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적 비수기 및 이라크 공급 증대 기대 … 폭락 가능성은 희박
3월들어 국제유가가 두바이유 기준 배럴당 30달러를 넘어서는 등 고유가가 지속되는 가운데 올 2분기에는 24-25달러선까지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하지만 산유국들의 감산정책이 지속될 경우 27-28달러 수준의 고유가 지속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것으로 지적됐다.
구자권 한국석유공사 해외조사팀장은 15일 평촌 본사 대회의실에서 열린 ‘국제유가 전문세미나’에서 ‘최근 국제원유가 동향과 전망’이라는 제목의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구 팀장은 “현재의 고유가는 지난달 10일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 결정이후 투기자금 유입과 베네수엘라 정정 불안이 가세했기 때문”이라며 “2분기 이후에는 계절적 비수기 진입과 이라크 공급 증대, 재고회복 등으로 24-25달러로 떨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반기에는 계절적 수요회복 등으로 OPEC의 여유있는 시장관리가 가능해져 25-26달러선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구 팀장은 "하지만 OPEC의 공격적인 감산정책이 지속되고, 베네수엘라 사태가 악화될 경우
2분기에도 27-28달러 수준의 고유가가 지속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어 “유가의 급락은 OPEC은 물론 비OPEC 산유국들의 이해에 반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유가회복을 위한 산유국의 공동대응이 예상돼 20달러 이하로 폭락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설명했다.
또 이문배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고유가 상황이 국내수급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국제유가가 28달러 수준 이상을 유지할 경우 수송, 산업, 가정, 상업, 공공부문의 석유소비 둔화 또는 감소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28달러 수준이면 석유 소비증가율은 2.5%, 30달러 초반이면 1.7%, 35달러면 -0.3%로 예상된다는 것.
이에 따라 이 연구위원은 “정부의 위기 단계 기준은 에너지절약 등 수요관리 대책을 핵심으로 원자재난 해소와 저소득층의 경제적 어려움 해소에 초점이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세미나에서는 산자부․에너지경제연구원․석유공사 등 에너지 전문기관과, 한국은행․삼성경제연구소․LG경제연구원․현대경제연구원․한국경제연구원․국제금융센터 등 금융․경제연구기관, 정유 5사의 석유전문가가 참석해 ‘국제석유시장 전문가 협의체’를 발족했다. 협의체는 국제석유시장의 동향과 원유가 전망의 신뢰도 제고, 정부 정책자문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3월들어 국제유가가 두바이유 기준 배럴당 30달러를 넘어서는 등 고유가가 지속되는 가운데 올 2분기에는 24-25달러선까지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하지만 산유국들의 감산정책이 지속될 경우 27-28달러 수준의 고유가 지속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것으로 지적됐다.
구자권 한국석유공사 해외조사팀장은 15일 평촌 본사 대회의실에서 열린 ‘국제유가 전문세미나’에서 ‘최근 국제원유가 동향과 전망’이라는 제목의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구 팀장은 “현재의 고유가는 지난달 10일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 결정이후 투기자금 유입과 베네수엘라 정정 불안이 가세했기 때문”이라며 “2분기 이후에는 계절적 비수기 진입과 이라크 공급 증대, 재고회복 등으로 24-25달러로 떨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반기에는 계절적 수요회복 등으로 OPEC의 여유있는 시장관리가 가능해져 25-26달러선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구 팀장은 "하지만 OPEC의 공격적인 감산정책이 지속되고, 베네수엘라 사태가 악화될 경우
2분기에도 27-28달러 수준의 고유가가 지속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어 “유가의 급락은 OPEC은 물론 비OPEC 산유국들의 이해에 반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유가회복을 위한 산유국의 공동대응이 예상돼 20달러 이하로 폭락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설명했다.
또 이문배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고유가 상황이 국내수급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국제유가가 28달러 수준 이상을 유지할 경우 수송, 산업, 가정, 상업, 공공부문의 석유소비 둔화 또는 감소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28달러 수준이면 석유 소비증가율은 2.5%, 30달러 초반이면 1.7%, 35달러면 -0.3%로 예상된다는 것.
이에 따라 이 연구위원은 “정부의 위기 단계 기준은 에너지절약 등 수요관리 대책을 핵심으로 원자재난 해소와 저소득층의 경제적 어려움 해소에 초점이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세미나에서는 산자부․에너지경제연구원․석유공사 등 에너지 전문기관과, 한국은행․삼성경제연구소․LG경제연구원․현대경제연구원․한국경제연구원․국제금융센터 등 금융․경제연구기관, 정유 5사의 석유전문가가 참석해 ‘국제석유시장 전문가 협의체’를 발족했다. 협의체는 국제석유시장의 동향과 원유가 전망의 신뢰도 제고, 정부 정책자문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