가장 훌륭하다. 공부한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했는데 이해를 잘한다면 나의 공부가 충분한 것이고, 이해를 못 한다면 어딘가 부족한 부분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설명 과정을 통해 내가 완벽하게 알고 있다고 여긴 부분에도 빈틈이 있음을 느끼고, 그것을 채우기 위해 더 깊이 공부하면 나의 이해와 암기가 더욱 단단해질 수 있다. 지금부터 당장 나보다 공부를 더 잘하는 친구에게, 나와 가까운 선생님께 공부한 것을 설명해보자. 실제로 나와 함께 공부했던 학생들은 설명하는 과정에서 배워가는 게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고 증언하고 있다.공부를 열심히 제대로 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리고 어지간한 각오로는 오래지 않아 도중에 흔들리고 무너질 수 있다. 그러나 앞서 강조한 것들을 마음에 새기고 실천해 나간다면 겨울 방학을 넘어 다가오는 1년을 내 인생에서 가장 찬란한 순간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다음 이야기에서는 겨울 방학 중 수능 영역별 공부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그때까지 공부에 대한 강한 동기와 의지를 만들어보도록 하자.목동 수능 전문 독학재수학원리더스소사이어티 정현준 대표원장문의 0507-1444-1129 2023-12-08
- 2023학년도 양천 지역 중학교 졸업생 진학 현황 특목고 진학률 월촌중 8.3%로, 자사고 진학률 양정중 44.6%로 가장 높아교육과학기술부는 학교 정보공시제 시행에 따라 ‘학교알리미(www.schoolinfo.go.kr)'에 중학교별 올해 졸업생 진로 현황을 지난 11월 공개했다.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양천구 중학교 중 특수목적고 진학률이 가장 높은 중학교는 월촌중이었고 자율형사립고의 진학률이 가장 높은 학교는 양정중이었다. 학교알리미 공시를 통해 2023년 양천지역 중학교 졸업생들의 고교 진학을 일반고와 특성화고, 과학고, 외고, 예고, 마이스터고를 포함한 특수목적고, 그리고 자율형 사립고와 자립형 공립고를 포함하는 자율고로 나누어 살펴보았다.박선 리포터(ninano33.naver.com)*자료 취합 기준-2023년 11월 학교알리미 사이트에 공시된 양천구 지역 중학교 졸업생 진로 현황 자료를 취합했다.양천 지역 중학교 일반고 진학률 해마다 늘고 있어 양천지역 중학교 중 일반고 진학률이 가장 높은 학교는 강신중으로 전체 졸업생 285명 중 273명, 95.8%를 나타냈다. 그다음 학교는 영도중으로 전체 졸업생 129명 중 112명, 86.8%였다. 봉영여중은 전체 졸업생 185명 중 159명, 85.9%의 일반고 진학률로 그 뒤를 이었다. 양천지역의 일반고 진학률은 해마다 상승하는 추세다. 일반고 진학비율이 80%가 넘는 중학교가 지난해 6개 학교에서 올해 8개 학교로 늘었다. 일반고 진학률이 계속 늘어나고 있는 것은 내신등급을 받기 위함이나 정시의 비중이 점점 높아지는 입시 정책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목고 진학률 월촌중이 가장 높고 신목중, 목운중 순 특목고는 특수 분야의 전문적인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고등학교로 과학고, 외국어고, 국제고, 예술고, 체육고, 마이스터고로 분류되어 있다. 특목고 진학률이 가장 높은 학교는 월촌중으로 나타났다. 월촌중은 전체 졸업자 492명 중 41명이 진학해 8.3%의 진학률을 보였다. 과학고 진학생은 10명으로 2.0%, 외고 진학생은 17명, 3.5%를 보였다. 예·체고도 14명, 2.8%를 나타내었다. 신목중은 전체 졸업생 514명 중 42명, 8.2%의 특목고 진학률을 보여 월촌중 다음으로 높았다. 신목중은 과고 진학생이 19명으로 3.7%의 진학률을 보였고 외고는 11명으로 2.1%의 진학률을 보였다. 예·체고는 12명으로 2.3%의 비율을 보였다. 신목중 다음으로는 목운중이 특목고 진학에 높은 비율을 보였다. 전체 졸업생 473명 중 38명, 8.0%의 진학률을 보였다. 과학고에는 8명, 1.7%의 진학률을 보였고 외고는 26명, 5.5%의 진학률을 보이며 진학했다. 목운중은 예·체고에 4명을 보내 0.8%의 진학률을 나타냈다.과학고 진학률 신목중 가장 높고 외고 진학률은 목운중 가장 높아 특목고를 나누어 살펴보면 과고 진학률이 가장 높은 학교는 신목중으로 나타났다. 전체 졸업자 514명 중 19명, 3.7%의 진학률을 보였다. 