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디스, 국민-주택 신용등급 상향 조정 검토
세계적인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사는 27일(현지시간) 국민과 주택은행의 장기 신용등급과 재무건전도 등급에 대해 상향조정 가능성을 검토한다고 발표했다.
무디스는 지난 22일 양은행의 합병발표로 자산이 130조엔이 넘는 한국내 최대은행이 탄생하게 됐으며, 소매금융부문에서도 우위를 갖게됐다고 밝히고, 장기적으로도 비용 및 전략적 시너지에 따른 많은 이익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엔달러 가치하락세…달러당 114.34엔
도쿄시장에서의 일본 엔화 가치 하락세가 홍콩시장에서도 이어졌다. 11월중의 산업생산지수가 전달보다 0.8% 하락한 것으로 밝혀졌다는 통산성 발표가 주 요인이다.
홍콩시장에서 엔화는 달러화에 대해 16개월만에 가장 높은 114.34엔을 기록했다. 또 유로화에 대해서도 10개월만에 가장 높은 1유로당 106.54엔으로 거래됐다.
일본정부는 산업생산지수가 떨어진데 이어 엔화가치가 떨어지자 대장성 국제담당관인 구로다 하루히코가 이를 용인할 듯한 뜻을 비쳐 가치 하락을 부추겼다.
유로 상승 행진 계속
유럽단일통화인 유로가 달러와 엔화에 대해 상승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이때문에 유로가치가 하락을 완전히 멈추고 안정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일고 있다.
유로는 27일 런던 외환시장에서 0.9341달러, 106.55엔에 거래됐다.
이는 달러에 대해서는 5개월만의, 엔에 대해서는 10개월만의 최고치에 해당하는 것이다. 유로는 또한 이로써 지난 한달동안 달러에 대해 10% 이상 가치가 상승했다.
한국 증시, 하락률 세계 1위
세계 38개국 증시의 지수 변화를 나타내는 메릴린치의 글로벌 주식시장 성과표에 따르면 한국이 27일까지 세계에서 가장 주가가 많이 떨어진 나라로 기록됐다고 다우존스뉴스가 보도했다.
한국은 50.9%가 떨어져 하락률 1위를 차지했으며, 2~4위는 태국(45%), 대만(44.1%), 인도네시아(35.8%) 등이었다. 일본은 26%, 홍콩은 13.1%, 싱가포르는 23.7%, 필리핀은 31.5% 하락했다.
한편 중국의 상하이 B 증시는 133.6% 상승,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코스닥 1723억원 시장조성불구
주가반토막
올해 코스닥시장에서 40개 신규등록법인에 1723억원의 시장조성 금액이 투입됐지만 시장 폭락으로 주가는 공모가 대비 평균 52.1%나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증권업협회는 27일 올해 SK증권이 3개사의 시장조성에 336억원을 투입한 것을 비롯해 LG증권 334억원(4개사), 현대증권 299억원(9개사) 등 순으로 시장조성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시장조성에 들어간 등록법인 40개사의 주가는 공모가 대비 평균 52.1%의 하락율을 보여 극심한 시장침체 현상을 그대로 반영한 것으로 집계됐다.
종목별로는 현대정보기술의 주가가 공모가 대비 83.8%가 하락했고 한국정보공학(82.1%), 인네트(80.9%) 등 순으로 높은 하락율을 기록했다.
반면 국순당만이 유일하게 공모가보다 27.2% 올랐고 장원엔지니어링, 마니커가 각각 0.3%, 18.1%의 비교적 적은 하락폭을 보였다.
세계적인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사는 27일(현지시간) 국민과 주택은행의 장기 신용등급과 재무건전도 등급에 대해 상향조정 가능성을 검토한다고 발표했다.
무디스는 지난 22일 양은행의 합병발표로 자산이 130조엔이 넘는 한국내 최대은행이 탄생하게 됐으며, 소매금융부문에서도 우위를 갖게됐다고 밝히고, 장기적으로도 비용 및 전략적 시너지에 따른 많은 이익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엔달러 가치하락세…달러당 114.34엔
도쿄시장에서의 일본 엔화 가치 하락세가 홍콩시장에서도 이어졌다. 11월중의 산업생산지수가 전달보다 0.8% 하락한 것으로 밝혀졌다는 통산성 발표가 주 요인이다.
홍콩시장에서 엔화는 달러화에 대해 16개월만에 가장 높은 114.34엔을 기록했다. 또 유로화에 대해서도 10개월만에 가장 높은 1유로당 106.54엔으로 거래됐다.
일본정부는 산업생산지수가 떨어진데 이어 엔화가치가 떨어지자 대장성 국제담당관인 구로다 하루히코가 이를 용인할 듯한 뜻을 비쳐 가치 하락을 부추겼다.
유로 상승 행진 계속
유럽단일통화인 유로가 달러와 엔화에 대해 상승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이때문에 유로가치가 하락을 완전히 멈추고 안정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일고 있다.
유로는 27일 런던 외환시장에서 0.9341달러, 106.55엔에 거래됐다.
이는 달러에 대해서는 5개월만의, 엔에 대해서는 10개월만의 최고치에 해당하는 것이다. 유로는 또한 이로써 지난 한달동안 달러에 대해 10% 이상 가치가 상승했다.
한국 증시, 하락률 세계 1위
세계 38개국 증시의 지수 변화를 나타내는 메릴린치의 글로벌 주식시장 성과표에 따르면 한국이 27일까지 세계에서 가장 주가가 많이 떨어진 나라로 기록됐다고 다우존스뉴스가 보도했다.
한국은 50.9%가 떨어져 하락률 1위를 차지했으며, 2~4위는 태국(45%), 대만(44.1%), 인도네시아(35.8%) 등이었다. 일본은 26%, 홍콩은 13.1%, 싱가포르는 23.7%, 필리핀은 31.5% 하락했다.
한편 중국의 상하이 B 증시는 133.6% 상승,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코스닥 1723억원 시장조성불구
주가반토막
올해 코스닥시장에서 40개 신규등록법인에 1723억원의 시장조성 금액이 투입됐지만 시장 폭락으로 주가는 공모가 대비 평균 52.1%나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증권업협회는 27일 올해 SK증권이 3개사의 시장조성에 336억원을 투입한 것을 비롯해 LG증권 334억원(4개사), 현대증권 299억원(9개사) 등 순으로 시장조성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시장조성에 들어간 등록법인 40개사의 주가는 공모가 대비 평균 52.1%의 하락율을 보여 극심한 시장침체 현상을 그대로 반영한 것으로 집계됐다.
종목별로는 현대정보기술의 주가가 공모가 대비 83.8%가 하락했고 한국정보공학(82.1%), 인네트(80.9%) 등 순으로 높은 하락율을 기록했다.
반면 국순당만이 유일하게 공모가보다 27.2% 올랐고 장원엔지니어링, 마니커가 각각 0.3%, 18.1%의 비교적 적은 하락폭을 보였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