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안 가결 전 상대 후보의 지지도는 8~9%에 불과했지만 탄핵안 가결 이후 지지율이 50%대에 육박했다. 이를 감안하면 상대후보 지지표 80% 정도가 묻지만 표심이다.”(정철기(광양·구례) 의원측근 인사)
“열린우리당 후보로 누가 출마한지는 모르지만 이번에는 반드시 밀어줄 생각이다.”(광주 남구 황모씨)
이번 총선은 인물평가와 정책 평가가 실종된 대신 탄핵 역풍이 거세다. 탄핵 폭풍 뒤 투표 심리도 ‘묻지마’로 바뀌었다. 이 때문에 소위 ‘호남 텃밭’ ‘영남 텃밭’이라는 개념은 약화된 반면 ‘열린우리당 막대기만 꽂아도 당선된다’는 신조어가 생겼다. 심지어는 상대 후보에 지지율이 처지는 열우당 후보는 당 막대기로 교체해야 된다는 우스개 소리까지 나돌 정도다.
◆ ‘탄핵한 야당에 대한 심판’적 성향 강조
실제로 지난해 9월 출범한 열린우리당 대부분의 후보 지지도가 40~50% 정도까지 치솟았다. 전국적인 현상이다.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도 유권자의 절반 이상이 탄핵안 가결 이후 지지정당을 바꾼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탄핵 역풍을 실감케 하는 대목이다. 특히 야당을 지지했거나 지지정당이 없었던 유권자중 대부분이 열린우리당 지지로 돌아선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이번 총선이 인물·정책·지역에 대한 관심보다는 탄핵정국에 대한 평가라는 측면이 강해졌기 때문이다. 정계 분석가들도 이번 총선은 ‘대통령을 탄핵한 야당에 대한 심판’적 성향이 강한 선거라는 데는 동의하고 있다.
탄핵정국 이후 대부분의 선거구에서 열린우리당의 우세 현상이 뚜렷이 나타나면서 야권의 후보들은 자신을 ‘묻지마 표심의 피해자’라고 주장하고 있다.
민주당내 문제로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민주당 임창열 전 경기지사는 “지역에서 후보는 보지 않고 당만 보고 투표하는 ‘묻지마 투표’ 현상이 만연돼 있다”며 “후보의 자질이나 경륜은 이번 선거에서 투표의 기준이 아닌 것 같다”고 토로했다.
이태복 전 노동부 장관도 “당 지도부가 자초한 탄핵역풍 이후 어떤 노력도 헛수고로 끝나는 현실 앞에서 정치신인의 포부와 희망은 무참히 좌절됐다”고 주장했다.
반면 탄핵 정국으로 기선을 잡은 열린우리당은 이를 적극 활용할 태세다.
정동영 열린우리당 의장은 지난 3월31일 열린 방송기자클럽 정책토론회와 1일 전남권 방문에서 잇따라 “이번 총선의 본질은 ‘탄핵에 대한 심판’”이라며 “선거를 ‘찬탄핵 대 반탄핵’ 구도로 이끌어 가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친탄핵 대 반탄핵 구도’로 몰아 ‘묻지마 투표’심리가 유지되기를 기대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야권 묻지마 투표심리 차단 안간힘
야당 진영에서는 비상이다. 묻지마 투표심리에 대한 차단에 안간힘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은 역부족이다.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는 “솔직하게 말해 지금 분위기로 간다면 야당의 존립 자체가 위태롭다”며 “견제와 균형이 무너질 때 민주주의가 무너지고, 사회가 극단으로 흐르게 된다”고 국민들한테 호소했다.
광주 동구에서 민주당 간판으로 나선 김대웅(광주 동구) 후보측근 인사는 “묻지만 표심은 20대 층을 중심으로 형성돼 있다”며 “탄핵 폭풍이 지나면 민주당 지지율이 대폭 올라갈 것이고, 이를 위해 인물 중심의 선거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 남구에서 재선을 노리는 강운태 민주당 전 사무총장도 “총선이 탄핵에 대한 찬반투표나 재신임 투표가 돼서는 곤란하다”며 “탄핵 역풍이 거세지만 유권자들은 지역발전을 앞당길 인물을 선택할 것”이라는 논리로 돌아선 지지층 재 결집에 안간힘을 보이고 있다.
