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의 비정규직 인력에 대한 정규직 전환 계획과 관련, 비제조업 분야에 국한해 정규직화 하고 제조업 사내하청의 경우 복리후생 수준을 높이면서 처우를 개선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20일 삼성 및 관련업체들에 따르면 지난해말부터 추진된 이 계획은 노동부가 비정규직에 대한 운영실태를 강력하게 감독하기 시작하면서 비정규직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에 따라 삼성은 비제조업의 비정규직에 대해서는 연내에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삼성전자 등 제조업체의 생산라인 하도급업체에 대해서는 임금수준을 기존 정규직 대비 80%에서 90%로 높인다는 방침이다. 삼성은 또 여기에서 발생하는 비용에 대해서는 비정규직을 채용하는 업체에서 지원키로 했다.
특히 제조업체의 생산라인 하도급 비정규직에 대해서는 정규직과 복리후생을 동일하게 적용키로 했다.
삼성 관계자는 “비정규직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비용은 아직 추산하기 어렵다”며 “비정규직이라 하더라도 파견직이나 하청근로자 등 고용형태가 다양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삼성 계열사내 비정규직 인력은 4만명 규모로, 전체 정규직 12만명의 3분의 1수준이다.
한편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두고 정부와 재계, 노동계는 서로 입장이 달라 갈등을 빚고 있다. 재계는 비정규직 문제해결을 위해 정규직의 양보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며, 재계는 비정규직 임금을 정규직의 85% 수준으로 올릴 경우 기업이 26조7000억원의 인건비를 추가로 부담해야 한다는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
20일 삼성 및 관련업체들에 따르면 지난해말부터 추진된 이 계획은 노동부가 비정규직에 대한 운영실태를 강력하게 감독하기 시작하면서 비정규직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에 따라 삼성은 비제조업의 비정규직에 대해서는 연내에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삼성전자 등 제조업체의 생산라인 하도급업체에 대해서는 임금수준을 기존 정규직 대비 80%에서 90%로 높인다는 방침이다. 삼성은 또 여기에서 발생하는 비용에 대해서는 비정규직을 채용하는 업체에서 지원키로 했다.
특히 제조업체의 생산라인 하도급 비정규직에 대해서는 정규직과 복리후생을 동일하게 적용키로 했다.
삼성 관계자는 “비정규직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비용은 아직 추산하기 어렵다”며 “비정규직이라 하더라도 파견직이나 하청근로자 등 고용형태가 다양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삼성 계열사내 비정규직 인력은 4만명 규모로, 전체 정규직 12만명의 3분의 1수준이다.
한편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두고 정부와 재계, 노동계는 서로 입장이 달라 갈등을 빚고 있다. 재계는 비정규직 문제해결을 위해 정규직의 양보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며, 재계는 비정규직 임금을 정규직의 85% 수준으로 올릴 경우 기업이 26조7000억원의 인건비를 추가로 부담해야 한다는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