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광명시가 ‘분뇨대란’ 위기에 처했다. 경륜장공사로 현 분뇨처리장을 폐쇄하고 새 시설을 인근에 짓기로 했지만, 당초 계획보다 새 처리장 공사가 늦어져 최대 9개월간 자체 분뇨처리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18일 시에 따르면 지난 83년말 설치된 광명동 현 분뇨처리장(90㎘/일)이 낡고 처리용량도 부족해짐에 따라 지난 2002년부터 인근부지에 하루 300톤 처리규모의 새 분뇨처리장 건립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그린벨트 해제와 토지보상 절차가 지연되면서 계획보다 5개월 이상 공사가 늦어져 새 처리장은 내년 5월에나 개장이 가능하다.
때문에 오는 9월부터 내년 5월까지 최대 9개월간 광명시는 자체적인 분뇨처리가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시는 오는 7월31일까지 시내 주택, 사무실, 건물의 화장실 정화조를 비워 하루 분뇨처리량을 20~30t 가량으로 최소화해 이를 인근 부천, 시흥, 김포, 안양 등에 부탁해 위탁처리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그러나 안양시는 처리용량이 포화상태여서 광명시 분뇨를 처리할 경우, 안양천 오염이 불가피하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인근 지자체도 지역주민의 민원 등을 우려해 확답을 주지 않고 있다.
시 관계자는 “중부권 행정협의회에서 일부시는 긍정적 반응을 보였으며 도에도 중계요구를 한 만큼, 해결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광명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18일 시에 따르면 지난 83년말 설치된 광명동 현 분뇨처리장(90㎘/일)이 낡고 처리용량도 부족해짐에 따라 지난 2002년부터 인근부지에 하루 300톤 처리규모의 새 분뇨처리장 건립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그린벨트 해제와 토지보상 절차가 지연되면서 계획보다 5개월 이상 공사가 늦어져 새 처리장은 내년 5월에나 개장이 가능하다.
때문에 오는 9월부터 내년 5월까지 최대 9개월간 광명시는 자체적인 분뇨처리가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시는 오는 7월31일까지 시내 주택, 사무실, 건물의 화장실 정화조를 비워 하루 분뇨처리량을 20~30t 가량으로 최소화해 이를 인근 부천, 시흥, 김포, 안양 등에 부탁해 위탁처리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그러나 안양시는 처리용량이 포화상태여서 광명시 분뇨를 처리할 경우, 안양천 오염이 불가피하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인근 지자체도 지역주민의 민원 등을 우려해 확답을 주지 않고 있다.
시 관계자는 “중부권 행정협의회에서 일부시는 긍정적 반응을 보였으며 도에도 중계요구를 한 만큼, 해결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광명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