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민련의 유일한 광역단체장인 심대평 충남도지사와 김학원 전 원내총무간 갈등이 확대되고 있다.
겉으로 드러난 이유는 당의 쇄신을 위한 방법론적 차이 때문으로 보이지만 근본적으로는 김종필 전 총재의 정계은퇴 이후 당내 주도권 확보를 위한 권력투쟁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심 지사와 김 의원은 24일 오전 자민련 마포당사에서 30분 간격으로 기자회견을 갖고 당의 진로에 대한 각자의 의견을 토로했다. 먼저 심 지사는 “다음달 8일로 잡혀 있는 전당대회는 국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개혁비전을 제시하지 못한 상태에서 치러지는 것이기 때문에 아무런 의미가 없다”며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의 연기를 주장했다. 심 지사는 또 “현재 운영되고 있는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를 ‘자민련 혁신위원회’로 전환해 자민련의 모든 로드맵을 제시하도록 해야 한다”면서 “분권형 정당제도가 자민련이 가야 할 길”이라고 강조했다.
자신의 거취와 관련 심 지사는 “난 충남도지사로서 도정에 전념해야 할 사람이다. 현 상황에서 당권에 도전하거나 당 대표 경선에 나가면 당원들의 조소거리가 될 것”이라며 당 대표 경선에 출마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반면 김학원 의원은 “당을 개혁하기 위해서는 우선 지도부가 구성돼야 한다”면서 “전당대회 연기는 절대 불가능하다”고 맞받았다. 김 의원은 “총선 패배에 대한 책임에서 자민련 구성원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지만 당을 재건하기 위해서는 하루빨리 지도부가 구성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김 의원은 다음달 8일 전당대회 때 선출될 당 대표 경선에 출마를 선언 놓고 있는 상태다.
사실 심 지사와 김 의원의 갈등은 지난 총선 때 이미 표출됐다. 대전·충청권 공천과정에서 김 의원이 심 지사 ‘사람들’을 배제했고, 이에 대해 김 지사의 측의 불만이 극에 달했다는 얘기가 흘러나오기도 했다.
지난 총선 때 ‘탄핵역풍’이 불기전만해도 심 지사가 충청권에서 자민련을 결속하는 구심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총선에서 대패해 당내 심 지사의 영향력이 급속히 약화된 것도 김 의원과의 갈등을 키운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24일 마포당사에서는 심 지사를 지지하는 측과 김 의원 지지자들이 나뉘어 고성을 주고받는 촌극을 연출했다. 당원 중 한 사람은 “빨리 당이 없어져야 편안하게 딴 데로 옮기지”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포스트 JP’의 대표주자인 심 지사와 김 의원의 향후 행보가 험난할 것임을 예고하는 한마디였다.
/신창훈 기자 chunsim@naeil.com
겉으로 드러난 이유는 당의 쇄신을 위한 방법론적 차이 때문으로 보이지만 근본적으로는 김종필 전 총재의 정계은퇴 이후 당내 주도권 확보를 위한 권력투쟁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심 지사와 김 의원은 24일 오전 자민련 마포당사에서 30분 간격으로 기자회견을 갖고 당의 진로에 대한 각자의 의견을 토로했다. 먼저 심 지사는 “다음달 8일로 잡혀 있는 전당대회는 국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개혁비전을 제시하지 못한 상태에서 치러지는 것이기 때문에 아무런 의미가 없다”며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의 연기를 주장했다. 심 지사는 또 “현재 운영되고 있는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를 ‘자민련 혁신위원회’로 전환해 자민련의 모든 로드맵을 제시하도록 해야 한다”면서 “분권형 정당제도가 자민련이 가야 할 길”이라고 강조했다.
자신의 거취와 관련 심 지사는 “난 충남도지사로서 도정에 전념해야 할 사람이다. 현 상황에서 당권에 도전하거나 당 대표 경선에 나가면 당원들의 조소거리가 될 것”이라며 당 대표 경선에 출마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반면 김학원 의원은 “당을 개혁하기 위해서는 우선 지도부가 구성돼야 한다”면서 “전당대회 연기는 절대 불가능하다”고 맞받았다. 김 의원은 “총선 패배에 대한 책임에서 자민련 구성원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지만 당을 재건하기 위해서는 하루빨리 지도부가 구성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김 의원은 다음달 8일 전당대회 때 선출될 당 대표 경선에 출마를 선언 놓고 있는 상태다.
사실 심 지사와 김 의원의 갈등은 지난 총선 때 이미 표출됐다. 대전·충청권 공천과정에서 김 의원이 심 지사 ‘사람들’을 배제했고, 이에 대해 김 지사의 측의 불만이 극에 달했다는 얘기가 흘러나오기도 했다.
지난 총선 때 ‘탄핵역풍’이 불기전만해도 심 지사가 충청권에서 자민련을 결속하는 구심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총선에서 대패해 당내 심 지사의 영향력이 급속히 약화된 것도 김 의원과의 갈등을 키운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24일 마포당사에서는 심 지사를 지지하는 측과 김 의원 지지자들이 나뉘어 고성을 주고받는 촌극을 연출했다. 당원 중 한 사람은 “빨리 당이 없어져야 편안하게 딴 데로 옮기지”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포스트 JP’의 대표주자인 심 지사와 김 의원의 향후 행보가 험난할 것임을 예고하는 한마디였다.
/신창훈 기자 chunsim@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