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버스요금 인상 논란
시, 버스업계 경영난 해소 …서울수준 인상 / 시민단체, 서비스 개선 없는 요금인상 반대
지역내일
2004-09-12
(수정 2004-09-13 오전 11:40:32)
인천시가 버스업계 경영난을 덜어주기 위해 요금인상안을 발표하자 시민단체가 서민경제를 외면한 처사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나서 논란이 예상된다.
12일 인천시에 따르면 최근 고유가 등 버스업계의 경영난을 덜어주기 위해 이르면 내달 초 시내버스와 지선(마을)버스, 광역버스 요금을 일제히 서울시와 동일한 수준으로 인상할 계획이다.
시가 마련한 인상안에 따르면 시내버스 요금은 현재 현금(일반인 기준) 700원, 카드 650원에서 카드 800원, 현금 900원으로 오른다. 지선버스의 경우, 현금은 현재 500원에서 600원, 카드는 450원에서 카드 500원으로 각각 인상된다.
시계외 지역을 오가는 광역버스는 카드 1500원, 현금 2000원에서 카드 2000원, 현금 2500원으로 평균 29% 오른다.
그러나 중고생 등 청소년과 초등학생 요금은 현행 수준에서 동결된다.
시는 이 같은 인상안에 대해 이달 중으로 버스업계, 시의회,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대중교통정책 자문위원회와 물가심의대책위 등의 의견을 수렴, 인상폭과 시기를 확정할 방침이다.
하지만 시민단체는 지난해 3월 버스요금 인상시 약속했던 서비스와 교통체계 개선, 업계의 경영개선 노력은 없이 요금만 인상하려 한다며 반대입장을 밝혔다.
‘평화와 참여로 가는 인천연대’는 보도자료를 통해 “별다른 시설투자나 서비스 개선 없는 요금인상을 있을 수 없다”며 “이번 버스요금 인상은 일방적으로 버스업체 편만 들어주고 서민경제의 어려움은 무시한 처사”라고 지적했다.
또 이 단체는 “지난해 버스요금 인상과 함께 사외이사제 도입 등 업체의 경영개선방안을 내놓았지만 그러한 노력은 어디에도 없다”며 “버스회사의 경영투명성이 전제되지 않은 요금인상은 설득력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유류대 등으로 매년 200억원 가량의 세금을 버스업계에 지원하는 데다 버스요금까지 인상한다면 시민 부담만 2중으로 가중시킬 뿐”이라며 “일반버스와 마을버스 노선의 전면적인 개편 등 근본적인 대중교통 개선정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인천연대 관계자는 “서울시처럼 일방적으로 밀어붙이는 버스정책은 반드시 시민 저항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버스요금 인상방침 철회를 위해 제 시민사회단체와 연대해 강력히 투쟁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시는 “유가 인상 등으로 버스업계의 어려움이 가중됐고, 지난 7월 철도요금 인상에 따라 버스요금 인상을 내놓게 됐다”며 “이달 안으로 관련 절차를 거쳐 인상안을 최종 확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오는 11월부터 광역버스를 포함해 인천지역 버스에서 1시간 안에 인천지하철로 갈아탈 경우, 지하철 요금을 50% 할인해줄 방침이라고 밝혔다. 현재 인천시는 시내버스를 탄 후 1시간 이내에 다른 버스로 갈아탈 경우, 요금을 면제해 주는 무료환승제를 실시하고 있다.
/인천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12일 인천시에 따르면 최근 고유가 등 버스업계의 경영난을 덜어주기 위해 이르면 내달 초 시내버스와 지선(마을)버스, 광역버스 요금을 일제히 서울시와 동일한 수준으로 인상할 계획이다.
시가 마련한 인상안에 따르면 시내버스 요금은 현재 현금(일반인 기준) 700원, 카드 650원에서 카드 800원, 현금 900원으로 오른다. 지선버스의 경우, 현금은 현재 500원에서 600원, 카드는 450원에서 카드 500원으로 각각 인상된다.
시계외 지역을 오가는 광역버스는 카드 1500원, 현금 2000원에서 카드 2000원, 현금 2500원으로 평균 29% 오른다.
그러나 중고생 등 청소년과 초등학생 요금은 현행 수준에서 동결된다.
시는 이 같은 인상안에 대해 이달 중으로 버스업계, 시의회,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대중교통정책 자문위원회와 물가심의대책위 등의 의견을 수렴, 인상폭과 시기를 확정할 방침이다.
하지만 시민단체는 지난해 3월 버스요금 인상시 약속했던 서비스와 교통체계 개선, 업계의 경영개선 노력은 없이 요금만 인상하려 한다며 반대입장을 밝혔다.
‘평화와 참여로 가는 인천연대’는 보도자료를 통해 “별다른 시설투자나 서비스 개선 없는 요금인상을 있을 수 없다”며 “이번 버스요금 인상은 일방적으로 버스업체 편만 들어주고 서민경제의 어려움은 무시한 처사”라고 지적했다.
또 이 단체는 “지난해 버스요금 인상과 함께 사외이사제 도입 등 업체의 경영개선방안을 내놓았지만 그러한 노력은 어디에도 없다”며 “버스회사의 경영투명성이 전제되지 않은 요금인상은 설득력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유류대 등으로 매년 200억원 가량의 세금을 버스업계에 지원하는 데다 버스요금까지 인상한다면 시민 부담만 2중으로 가중시킬 뿐”이라며 “일반버스와 마을버스 노선의 전면적인 개편 등 근본적인 대중교통 개선정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인천연대 관계자는 “서울시처럼 일방적으로 밀어붙이는 버스정책은 반드시 시민 저항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버스요금 인상방침 철회를 위해 제 시민사회단체와 연대해 강력히 투쟁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시는 “유가 인상 등으로 버스업계의 어려움이 가중됐고, 지난 7월 철도요금 인상에 따라 버스요금 인상을 내놓게 됐다”며 “이달 안으로 관련 절차를 거쳐 인상안을 최종 확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오는 11월부터 광역버스를 포함해 인천지역 버스에서 1시간 안에 인천지하철로 갈아탈 경우, 지하철 요금을 50% 할인해줄 방침이라고 밝혔다. 현재 인천시는 시내버스를 탄 후 1시간 이내에 다른 버스로 갈아탈 경우, 요금을 면제해 주는 무료환승제를 실시하고 있다.
/인천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