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간 주한미군 감축 협상이 19일 오후 서울에서 시작되는 제11차 미래한미동맹정책구상(FOTA) 회의에서 본격화된다.
안광찬 국방부 정책실장과 리처드 롤리스 미 국방부 동아태 담당 부차관보를 수석대표로 하는 양국 협상팀은 이날부터 이틀간 국방부 중회의실에서 미군 감축 등 양국간 현안을 조율한다.
한국측은 미국이 지난달 10차 FOTA 회의에서 주한미군 1만2500명과 다연장로켓(MLRS) 및 아파치헬기 부대 등 핵심전력을 2005년 말까지 줄이기로 통보한 주한미군 감축일정을 1년 이상 늦춰줄 것을 요구할 방침이다.
또 이번 회의에서는 용산기지 이전을 위한 법적체계로 불평등 시비가 끊이지 않았던 기존의 양해각서(MOU) 및 합의각서(MOA)를 대체하기 위해 최근 마련한 포괄협정(UA) 및 이행합의서(IA)에 가서명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UA와 IA는 가서명과 국회 승인 절차를 거쳐 윤광웅 국방장관과 김 숙 외교부 북미국장, 리언 라포트 주한미군사령관, 게리 트랙슬러 7공군사령관 겸 주한미부사령관이 최종 서명하면 법적 효력을 갖게 된다.
/김상범 기자 claykim@naeil.com
안광찬 국방부 정책실장과 리처드 롤리스 미 국방부 동아태 담당 부차관보를 수석대표로 하는 양국 협상팀은 이날부터 이틀간 국방부 중회의실에서 미군 감축 등 양국간 현안을 조율한다.
한국측은 미국이 지난달 10차 FOTA 회의에서 주한미군 1만2500명과 다연장로켓(MLRS) 및 아파치헬기 부대 등 핵심전력을 2005년 말까지 줄이기로 통보한 주한미군 감축일정을 1년 이상 늦춰줄 것을 요구할 방침이다.
또 이번 회의에서는 용산기지 이전을 위한 법적체계로 불평등 시비가 끊이지 않았던 기존의 양해각서(MOU) 및 합의각서(MOA)를 대체하기 위해 최근 마련한 포괄협정(UA) 및 이행합의서(IA)에 가서명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UA와 IA는 가서명과 국회 승인 절차를 거쳐 윤광웅 국방장관과 김 숙 외교부 북미국장, 리언 라포트 주한미군사령관, 게리 트랙슬러 7공군사령관 겸 주한미부사령관이 최종 서명하면 법적 효력을 갖게 된다.
/김상범 기자 claykim@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