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의 역사전쟁이 단순한 연구업적의 경쟁이 아닌 ‘누가 더 국제사회를 상대로 설득력있게 자국의 역사임을 알려내느냐’의 경쟁임에도 불구하고 고구려사 왜곡 대책의 두 축인 정부와 학계가 각각 ‘예산지원’과 ‘연구’라는 ‘전공분야’ 외에는 ‘나 몰라라’하는 실정으로 상호연관된 전략이 너무 미흡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정부가 맡을 수밖에 없는 ‘외교’는 이미 대중국 항의 표명 및 왜곡시정 요청으로 끝났다.
박선영 포항공대 인문사회학부 교수(중국사)는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에는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한데 정부는 ‘돈 줬으면 끝’이라고 생각하고 있고 학계는 ‘동북공정’이 주로 하고 있는 변경문제(한중 국경문제)보다 고대사에 매달려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지적은 세계를 대상으로 한 홍보 전략 특히 인터넷 홈페이지 부분에서 두드러진다.
사이버민간외교사절단 반크(VANK)의 박기태 단장은 “고구려사와 관련해 민간의 활동으로 국제적 관심을 불러일으킨다고 해도 현재로선 자신있게 보여줄 곳이 없다”고 말했다.
고구려사에 관심있는 외국인에게 자신있게 보여줄 홈페이지 하나 없다는 것이다.
한국을 대표하는 홈페이지에서 고구려사는 비중있게 다뤄지지 않고 있다.
구글(www.google.com), 야후(www.yahoo.com) 등 유명검색사이트에서 ‘Korea’로 검색했을 때 가장 쉽게 찾게 되는 국정홍보처 소속 해외홍보원(www.korea.
net)의 경우도 영문 ‘역사(history)’ 코너에서 삼국시대 관련 내용이 A4용지 2장반 분량으로 소개되고 있다. 외교통상부 홈페이지(www.mofat.go.kr)나 청와대(www.cwd.go.kr), 한국관광공사(www.knto.or.kr)와 같이 우리나라와 우리의 역사에 관심있을 만한 외국인이 찾을 법한 홈페이지에도 우리 역사는 없다.
특히 중국의 동북공정에 맞서 우리의 고대사를 지켜내야 할 고구려연구재단은 출범 6개월이 다 돼가는 현재도 공식 홈페이지 하나 갖추지 못한 채 활동하고 있다.
고구려연구재단은 학계의 주도와 정부의 지원으로 지난 2월18일 창립총회를 열고 3월1일 공식 활동을 시작했으나 아직까지 재단 연락처와 위치 등이 표시된 시범 홈페이지(www.koguryo.re.kr)만 개설돼 있을 뿐이다.
정부와 열린우리당은 19일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과 관련, 연간 50억원 규모의 고구려연구재단 예산을 내년부터 대폭 확대키로 잠정 합의했다.
하지만 중국의 ‘동북공정’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전략과 전문인력이 충족되지 않은 채 예산만 늘려서는 “관련 학계의 밥그릇만 키웠다”는 비판을 면키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연구재단 관계자는 “직원 채용 후 실제로 업무에 착수한 지는 2개월정도밖에 안 됐다”며 “정부 예산지원을 받고 있는 상황이라 홈페이지 제작업체 선정을 함부로 할 수 없어 업체 선정에 시간이 걸렸다”고 밝혔다. 홈페이지 제작업체는 2주전에 선정됐으며 아직 작업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재단은 출범 이후 지금까지 주로 △연구위원중심의 자체연구사업 △연구지원사업 △국제학술교류사업 △시민단체와 연계한 홍보활동을 해왔다고 밝혔다. ‘연구’에 몰두하다 ‘홍보’를 외면한 셈이다. 하지만 이러한 대응은 순서가 바뀌었다는 지적이다.
박기태 반크 단장은 “우리가 국사책에서 고구려사를 배우지 않아 중국에 고구려사를 빼앗기게 됐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연구만 해서 지식을 축적하고 세계를 외면한 채 우리끼리 공유하는 게 무슨 의미가 있냐”고 반문했다.
/연제호 기자 news21@naeil.com
박선영 포항공대 인문사회학부 교수(중국사)는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에는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한데 정부는 ‘돈 줬으면 끝’이라고 생각하고 있고 학계는 ‘동북공정’이 주로 하고 있는 변경문제(한중 국경문제)보다 고대사에 매달려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지적은 세계를 대상으로 한 홍보 전략 특히 인터넷 홈페이지 부분에서 두드러진다.
사이버민간외교사절단 반크(VANK)의 박기태 단장은 “고구려사와 관련해 민간의 활동으로 국제적 관심을 불러일으킨다고 해도 현재로선 자신있게 보여줄 곳이 없다”고 말했다.
고구려사에 관심있는 외국인에게 자신있게 보여줄 홈페이지 하나 없다는 것이다.
한국을 대표하는 홈페이지에서 고구려사는 비중있게 다뤄지지 않고 있다.
구글(www.google.com), 야후(www.yahoo.com) 등 유명검색사이트에서 ‘Korea’로 검색했을 때 가장 쉽게 찾게 되는 국정홍보처 소속 해외홍보원(www.korea.
net)의 경우도 영문 ‘역사(history)’ 코너에서 삼국시대 관련 내용이 A4용지 2장반 분량으로 소개되고 있다. 외교통상부 홈페이지(www.mofat.go.kr)나 청와대(www.cwd.go.kr), 한국관광공사(www.knto.or.kr)와 같이 우리나라와 우리의 역사에 관심있을 만한 외국인이 찾을 법한 홈페이지에도 우리 역사는 없다.
특히 중국의 동북공정에 맞서 우리의 고대사를 지켜내야 할 고구려연구재단은 출범 6개월이 다 돼가는 현재도 공식 홈페이지 하나 갖추지 못한 채 활동하고 있다.
고구려연구재단은 학계의 주도와 정부의 지원으로 지난 2월18일 창립총회를 열고 3월1일 공식 활동을 시작했으나 아직까지 재단 연락처와 위치 등이 표시된 시범 홈페이지(www.koguryo.re.kr)만 개설돼 있을 뿐이다.
정부와 열린우리당은 19일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과 관련, 연간 50억원 규모의 고구려연구재단 예산을 내년부터 대폭 확대키로 잠정 합의했다.
하지만 중국의 ‘동북공정’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전략과 전문인력이 충족되지 않은 채 예산만 늘려서는 “관련 학계의 밥그릇만 키웠다”는 비판을 면키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연구재단 관계자는 “직원 채용 후 실제로 업무에 착수한 지는 2개월정도밖에 안 됐다”며 “정부 예산지원을 받고 있는 상황이라 홈페이지 제작업체 선정을 함부로 할 수 없어 업체 선정에 시간이 걸렸다”고 밝혔다. 홈페이지 제작업체는 2주전에 선정됐으며 아직 작업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재단은 출범 이후 지금까지 주로 △연구위원중심의 자체연구사업 △연구지원사업 △국제학술교류사업 △시민단체와 연계한 홍보활동을 해왔다고 밝혔다. ‘연구’에 몰두하다 ‘홍보’를 외면한 셈이다. 하지만 이러한 대응은 순서가 바뀌었다는 지적이다.
박기태 반크 단장은 “우리가 국사책에서 고구려사를 배우지 않아 중국에 고구려사를 빼앗기게 됐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연구만 해서 지식을 축적하고 세계를 외면한 채 우리끼리 공유하는 게 무슨 의미가 있냐”고 반문했다.
/연제호 기자 news21@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