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사외이사 비중 확대와 집중투표제 도입 등을 골자로 하는 지배구조 개선방안을 확정, 다음달 주주총회를 거쳐 시행될 전망이다.
포스코는 그동안 외부 전문기관의 연구 용역 결과를 토대로 공개세미나, 이사회토론 등을 거쳐 경영 투명성 제고를 위한 지배구조 개선안을 확정했으며 다음달 12일 열리는 정기 주주총회에 이를 상정할 예정이라고 15일 밝혔다.
포스코가 마련한 지배구조 개선안에 따르면 우선 사내이사 7명(현재 6명)과 사외이사 8명으로 규정된 이사수를 사내 6명, 사외 9명으로 조정해 사외이사의 비중을 강화키로 했다.
사외이사들의 보다 적극적인 논의와 의견수렴을 위해 사외이사들만 따로 회의를 개최할 수 있는 근거조항도 마련할 방침이다.
사외이사 선임과정의 객관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외이사 후보 추천자문단을 구성, 후보 추천을 맡기는 방안을 마련했다.
또 주주들의 권리 강화를 위해 집중투표제와 서면투표제를 도입하고, 경영권 방어수단으로 오해를 받을 수 있는 전환우선주 관련조항은 폐지키로 했다.
집중투표제는 주주들에게 선출할 이사의 수에 해당하는 숫자만큼 투표권을 부여해 투표권을 특정인에게 한꺼번에 몰아줄 수 있도록 한 제도다.
포스코는 이와함께 공정거래법상 계열사 등 특수관계인과의 내부거래를 집중 감시할 수 있는 내부거래 위원회도 사외이사 4명으로 구성, 운영할 계획이다.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포스코는 그동안 외부 전문기관의 연구 용역 결과를 토대로 공개세미나, 이사회토론 등을 거쳐 경영 투명성 제고를 위한 지배구조 개선안을 확정했으며 다음달 12일 열리는 정기 주주총회에 이를 상정할 예정이라고 15일 밝혔다.
포스코가 마련한 지배구조 개선안에 따르면 우선 사내이사 7명(현재 6명)과 사외이사 8명으로 규정된 이사수를 사내 6명, 사외 9명으로 조정해 사외이사의 비중을 강화키로 했다.
사외이사들의 보다 적극적인 논의와 의견수렴을 위해 사외이사들만 따로 회의를 개최할 수 있는 근거조항도 마련할 방침이다.
사외이사 선임과정의 객관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외이사 후보 추천자문단을 구성, 후보 추천을 맡기는 방안을 마련했다.
또 주주들의 권리 강화를 위해 집중투표제와 서면투표제를 도입하고, 경영권 방어수단으로 오해를 받을 수 있는 전환우선주 관련조항은 폐지키로 했다.
집중투표제는 주주들에게 선출할 이사의 수에 해당하는 숫자만큼 투표권을 부여해 투표권을 특정인에게 한꺼번에 몰아줄 수 있도록 한 제도다.
포스코는 이와함께 공정거래법상 계열사 등 특수관계인과의 내부거래를 집중 감시할 수 있는 내부거래 위원회도 사외이사 4명으로 구성, 운영할 계획이다.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