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저축은행들이 강남 서초 송파 등 서울의 ''강남특구''로 몰려들고 있다. 강남지역엔 이미 본점을 둔 18개의 저축은행이 추가로 21개의 지점을 냈다. 신설되는 저축은행의 경우 강남만을 연고지로 고집하고 있다.
대표적인 서민금융기관이 ''대표적인 부자지역''을 찾고 있는 셈이다. 장기불황으로 내남없이 어렵다는 요즘, 금융기관이건 기업이건 그나마 ''장사''되는 곳으로 모여드는 것은 당연하다. 저축은행 사정도 크게 다를 게 없다.
하지만 이같은 특수지역에 대한 편중은 ''서민과 중소기업 금융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했다''는 상호저축은행법 제1조를 무색케 한다. 정부가 서민과 지역금융 활성화를 위해 상호저축은행 설립을 허용한 이유나 취지도 심각하게 훼손시키고 있다.
실제로 6월말 현재 전국 114개 상호저축은행 가운데 27곳이 서울에 본점을 뒀고 이중 18곳은 강남 서초 송파 등 강남의 요지에 본점이 있다. 지점과 출장소를 포함할 경우 39곳이 강남에서 영업하고 있다. 서울지역엔 본점, 지점, 출장소 합쳐 74곳이 영업을 하고 있어 절반 이상이 강남에 쏠려 있는 셈이다. <표 참조="">
사정이 이렇다 보니 강남지역에 본점을 둔 저축은행들이 자산규모 등에서 상위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건 당연하다. 강남 등 서울지역에 본점을 둔 10개사(일부 부산 인천 포함)가 전체 114개 저축은행 여수신의 3분1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한솔, 제일, 한국 등 자산규모 상위 10개사의 연고지는 대부분 서울. 최소한 1개의 지점이상이 강남에 있는 저축은행들이다. 이들 저축은행의 총 수신고는 지난 7월말 현재 10조5170억1300만원으로 업계 전체 수신고 30조2307억원의 34.8%에 달했다. 특히 저축은행 업계가 7월 한달동안 유치한 예금 6472억원 가운데 35.0%에 해당하는 2천264억5천900만원이 이들 상위 10개사로 몰렸다. 또 이들 10개 저축은행은 지난 7월말 현재 업계 전체의 여신 26조8599억원 가운데 33.4%를 차지했다.
이런 지역이나 실적의 쏠림 현상은 저축은행 본연의 임무인 서민금융 수요의 충족보다는 자산가가 돈을 굴려 이익을 취하는 수익성 중심의 금융기관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그러나 “강남지역에 인구가 많고 자금흐름도 다른 지역에 비해 양호한 편이어서 저축은행뿐 아니라 대부분의 금융기관들이 밀집해 있다”면서 “지역경제 중심축이 오래전 강남으로 옮겨졌고 이 지역에도 서민과 중소기업이 꽤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강남 서초 송파구 등 이른바 강남특구의 경우 30대 이상 주민의 월평균 소득은 500만원에 육박하고 있어 강남 지역에 서민이 많다는 저축은행 관계자의 말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아파트를 비롯해 부동산 값이 전국에서 가장 비싼 지역으로 평가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전정한 서민이 많지 않음을 미루어 짐작케 한다.
때문에 서울지역 대부분의 저축은행은 은행의 ''프리이빗 뱅킹''처럼 고액 소득자를 상대로 한 사실상의 중산층 금융기관이 돼 버렸다는 지적이다.
게다가 일반 은행처럼 저축은행도 예금자보호법의 적용을 받고 상대적인 고금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고소득자들 역시 저축은행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추세라는 게 저축은행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최소한 강남지역을 연고로 영업을 하고 있는 저축은행들의 경우 서민금융기관이라는 수식어는 더 이상 어울리지 않는다는 얘기다.
저축은행업계는 그러나 영업구역이 서울 부산을 비롯 11개 구역으로 구분되고 본점 소재한 영업구역 외 지역에는 원칙적으로 점포를 설치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어 서울의 강남으로 쏠림현상은 불가피하다고 강변하고 있다.
