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근리 희생자 심사 및 명예회복에 관한 법률이 통과됐지만 아직까지 희생자와 유족의 명예회복을 위한 사업이 전혀 진척되지 않고 있다.”
지난 99년부터 노근리사건 진상규명 활동을 주도했던 정구도(50·사진) 노근리사건대책위원회 부위원장. 그는 이렇게 아쉬움부터 털어놨다. 그의 아쉬움이 괜한 것은 아니다.
지난 3월 5일 노근리특별법이 공포됐음에도 5개월이 지난 지금까지 희생자 심사조차 시작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더구나 특별법은 법시행 후 1년 이내에 피해자 심사를 끝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만큼, 위원회 활동이 늦어질수록 명예회복 사업이 졸속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정 부위원장은 1955년에 태어난 전후세대다. 그런데도 그와 노근리의 인연은 질기다. 50년 당시 미군의 총격으로 형과 누나를 노근리에서 잃었다. 그는 “미군이 쏜 총알이 어머니 옆구리를 관통해 당시 5살이던 형과 3살이던 누나를 맞혔다. 형과 누나는 그 자리에서 즉사했고 어머니는 중상을 입었다”고 말했다.
그가 노근리사건 진상규명에 본격적으로 관여하게 된 것은 지난 91년부터. 당시 정 부위원장의 아버지 정은용(84· 현 노근리대책위원장)씨가 노근리사건을 소재로 책을 집필하고 있었는데 이를 돕게 되면서 본격적인 관심을 갖게 됐다.
노근리사건은 50년 7월 25일 퇴각하던 미군이 충북 영동군 노근리 주민 수백 명을 이유 없이 무차별 학살한 사건이다. 지난 99년 AP보도 후 한미 양국은 각각 조사단을 구성해 조사를 벌였고, 2001년 1월 클린턴 당시 미국 대통령이 사과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정 부위원장은 “미국 대통령이 전쟁범죄에 대해 잘못을 인정한 것은 해방이후 처음 있는 일”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러나 그는 “미국 정부는 잘못을 인정하면서도 이 사건이 단위부대의 우발적 실수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밝힌 뒤 “미국정부는 노근리 추모사업에 여전히 성의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단적인 예로 추모탑 문안을 꼽았다. 그는 “미국에서 제시한 문안을 보면 기가 막힌다. 노근리 이야기도 없을 뿐더러 가해자인 미군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고 주장했다.
때문에 미국정부가 사과를 하고 희생자들과 유가족들에게 배상을 할 때까지 대책위 활동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는 게 정 부위원장의 각오다.
/윤영철 기자 ycyun@naeil.com
지난 99년부터 노근리사건 진상규명 활동을 주도했던 정구도(50·사진) 노근리사건대책위원회 부위원장. 그는 이렇게 아쉬움부터 털어놨다. 그의 아쉬움이 괜한 것은 아니다.
지난 3월 5일 노근리특별법이 공포됐음에도 5개월이 지난 지금까지 희생자 심사조차 시작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더구나 특별법은 법시행 후 1년 이내에 피해자 심사를 끝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만큼, 위원회 활동이 늦어질수록 명예회복 사업이 졸속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정 부위원장은 1955년에 태어난 전후세대다. 그런데도 그와 노근리의 인연은 질기다. 50년 당시 미군의 총격으로 형과 누나를 노근리에서 잃었다. 그는 “미군이 쏜 총알이 어머니 옆구리를 관통해 당시 5살이던 형과 3살이던 누나를 맞혔다. 형과 누나는 그 자리에서 즉사했고 어머니는 중상을 입었다”고 말했다.
그가 노근리사건 진상규명에 본격적으로 관여하게 된 것은 지난 91년부터. 당시 정 부위원장의 아버지 정은용(84· 현 노근리대책위원장)씨가 노근리사건을 소재로 책을 집필하고 있었는데 이를 돕게 되면서 본격적인 관심을 갖게 됐다.
노근리사건은 50년 7월 25일 퇴각하던 미군이 충북 영동군 노근리 주민 수백 명을 이유 없이 무차별 학살한 사건이다. 지난 99년 AP보도 후 한미 양국은 각각 조사단을 구성해 조사를 벌였고, 2001년 1월 클린턴 당시 미국 대통령이 사과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정 부위원장은 “미국 대통령이 전쟁범죄에 대해 잘못을 인정한 것은 해방이후 처음 있는 일”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러나 그는 “미국 정부는 잘못을 인정하면서도 이 사건이 단위부대의 우발적 실수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밝힌 뒤 “미국정부는 노근리 추모사업에 여전히 성의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단적인 예로 추모탑 문안을 꼽았다. 그는 “미국에서 제시한 문안을 보면 기가 막힌다. 노근리 이야기도 없을 뿐더러 가해자인 미군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고 주장했다.
때문에 미국정부가 사과를 하고 희생자들과 유가족들에게 배상을 할 때까지 대책위 활동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는 게 정 부위원장의 각오다.
/윤영철 기자 ycyun@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