“열린우리당 후보로 누가 출마한지는 모르지만 이번에는 반드시 밀어줄 생각이다.”(광주 남구 황모씨)
이번 총선은 인물평가와 정책 평가가 실종된 대신 탄핵 역풍이 거세다. 탄핵 폭풍 뒤 투표 심리도 ‘묻지마’로 바뀌었다. 이 때문에 소위 ‘호남 텃밭’ ‘영남 텃밭’이라는 개념은 약화된 반면 ‘열린우리당 막대기만 꽂아도 당선된다’는 신조어가 생겼다. 심지어는 상대 후보에 지지율이 처지는 열우당 후보는 당 막대기로 교체해야 된다는 우스개 소리까지 나돌 정도다.
◆ ‘탄핵한 야당에 대한 심판’적 성향 강조
실제로 지난해 9월 출범한 열린우리당 대부분의 후보 지지도가 40~50% 정도까지 치솟았다. 전국적인 현상이다.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도 유권자의 절반 이상이 탄핵안 가결 이후 지지정당을 바꾼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탄핵 역풍을 실감케 하는 대목이다. 특히 야당을 지지했거나 지지정당이 없었던 유권자중 대부분이 열린우리당 지지로 돌아선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이번 총선이 인물·정책·지역에 대한 관심보다는 탄핵정국에 대한 평가라는 측면이 강해졌기 때문이다. 정계 분석가들도 이번 총선은 ‘대통령을 탄핵한 야당에 대한 심판’적 성향이 강한 선거라는 데는 동의하고 있다.
탄핵정국 이후 대부분의 선거구에서 열린우리당의 우세 현상이 뚜렷이 나타나면서 야권의 후보들은 자신을 ‘묻지마 표심의 피해자’라고 주장하고 있다.
민주당내 문제로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민주당 임창열 전 경기지사는 “지역에서 후보는 보지 않고 당만 보고 투표하는 ‘묻지마 투표’ 현상이 만연돼 있다”며 “후보의 자질이나 경륜은 이번 선거에서 투표의 기준이 아닌 것 같다”고 토로했다.
이태복 전 노동부 장관도 “당 지도부가 자초한 탄핵역풍 이후 어떤 노력도 헛수고로 끝나는 현실 앞에서 정치신인의 포부와 희망은 무참히 좌절됐다”고 주장했다.
반면 탄핵 정국으로 기선을 잡은 열린우리당은 이를 적극 활용할 태세다.
정동영 열린우리당 의장은 지난 3월31일 열린 방송기자클럽 정책토론회와 1일 전남권 방문에서 잇따라 “이번 총선의 본질은 ‘탄핵에 대한 심판’”이라며 “선거를 ‘찬탄핵 대 반탄핵’ 구도로 이끌어 가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친탄핵 대 반탄핵 구도’로 몰아 ‘묻지마 투표’심리가 유지되기를 기대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야권 묻지마 투표심리 차단 안간힘
야당 진영에서는 비상이다. 묻지마 투표심리에 대한 차단에 안간힘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은 역부족이다.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는 “솔직하게 말해 지금 분위기로 간다면 야당의 존립 자체가 위태롭다”며 “견제와 균형이 무너질 때 민주주의가 무너지고, 사회가 극단으로 흐르게 된다”고 국민들한테 호소했다.
광주 동구에서 민주당 간판으로 나선 김대웅(광주 동구) 후보측근 인사는 “묻지만 표심은 20대 층을 중심으로 형성돼 있다”며 “탄핵 폭풍이 지나면 민주당 지지율이 대폭 올라갈 것이고, 이를 위해 인물 중심의 선거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 남구에서 재선을 노리는 강운태 민주당 전 사무총장도 “총선이 탄핵에 대한 찬반투표나 재신임 투표가 돼서는 곤란하다”며 “탄핵 역풍이 거세지만 유권자들은 지역발전을 앞당길 인물을 선택할 것”이라는 논리로 돌아선 지지층 재 결집에 안간힘을 보이고 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