다음으로는 신서중이 14명, 3.2%를, 월촌중이 10명, 2.0%의 진학률로 그 뒤를 이었다. 외고의 경우는 목운중이 전체 졸업생 473명 중 26명, 5.5%로 가장 높은 진학률을 보였고 목동중이 그다음이었고 월촌중이 그 뒤를 이었다. 예·체고는 신월중이 졸업생 199명 중 7명, 3.5%로 가장 높은 진학률을 보였다. 다음으로는 월촌중이 전체 졸업생 492명 중 14명, 2.8%를 나타냈고 봉영여중도 전체 졸업생 185명 중 5명, 2.7%를 나타냈다. 전체적으로 특수목적고 중 과학고의 진학생 비율이 상승했고 특수목적고 진학률이 전체적으로 상승세를 보여 예전 특수목적고의 인기가 양천지역에서 다시 살아나는 것이 아닌가 조심스럽게 추측해볼 수 있다.자사고 진학률 양정중 가장 높고 목운중 목일중 순자율고는 교육과정, 학사 운영의 자율성을 제고한 고등학교로 자율형 공립고(자공고)와 자율형 사립고(자사고)로 나뉜다. 양천지역의 자사고 진학률이 가장 높은 학교는 양정중으로 전체 졸업생 186명 중 83명, 44.6%로 월등히 높은 진학률을 보였다. 그다음은 목운중으로 졸업자 473명 중 68명, 14.4%의 진학률을 기록했다. 목일중은 졸업자 430명 중 49명, 11.4%의 진학률을 기록해 세 번째로 높았다. 자공고 진학은 양천지역에서는 월촌중에서만 진학생이 있었고 전체 졸업생 492명 중 16명, 3.3%의 진학률을 보였다.특성화고 진학률 신원중 가장 높아특성화고는 소질과 적성 및 능력이 유사한 학생을 대상으로 특정 분야의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직업교육 또는 자연 현장 실습 등 체험 위주의 대안 교육을 전문적으로 실시하는 고등학교를 말한다. 양천지역 중학교 중 특성화고 진학률이 가장 높은 중학교는 신원중으로 전체 졸업생 101명 중 45명, 44.6%를 보였다. 그다음으로 양서중이 높았는데 졸업생 143명 중 35명, 24.5%의 진학률을 나타냈다. 세 번째로 높은 학교는 양천중으로 전체 졸업생 233명 중 53명이 진학해 22.7%의 진학률을 보였다.영재학교와 유학 포함하는 기타 비율은 양정중이 가장 높아졸업생 진학 현황의 진학자 항목 중 기타의 비율은 외국인 학교, 특수학교, 각종학교, 영재학교 등 진학자를 말한다. 기타비율이 가장 높은 학교는 양정중으로 7명, 3.8%의 비율이었다. 그다음으로는 3명, 2.1%의 비율을 보인 양서중이 뒤를 이었다. 대안교육기관으로의 진학은 강신중 1명, 목동중 1명, 양서중 1명을 나타냈다. 무직자 및 미상은 진학하지 않거나 일정한 직업이 없는 자, 졸업 후 상황이 파악되지 않는 자를 말한다. 목운중이 5명, 1.1%로 가장 많았고 양강중 1명, 0.3%, 목동중이 1명, 0.2%의 비율을 보였다.<양천지역 중학교 졸업생 진학 현황>(단위:명,%)학교구 분졸업자진학자대안교육기관무직자및미상일반고특성화고특수목적고자율고기타진학자계과학고외고국제고예고체고마이스터고소계자율형사립고자율형공립고소계강신중합계285273012429202028410비율95.80.00.40.71.40.73.20.70.00.70.099.60.40.0금옥중합계27322528216413707027300비 율82.410.30.70.42.21.54.82.60.02.60.01000.00.0목동중합계49439414319602848048849211비 율79.82.80.63.81.20.05.79.70.09.71.699.60.20.2목운중합계4733488826403868068646805비 율73.61.71.75.50.80.08.014.40.014.41.398.90.01.1목일중합계430352848802049049143000비 율81.91.90.91.91.90.04.711.40.011.40.21000.00.0봉영여중합계18515916145010000018500비 율85.98.60.52.22.70.05.40.00.00.00.01000.00.0신남중합계2031564300011303020300비 율76.821.20.00.00.00.50.51.50.01.50.01000.00.0신목중합계5144211919111204231031151400비 율81.93.73.72.12.30.08.26.00.06.00.21000.00.0신서중합계43335914145702632032243300비 율82.93.23.21.21.60.06.07.40.07.40.51000.00.0신원중합계101554500101000010100비 율54.544.60.00.01.00.01.00.00.00.00.01000.00.0신월중합계1991523710708202019900비 율76.418.60.50.03.50.04.01.00.01.00.01000.00.0신화중합계187158260120300 2023-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