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조정과 기업이란 명분아래 대량 인원감축바람이 몰아치면서 일반기업 근로자들의 명목
임금이 사실상 깎이거나 가이드라인이 아예 사라지는 등 임금체계가 한꺼번에 무너지고 있
다.
2일 재계 및 노동계에 따르면 일반기업들이 구조조정을 단행하는 과정에서 경기침체까지
겹쳐 부서마다 잉여인력이 발생하고 있는 인적구조의 현실을 내세워 내년도 임금수준을 오
히려 축소조정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그러나 공무원 보수는 '봉급조정수당’추가하는 방식으로 인상, 임금 현실화의 양극화 현상
을 빚고 있다. 공무원의 보수는 총액기준으로 지난해 9.7%인상된 데 이어 올해도 6.7% 오른
다.
기업들은 지난해 낮은 금리에 따른 금융비융감소와 상반기 경기호황 등으로 늘어난 순익을
근
로자 배분보다 채무상환이나 현금유보쪽으로 회계처리의 가닥을 잡았고 올해 역시 임금수준
을
동결 또는 각종 지원비를 줄이는 방향으로 경영계획을 짜고 있어 내년도 실질임금은 오히려
크게 줄어들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따라 명목임금이 그대로 있고 물가는 뜀박질해 실질임금이 줄어들어 근로자의 생활이
불안정할 때 자동적으로 임금을 조정하는 슬라이딩 임금제도가 사라져가고 있다. 임금은
GNP(국민총생산)수준과 경제성장률, 그리고 물가를 비롯, 기업의 순익등에 비례해서 결정
되
는 국가경제의 척도인 셈이다.
대부분 재벌그룹을 비롯, 중견그룹의 기획조정실이나 인력·인사기획부서는 올해 임금수
준을 연봉제란 무기로 무차별 동결 또는 하향조정을 구상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모 재벌그룹 인사담당 한 임원은 "모든 임직원에 대한 임금을 가급적 끌어내린다는 원칙아
래 방법을 구상중이다"고 올해 임금경영 방침을 전했다.
이로인해 당면한 감원과 임금을 둘러싼 노사간 마찰이 심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삼성그룹은 고위 관계자는 "지난해 모든 계열사에 대해 과장급 이상의 직급직원 연봉제를
도입하면서 가급적 일률적 인상수준에서 임금을 책정했으나 올해엔 회사순익 수준 등 계열
사의 기업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임금가이드라인을 책정토록 했다"고 밝혔다. 삼성의 계열
사 여건에 맞는 임금수준 결정은 임금동결 또는 후생복리 지원비 삭감 등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삼성그룹은 삼성전자 등 일부 계열사를 제외하고 대다수 업체들의 임금은 동결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삼성그룹의 임금변동은 평사원이 1월, 간부급이상은 3월에 이뤄진
다.
SK그룹의 인사담당 임원은 "지난해 현장근로를 포함 간부들에게 평균 7~8%의 급료인상을
단행했으나 올해에는 경제성장률이 둔화될 것을 우려해 인상보다 동결되
는 쪽으로 임금조성 방향이 설정되고 있다"고 밝혔다. SK는 올해부터 학자금을 제외하고
후생복지 차원에서 지급되던 생일축하금 일부 격려금 등을 이미 삭제시켰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