더욱이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이 금리가 낮은 은행권으로 이탈하는 현상이 가속화되는 등 저축은행 영업기반이 크게 잠식당하고 있어 저축은행 고유시장을 잃고 있다는 설명이다. 여기에 퇴출 등 구조조정에다 출장소 신설에 대한 규제로 저축은행의 경우 점포가 거의 없는 지역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점도 저축은행들이 강남 진출을 부추기고 있다. 저축은행이 서민금융기관으로 제자리를 찾기 위해선 금융당국의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고병수 기자 byng8@naeil.com표>
대표적인 서민금융기관이 ''대표적인 부자지역''을 찾고 있는 셈이다. 장기불황으로 내남없이 어렵다는 요즘, 금융기관이건 기업이건 그나마 ''장사''되는 곳으로 모여드는 것은 당연하다. 저축은행 사정도 크게 다를 게 없다.
하지만 이같은 특수지역에 대한 편중은 ''서민과 중소기업 금융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했다''는 상호저축은행법 제1조를 무색케 한다. 정부가 서민과 지역금융 활성화를 위해 상호저축은행 설립을 허용한 이유나 취지도 심각하게 훼손시키고 있다.
실제로 6월말 현재 전국 114개 상호저축은행 가운데 27곳이 서울에 본점을 뒀고 이중 18곳은 강남 서초 송파 등 강남의 요지에 본점이 있다. 지점과 출장소를 포함할 경우 39곳이 강남에서 영업하고 있다. 서울지역엔 본점, 지점, 출장소 합쳐 74곳이 영업을 하고 있어 절반 이상이 강남에 쏠려 있는 셈이다. <표 참조="">
사정이 이렇다 보니 강남지역에 본점을 둔 저축은행들이 자산규모 등에서 상위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건 당연하다. 강남 등 서울지역에 본점을 둔 10개사(일부 부산 인천 포함)가 전체 114개 저축은행 여수신의 3분1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한솔, 제일, 한국 등 자산규모 상위 10개사의 연고지는 대부분 서울. 최소한 1개의 지점이상이 강남에 있는 저축은행들이다. 이들 저축은행의 총 수신고는 지난 7월말 현재 10조5170억1300만원으로 업계 전체 수신고 30조2307억원의 34.8%에 달했다. 특히 저축은행 업계가 7월 한달동안 유치한 예금 6472억원 가운데 35.0%에 해당하는 2천264억5천900만원이 이들 상위 10개사로 몰렸다. 또 이들 10개 저축은행은 지난 7월말 현재 업계 전체의 여신 26조8599억원 가운데 33.4%를 차지했다.
이런 지역이나 실적의 쏠림 현상은 저축은행 본연의 임무인 서민금융 수요의 충족보다는 자산가가 돈을 굴려 이익을 취하는 수익성 중심의 금융기관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그러나 “강남지역에 인구가 많고 자금흐름도 다른 지역에 비해 양호한 편이어서 저축은행뿐 아니라 대부분의 금융기관들이 밀집해 있다”면서 “지역경제 중심축이 오래전 강남으로 옮겨졌고 이 지역에도 서민과 중소기업이 꽤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강남 서초 송파구 등 이른바 강남특구의 경우 30대 이상 주민의 월평균 소득은 500만원에 육박하고 있어 강남 지역에 서민이 많다는 저축은행 관계자의 말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아파트를 비롯해 부동산 값이 전국에서 가장 비싼 지역으로 평가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전정한 서민이 많지 않음을 미루어 짐작케 한다.
때문에 서울지역 대부분의 저축은행은 은행의 ''프리이빗 뱅킹''처럼 고액 소득자를 상대로 한 사실상의 중산층 금융기관이 돼 버렸다는 지적이다.
게다가 일반 은행처럼 저축은행도 예금자보호법의 적용을 받고 상대적인 고금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고소득자들 역시 저축은행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추세라는 게 저축은행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최소한 강남지역을 연고로 영업을 하고 있는 저축은행들의 경우 서민금융기관이라는 수식어는 더 이상 어울리지 않는다는 얘기다.
저축은행업계는 그러나 영업구역이 서울 부산을 비롯 11개 구역으로 구분되고 본점 소재한 영업구역 외 지역에는 원칙적으로 점포를 설치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어 서울의 강남으로 쏠림현상은 불가피하다고 강변하고 있다.
더욱이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이 금리가 낮은 은행권으로 이탈하는 현상이 가속화되는 등 저축은행 영업기반이 크게 잠식당하고 있어 저축은행 고유시장을 잃고 있다는 설명이다. 여기에 퇴출 등 구조조정에다 출장소 신설에 대한 규제로 저축은행의 경우 점포가 거의 없는 지역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점도 저축은행들이 강남 진출을 부추기고 있다. 저축은행이 서민금융기관으로 제자리를 찾기 위해선 금융당국의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고병수 기자 byng8@naeil.com표>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