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7월 1일자로 시행에 들어갈 버스체계개편을 위한 지선버스(Green Bus) 노선 292개를 확정했다.
서울시는 자치구와 버스업계의 의견을 수렴해 지선버스 노선 292개, 운행버스 대수는 4451대로 확정했다고 25일 밝혔다.
또한 현재 도심 2개 노선이 운행되고 있는 순환버스(Yellow Bus)의 경우 강남지역 1개, 여의도 지역 2개 노선을 추가해 총 5개 노선으로 확대했다.
이로써 경기도와 협의를 통해 확정할 광역버스 43개 노선(769대)을 제외하고는 시내 버스 노선이 모두 정해졌다.
이번 지선버스 노선 확정은 우회거리와 배차간격을 줄여 접근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특히 버스노선의 평균 배차간격이 현재 좌석형 10.8분, 도시형 7.3분, 지역순환형 10분이던 것을 간선 5.8분, 지선 7.1분, 순환 9.3분으로 줄였다.
지선버스에는 4자리 번호가 부여돼 첫번째 번호는 출발권역, 두번째 번호는 도착권역, 마지막 두 자리는 일련번호를 나타내도록 했다.
서울의 권역별 번호를 보면 0번은 종로·중구·용산, 1번은 도봉·강북·성북·노원, 3번은 강동·송파, 4번은 서초·강남, 5번은 동작·관악·금천, 6번은 강서·구로·영등포, 7번은 은평·마포·서대문 지역이다(표 참조).
광역버스는 지선버스와 마찬가지로 4자리 번호가 부여되지만 첫번째 번호는 9번을 사용하도록 했으며 두번째 번호는 출발권역을, 나머지 두자리는 일련번호를 나타낸다. 광역버스의 경우 도착 지역이 도심이기 때문에 도착권역은 별도로 표시하지 않기로 했다. 순환버스는 두자리 번호가 부여돼 첫번째 번호는 운행권역을, 두번째 번호는 일련번호를 각각 나타낸다.
/김은광 기자 powerttp@naeil.com
서울시는 자치구와 버스업계의 의견을 수렴해 지선버스 노선 292개, 운행버스 대수는 4451대로 확정했다고 25일 밝혔다.
또한 현재 도심 2개 노선이 운행되고 있는 순환버스(Yellow Bus)의 경우 강남지역 1개, 여의도 지역 2개 노선을 추가해 총 5개 노선으로 확대했다.
이로써 경기도와 협의를 통해 확정할 광역버스 43개 노선(769대)을 제외하고는 시내 버스 노선이 모두 정해졌다.
이번 지선버스 노선 확정은 우회거리와 배차간격을 줄여 접근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특히 버스노선의 평균 배차간격이 현재 좌석형 10.8분, 도시형 7.3분, 지역순환형 10분이던 것을 간선 5.8분, 지선 7.1분, 순환 9.3분으로 줄였다.
지선버스에는 4자리 번호가 부여돼 첫번째 번호는 출발권역, 두번째 번호는 도착권역, 마지막 두 자리는 일련번호를 나타내도록 했다.
서울의 권역별 번호를 보면 0번은 종로·중구·용산, 1번은 도봉·강북·성북·노원, 3번은 강동·송파, 4번은 서초·강남, 5번은 동작·관악·금천, 6번은 강서·구로·영등포, 7번은 은평·마포·서대문 지역이다(표 참조).
광역버스는 지선버스와 마찬가지로 4자리 번호가 부여되지만 첫번째 번호는 9번을 사용하도록 했으며 두번째 번호는 출발권역을, 나머지 두자리는 일련번호를 나타낸다. 광역버스의 경우 도착 지역이 도심이기 때문에 도착권역은 별도로 표시하지 않기로 했다. 순환버스는 두자리 번호가 부여돼 첫번째 번호는 운행권역을, 두번째 번호는 일련번호를 각각 나타낸다.
/김은광 기자 powerttp@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