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병극(문화관광부 예술진흥과 사무관)씨 상배 = 28일 오전 7시15분 삼성서울병원, 발인 30일 오전 8시. 3410-6920
▲유재기(주중 문화참사관) 재호(대림산업 중국 상하이 소장) 재득(자영업) 재민(자영업) 모친상 = 28일 오전 4시 진주전문장례식장, 발인 30일 오전 8시. 055-763-2644
▲김영환(한겨레신문 인천주재 기자)씨 빙모상, 유영길(자영업) 영민(한보건설 부장) 영숙(인천 구산중 교사) 진숙(인천 동인천중 교사)씨 모친상 = 28일 오후 4시 인천 중앙길병원, 발인 30일 오전 9시. (032)460-3443
▲유재기(주중 문화참사관) 재호(대림산업 중국 상하이 소장) 재득(자영업) 재민(자영업) 모친상 = 28일 오전 4시 진주전문장례식장, 발인 30일 오전 8시. 055)763-2644
▲김경무(㈜탑 회장) 지무(토파즈 대표) 영무(한국방송광고공사 교육부장) 경자(자영업) 영희(부산대 예술대학교수)씨 모친상= 28일 오전 10시 강남성모병원, 발인 30일 오전 9시. (02)590-2352
가짜양주 신고자 첫 500만원 포상금 지급 전망
국세청이 가짜양주 신고 포상금제를 도입한 이후 처음으로 최고액인 500만원을 받는 제보자가 탄생할 전망이다.
28일 대구지방국세청과 대구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27일 대구 달서구 진천동주택가의 조립식건물에서 가짜양주를 대량 제조한 혐의로 긴급체포된 강모(36)씨 등의 범행사실을 신고한 제보자가 포상금 500만원 지급대상에 해당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세청은 지난 1월 14일 가짜양주 제조, 유통, 판매자에 대해 포상금을 지급키로 한 이후 가짜양주 판매행위 신고자들에 대해 100만원씩의 포상금을 지급한 적이 있지만 포상금 액수가 가장 높은 가짜양주 제조자에 대한 포상금 지급은 이번이 처음이다.
대구국세청 관계자는 “제보자의 신고로 가짜양주 제조사실을 확인한 만큼 이 제보자는 포상금 최고액인 500만원 지급대상에 해당된다”면서 “조만간 포상금 지급 절차를 밟을 것”이라고 밝혔다.
보험사기 일당 11명 적발
경기도 부천 중부경찰서는 28일 일부러 교통사고를 낸 뒤 보험사로부터 보험금을 받아 가로챈 혐의(보험사기)로 이모(43·무직·시흥시 정왕동)씨 등 6명을 구속하고 김모(42)씨 등 5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이씨 등은 지난해 10월16일 새벽 2시45분께 시흥시 대양동 대야오거리에서 신호를 위반하고 주행하던 박 모(57)씨의 크레도스 택시를 자신들이 타고있던 프린스 승용차로 들이받은 뒤 병원에 입원, 박씨의 보험사로부터 970만원을 받아낸 혐의다.
이들은 이 같은 수법으로 지난 1998년 9월부터 최근까지 서울과 경기도 일대에서 모두 36차례에 걸쳐 3억7000만원 상당의 보험금을 받아 가로챈 혐의를 받고 있다.
차량용 불량 LPG 공급·판매업자 검거
강원도 홍천경찰서는 28일 차량용 액화석유가스(LPG)에 가정용 LPG를 섞은 불량 LPG를 판매,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사기 등)로 S가스충전소 업자 전모(33·홍천군)씨와 LPG 공급업체 대표 신 모(45.인천시 남동구)씨 등 2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또 불량 LPG를 가스 충전소에 공급한 홍 모(37.인천시남구)씨 등 탱크로리 운전기사 11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이씨와 신씨는 경기도 평택 모 가스기지에서 출하된 가정용 프로판 가스 또는 탱크로리에 남아있는 잔여 가스(베퍼)를 가스충전소 저장탱크에 혼합해 공급하는 등의 수법으로 2년여 동안 25톤 가량의 자동차용 불량 LPG를 만들어 운전자들에게 판매, 5000만원의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다.
조사결과 이들은 연료로 효용가치가 전혀 없는 기체상태의 잔여 가스를 충전소 저장탱크에 혼합하면 부피가 늘어나 판매량이 많아지는 데다 가정용 LPG는 가격이 싸다는 점을 악용, 조직적으로 공모해 왔다고 경찰은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여름철 차량용 LPG에 가정용 프로판 가스를 과다 혼합되면 폭발 등 위험성이 높고 연비저하는 물론 시동이 자주 꺼지기 때문에 운전자들에게 큰 피해를 주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경찰은 지난 20일 자동차용 LPG에 가격이 저렴한 가정용 프로판 가스를 과도하게 혼합한 불량 LPG를 운전자들에게 판매한 혐의로 가스충전소 업주와 액화석유 중간 공급업자 등 2명을 구속했다.
