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 총선시민연대가 5일 66명의 공천반대인사(낙천대상자)를 발표하면서 정치권이 술렁거리고 있다. 하지만 이번 발표에 대해 당사자들은 물론이고, 각 정당들조차 시민단체의 선정기준에 대해 강하게 의문을 제기하는 등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낙천 대상자로 선정했지만 논란이 증폭되면서 각 당의 공천 작업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총선시민연대는 이날 비리부패 연루자, 반인권 전력, 당적변경, 헌정질서 파괴 등 객관적 기준으로 엄격하게 심사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치권은 이를 수긍하고 받아들이는 분위기가 아니다. 일부 의원들의 경우 발표내용 자체가 사실과 다르다고 정면 반박하는 등 공정성 시비는 갈수록 확산될 조짐이다.
각 정당들 반응도 별반 다르지 않다. 2000년 첫 발표 때와는 전혀 다르다. 긴장하기보다는 오히려 당당하게 반론하는 조짐마저 보인다. 우선 야 3당은 발표 자체를 인정할 수 없다는 태도를 분명히 했다.
한나라당 최병렬 대표는 “낙천운동은 법원에서 불법으로 판정난 일”이라며 “선관위에 질의해 고발 등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박 진 대변인도 5일 공식논평을 통해 “객관적 기준이 결여된 자의적 일방적 주관적 판단을 강요한다면 과연 설득력이 있겠는가”라고 물었다. 당연히 낙천자 명단이 공천에 반영될 지 여부도 미지수다.
민주당은 이번 총선시민연대 활동을 열린우리당과 노무현 대통령과 연결 지었다. 특히 한화갑 전대표의 경선자금 문제로 낙천대상에 꼽으면서도 정동영 의장이 포함되지 않은 점, 당적변경을 문제삼으면서 한나라당 탈당파나 민주당을 탈당한 열린우리당에 대해선 문제삼지 않은 점등을 집중 성토했다.
민주당 대변인실에서는 아예 낙천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열린우리당 인사 15명을 자체적으로 선정, 사유와 함께 발표하기도 했다. 또한 이번 발표가 의미 없기 때문에 자체 공천작업에 하등의 고려대상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김종필 총재가 대상에 선정된 자민련도 다르지 않다.
여기에 여당인 열린우리당의 태도도 애매하다. 공식적으로는 겸허하게 수용한다는 반응이다.
박영선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정치인들의 자기반성과 정치개혁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면서도 “그러나 그동안 국회의원으로서 의정활동 업적과 정치발전에 기여한 공헌도가 충분히 반영되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 정동영 의장은 “열린우리당이 지나치게 많이 포함된 것 아니냐”며 섭섭함을 표시했고, 공직후보자격심사위원인 한 의원은 “정대철 이상수 의원의 경우 시민단체에서 발표는 했지만 현실적으로 곤혹스러운 것이 많다. 그래서 6일 공천심사회의에서 일단 유보키로 했다”고 전했다. 여야 모두 깊이 수긍하는 분위기는 아닌 것이다.
경실련 사무총장을 지낸 이석연 변호사는 6일자 동아일보 기고문을 통해 “최근 전개되는 너도나도식 낙천·낙선 당선운동에 대해 몇 가지 심사숙고해야 할 것이 있다”고 지적한 뒤 “시민단체 활동은 공익성과 비정파성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 그 본질”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자칫 시민운동이 정치적 지지운동으로 변질될 경우 시민단체가 쌓아온 그동안의 성과마저 빛이 바랠 것”이라고 충고했다.
/정재철 기자 jcjung@naeil.com
총선시민연대는 이날 비리부패 연루자, 반인권 전력, 당적변경, 헌정질서 파괴 등 객관적 기준으로 엄격하게 심사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치권은 이를 수긍하고 받아들이는 분위기가 아니다. 일부 의원들의 경우 발표내용 자체가 사실과 다르다고 정면 반박하는 등 공정성 시비는 갈수록 확산될 조짐이다.
각 정당들 반응도 별반 다르지 않다. 2000년 첫 발표 때와는 전혀 다르다. 긴장하기보다는 오히려 당당하게 반론하는 조짐마저 보인다. 우선 야 3당은 발표 자체를 인정할 수 없다는 태도를 분명히 했다.
한나라당 최병렬 대표는 “낙천운동은 법원에서 불법으로 판정난 일”이라며 “선관위에 질의해 고발 등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박 진 대변인도 5일 공식논평을 통해 “객관적 기준이 결여된 자의적 일방적 주관적 판단을 강요한다면 과연 설득력이 있겠는가”라고 물었다. 당연히 낙천자 명단이 공천에 반영될 지 여부도 미지수다.
민주당은 이번 총선시민연대 활동을 열린우리당과 노무현 대통령과 연결 지었다. 특히 한화갑 전대표의 경선자금 문제로 낙천대상에 꼽으면서도 정동영 의장이 포함되지 않은 점, 당적변경을 문제삼으면서 한나라당 탈당파나 민주당을 탈당한 열린우리당에 대해선 문제삼지 않은 점등을 집중 성토했다.
민주당 대변인실에서는 아예 낙천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열린우리당 인사 15명을 자체적으로 선정, 사유와 함께 발표하기도 했다. 또한 이번 발표가 의미 없기 때문에 자체 공천작업에 하등의 고려대상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김종필 총재가 대상에 선정된 자민련도 다르지 않다.
여기에 여당인 열린우리당의 태도도 애매하다. 공식적으로는 겸허하게 수용한다는 반응이다.
박영선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정치인들의 자기반성과 정치개혁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면서도 “그러나 그동안 국회의원으로서 의정활동 업적과 정치발전에 기여한 공헌도가 충분히 반영되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 정동영 의장은 “열린우리당이 지나치게 많이 포함된 것 아니냐”며 섭섭함을 표시했고, 공직후보자격심사위원인 한 의원은 “정대철 이상수 의원의 경우 시민단체에서 발표는 했지만 현실적으로 곤혹스러운 것이 많다. 그래서 6일 공천심사회의에서 일단 유보키로 했다”고 전했다. 여야 모두 깊이 수긍하는 분위기는 아닌 것이다.
경실련 사무총장을 지낸 이석연 변호사는 6일자 동아일보 기고문을 통해 “최근 전개되는 너도나도식 낙천·낙선 당선운동에 대해 몇 가지 심사숙고해야 할 것이 있다”고 지적한 뒤 “시민단체 활동은 공익성과 비정파성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 그 본질”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자칫 시민운동이 정치적 지지운동으로 변질될 경우 시민단체가 쌓아온 그동안의 성과마저 빛이 바랠 것”이라고 충고했다.
/정재철 기자 jcju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