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총 인구수는 지난 11월1일 기준 4612만5천명으로 세계 25위 수준이며 총 가구수
는 1431만8천가구, 주택은 1149만3천호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00 인구주택 총조사 잠정집계결과'에 따르면 11월1일 현재 총인구
는 남자 2314만8000명, 여자 2297만7000명 등 모두 4612만5000명으로 지난 5년동안 151만
6000명이 증가했다.
인구밀도는 ㎢당 462명으로 지난 95년 조사결과보다 13명이 증가했다. 전국 인구를 국토면
적에 개인간 거리가 동일하게 배치할 경우 개인별 거리를 나타내는 인구접근도는 95년보다
0.7m가 더 줄어든 50m로 나타났다.
여자 100명당 남자수를 나타내는 성비는 100.7명으로 95년보다 0.1명이 줄었으며 가구당 평
균가구원수는 3.1명으로 0.3명이 감소했다.
유엔인구전망에 따르면 2000년 전세계 인구는 60억5504만9000명이며 우리나라 인구는 전세계인구의 0.8%로 25위에 해당한다. 이는 지난 95년 조사결과와 비교할 때 인구는 151만6000명, 가구는 136만가구, 주택은 192만3000호가 각각 증가했다.
▲인구 = 수도권 인구비중이 46.3%로 95년보다 1% 포인트 상승했으나 90년부터 95년 사이
2.5%포인트가 늘어난 것에 비해 증가폭이 둔화되고 있다.
지역별 인구추이는 서울과 부산의 경우 34만명과 15만명이 감소한 반면, 경기,인천, 경남의
인구는 각각 132만9000명, 16만8000명, 10만명이 늘어 대도시권의 중심 도시인구가 주변지역
으로 이동하는 광역화 현상이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특히 전국 증가인구의 87.7%에 해당하는 132만9000명의 인구가 경기도에서 증가, 수도권 신
도시 지역으로의 인구이동이 활발했음을 시사했다.
시군구별로 인구가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경기도 고양시로 신도시 대규모 아파트단지 이주
등에 따른 인구유입으로 24만6000명이 늘었고, 다음으로 수원시 19만1000명, 시흥시 17만
2000명, 용인시 14만3000명, 남양주시 11만1000명의 순이었다.
도시화율은 79.7%로 95년보다 1.2%포인트 증가했으며 읍면동별 인구는 동지역인구가 3675
만1000명, 읍지역 374만5000명, 면지역 562만9000명이었다. 동지역 인구는 171만5000명이 늘
었으나 면지역 인구는 45만9000명이 줄어 농촌지역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음을 보
여줬다.
▲가구.주택 = 95년에 비해 주택은 192만3000가구(20.1%)가 늘고 가구수는 136만 가구
(10.5%)가 증가하는 등 가구수 증가폭보다 주택수 증가폭이 커짐에 따라 주거여건이 개선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형태는 아파트와 다세대주택은 증가한 반면, 단독주택은 감소하고 있으며 연립주택과
영업용건물내 주택은 큰 변화가 없었다. 아파트가 전체주택중 절반 가까운 47.8%를 차지했
고, 단독주택 37.3%, 연립주택 7.3%, 다세대주택 4.2%, 영업용건물내 주택 3.4%의 순이었
다.
95년 조사시 단독주택 비중이 46.9%, 아파트 비중이 37.7%였으나 2000년에는 아파트와 단
독주택 순위가 바뀌었다. 단독주택은 95년에 비해 20만1천호가 감소했고 아파트는 188만
8000호 증가했기 때문이다. 아파트 증가로 전체주택중 공동주택이 차지하는 비율도 절반수
준을 넘어선 59.3%를 기록했다.
서원호 기자 os@naeil.com
는 1431만8천가구, 주택은 1149만3천호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00 인구주택 총조사 잠정집계결과'에 따르면 11월1일 현재 총인구
는 남자 2314만8000명, 여자 2297만7000명 등 모두 4612만5000명으로 지난 5년동안 151만
6000명이 증가했다.
인구밀도는 ㎢당 462명으로 지난 95년 조사결과보다 13명이 증가했다. 전국 인구를 국토면
적에 개인간 거리가 동일하게 배치할 경우 개인별 거리를 나타내는 인구접근도는 95년보다
0.7m가 더 줄어든 50m로 나타났다.
여자 100명당 남자수를 나타내는 성비는 100.7명으로 95년보다 0.1명이 줄었으며 가구당 평
균가구원수는 3.1명으로 0.3명이 감소했다.
유엔인구전망에 따르면 2000년 전세계 인구는 60억5504만9000명이며 우리나라 인구는 전세계인구의 0.8%로 25위에 해당한다. 이는 지난 95년 조사결과와 비교할 때 인구는 151만6000명, 가구는 136만가구, 주택은 192만3000호가 각각 증가했다.
▲인구 = 수도권 인구비중이 46.3%로 95년보다 1% 포인트 상승했으나 90년부터 95년 사이
2.5%포인트가 늘어난 것에 비해 증가폭이 둔화되고 있다.
지역별 인구추이는 서울과 부산의 경우 34만명과 15만명이 감소한 반면, 경기,인천, 경남의
인구는 각각 132만9000명, 16만8000명, 10만명이 늘어 대도시권의 중심 도시인구가 주변지역
으로 이동하는 광역화 현상이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특히 전국 증가인구의 87.7%에 해당하는 132만9000명의 인구가 경기도에서 증가, 수도권 신
도시 지역으로의 인구이동이 활발했음을 시사했다.
시군구별로 인구가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경기도 고양시로 신도시 대규모 아파트단지 이주
등에 따른 인구유입으로 24만6000명이 늘었고, 다음으로 수원시 19만1000명, 시흥시 17만
2000명, 용인시 14만3000명, 남양주시 11만1000명의 순이었다.
도시화율은 79.7%로 95년보다 1.2%포인트 증가했으며 읍면동별 인구는 동지역인구가 3675
만1000명, 읍지역 374만5000명, 면지역 562만9000명이었다. 동지역 인구는 171만5000명이 늘
었으나 면지역 인구는 45만9000명이 줄어 농촌지역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음을 보
여줬다.
▲가구.주택 = 95년에 비해 주택은 192만3000가구(20.1%)가 늘고 가구수는 136만 가구
(10.5%)가 증가하는 등 가구수 증가폭보다 주택수 증가폭이 커짐에 따라 주거여건이 개선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형태는 아파트와 다세대주택은 증가한 반면, 단독주택은 감소하고 있으며 연립주택과
영업용건물내 주택은 큰 변화가 없었다. 아파트가 전체주택중 절반 가까운 47.8%를 차지했
고, 단독주택 37.3%, 연립주택 7.3%, 다세대주택 4.2%, 영업용건물내 주택 3.4%의 순이었
다.
95년 조사시 단독주택 비중이 46.9%, 아파트 비중이 37.7%였으나 2000년에는 아파트와 단
독주택 순위가 바뀌었다. 단독주택은 95년에 비해 20만1천호가 감소했고 아파트는 188만
8000호 증가했기 때문이다. 아파트 증가로 전체주택중 공동주택이 차지하는 비율도 절반수
준을 넘어선 59.3%를 기록했다.
서원호 기자 os@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