한편 경찰은 또 다른 가스충전소에서도 이 같은 불량 LPG가 공급,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유재기(주중 문화참사관) 재호(대림산업 중국 상하이 소장) 재득(자영업) 재민(자영업) 모친상 = 28일 오전 4시 진주전문장례식장, 발인 30일 오전 8시. 055-763-2644
▲김영환(한겨레신문 인천주재 기자)씨 빙모상, 유영길(자영업) 영민(한보건설 부장) 영숙(인천 구산중 교사) 진숙(인천 동인천중 교사)씨 모친상 = 28일 오후 4시 인천 중앙길병원, 발인 30일 오전 9시. (032)460-3443
▲유재기(주중 문화참사관) 재호(대림산업 중국 상하이 소장) 재득(자영업) 재민(자영업) 모친상 = 28일 오전 4시 진주전문장례식장, 발인 30일 오전 8시. 055)763-2644
▲김경무(㈜탑 회장) 지무(토파즈 대표) 영무(한국방송광고공사 교육부장) 경자(자영업) 영희(부산대 예술대학교수)씨 모친상= 28일 오전 10시 강남성모병원, 발인 30일 오전 9시. (02)590-2352
가짜양주 신고자 첫 500만원 포상금 지급 전망
국세청이 가짜양주 신고 포상금제를 도입한 이후 처음으로 최고액인 500만원을 받는 제보자가 탄생할 전망이다.
28일 대구지방국세청과 대구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27일 대구 달서구 진천동주택가의 조립식건물에서 가짜양주를 대량 제조한 혐의로 긴급체포된 강모(36)씨 등의 범행사실을 신고한 제보자가 포상금 500만원 지급대상에 해당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세청은 지난 1월 14일 가짜양주 제조, 유통, 판매자에 대해 포상금을 지급키로 한 이후 가짜양주 판매행위 신고자들에 대해 100만원씩의 포상금을 지급한 적이 있지만 포상금 액수가 가장 높은 가짜양주 제조자에 대한 포상금 지급은 이번이 처음이다.
대구국세청 관계자는 “제보자의 신고로 가짜양주 제조사실을 확인한 만큼 이 제보자는 포상금 최고액인 500만원 지급대상에 해당된다”면서 “조만간 포상금 지급 절차를 밟을 것”이라고 밝혔다.
보험사기 일당 11명 적발
경기도 부천 중부경찰서는 28일 일부러 교통사고를 낸 뒤 보험사로부터 보험금을 받아 가로챈 혐의(보험사기)로 이모(43·무직·시흥시 정왕동)씨 등 6명을 구속하고 김모(42)씨 등 5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이씨 등은 지난해 10월16일 새벽 2시45분께 시흥시 대양동 대야오거리에서 신호를 위반하고 주행하던 박 모(57)씨의 크레도스 택시를 자신들이 타고있던 프린스 승용차로 들이받은 뒤 병원에 입원, 박씨의 보험사로부터 970만원을 받아낸 혐의다.
이들은 이 같은 수법으로 지난 1998년 9월부터 최근까지 서울과 경기도 일대에서 모두 36차례에 걸쳐 3억7000만원 상당의 보험금을 받아 가로챈 혐의를 받고 있다.
차량용 불량 LPG 공급·판매업자 검거
강원도 홍천경찰서는 28일 차량용 액화석유가스(LPG)에 가정용 LPG를 섞은 불량 LPG를 판매,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사기 등)로 S가스충전소 업자 전모(33·홍천군)씨와 LPG 공급업체 대표 신 모(45.인천시 남동구)씨 등 2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또 불량 LPG를 가스 충전소에 공급한 홍 모(37.인천시남구)씨 등 탱크로리 운전기사 11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이씨와 신씨는 경기도 평택 모 가스기지에서 출하된 가정용 프로판 가스 또는 탱크로리에 남아있는 잔여 가스(베퍼)를 가스충전소 저장탱크에 혼합해 공급하는 등의 수법으로 2년여 동안 25톤 가량의 자동차용 불량 LPG를 만들어 운전자들에게 판매, 5000만원의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다.
조사결과 이들은 연료로 효용가치가 전혀 없는 기체상태의 잔여 가스를 충전소 저장탱크에 혼합하면 부피가 늘어나 판매량이 많아지는 데다 가정용 LPG는 가격이 싸다는 점을 악용, 조직적으로 공모해 왔다고 경찰은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여름철 차량용 LPG에 가정용 프로판 가스를 과다 혼합되면 폭발 등 위험성이 높고 연비저하는 물론 시동이 자주 꺼지기 때문에 운전자들에게 큰 피해를 주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경찰은 지난 20일 자동차용 LPG에 가격이 저렴한 가정용 프로판 가스를 과도하게 혼합한 불량 LPG를 운전자들에게 판매한 혐의로 가스충전소 업주와 액화석유 중간 공급업자 등 2명을 구속했다.
한편 경찰은 또 다른 가스충전소에서도 이 같은 불량 LPG가 공급,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