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의 체감경기가 크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출기업보다 내수기업들이 체감하는 경기부진의 정도가 더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간 체감경기 양극화가 뚜렷하다.
11일 한국은행이 2453개 업체를 대상으로 한 `5월 기업경기조사 결과''에 따르면 제조업 업황 실사지수(BSI)는 80으로 4월의 87에 비해 7포인트 하락했다.
제조업 업황 BSI는 지난해 11월 84에서 12월 82, 올해 1월 80, 2월 77 등으로 계속 떨어지다가 3월에 81로 상승세로 돌아선 후 4월에는 87로 뛰었으나 두달만에 다시 하락세로 반전됐다. 5월중 업황 BSI가 크게 부진한 것은 유가급등과 중국의 긴축정책, 원화절상 등 대외여건의 악화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한국은행은 설명했다.
/고병수 기자 byng8@naeil.com
11일 한국은행이 2453개 업체를 대상으로 한 `5월 기업경기조사 결과''에 따르면 제조업 업황 실사지수(BSI)는 80으로 4월의 87에 비해 7포인트 하락했다.
제조업 업황 BSI는 지난해 11월 84에서 12월 82, 올해 1월 80, 2월 77 등으로 계속 떨어지다가 3월에 81로 상승세로 돌아선 후 4월에는 87로 뛰었으나 두달만에 다시 하락세로 반전됐다. 5월중 업황 BSI가 크게 부진한 것은 유가급등과 중국의 긴축정책, 원화절상 등 대외여건의 악화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한국은행은 설명했다.
/고병수 기자 byng8@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