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량강도 대규모 폭발사건과 관련 북한 내에서의 핵실험 감행은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이번 사건을 전후로 미국 언론과 조야에서는 북한 핵실험 가능성을 제기한 바 있어 그 정치적 배경에 의구심이 증폭되고 있다.
뉴욕타임스 인터넷판은 12일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과 고위 보좌관들은 북한이 첫 핵무기 실험을 준비하고 있다고 일부 전문가들이 믿을 수 있는 북한 움직임을 담은 정보보고를 최근 받았다고 보도했다. 이같은 보도는 량강도 폭발사건이 국내언론보도로 알려지면서 진위여부에 관심이 모아졌다.
하지만 량강도 폭발사건이 핵실험과는 무관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파월 국무장관과 라이스 안보보좌관 등 미국 정부 당국자들은 일제히 북한의 핵실험 가능성을 부인하고 나섰다.
이에 따라 이번 북한핵실험과 관련한 미국측 태도는 사실여부와는 관계없이 일단 의혹을 제기해 여론몰이를 하려는 네오콘(신보수주의자) 등 대북 강경매파의 의도가 개입된 것이 아닌가하는 의구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국내외 핵문제 전문가들은 일단 지형적, 지리적, 기술적인 이유로 북한 내 핵실험이 어렵다고 지적하고 있다.
일본의 핵문제전문가인 사토시 모리모토 교수는 “북한의 핵실험이 지상이나 공중에서 행해질 가능성은 전혀 없다”며 “핵실험이 있다면 지하핵실험일텐데 그러기 위해서는 미국의 네바다사막처럼 50∼60km크기의 사막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그는 이같은 사막이 없는 북한에서 핵실험을 할 경우 “한반도 전역의 지하수는 방사능에 오염될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으로서는 핵실험을 감행했을 경우 발생할 정치적 악영향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핵실험은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기정사실화하는 것으로 유일한 동맹국인 중국과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는 러시아의 강력한 반발을 살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또 북한이 10여년간 외교적 수단으로 사용해온 ‘핵카드’ 역시 미국과의 관계정상화, 대규모 경제지원 등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 채 사라지게 된다.
콜린 파월 미국 국무장관은 12일(현지시간) NBC방송의 ‘언론과의 만남’에 출연해 량강도폭발사건과 관련한 북한의 핵실험 가능성을 부인하면서 “만일 북한이 핵실험을 하려한다면 아마 미국보다도 주변 국가들이 더 난리가 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94년 제1차 북핵 위기 당시 외교부 부부장이었던 탕자쉬안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부총리급)은 “북한이 핵무기를 확실하게 만들었다는 증거가 있다면 우리는 당장 해방군을 동원해 북한의 핵무기를 탈취해오겠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공개적으로 핵무기 보유를 공포함으로써 스스로 ‘핵카드’를 버리는 일은 하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러시아도 마찬가지다. 러시아 일간지 ‘이즈베스티야’는 “한반도에서 핵전쟁이 일어날 경우, 러시아가 북한의 핵시설을 선제공격할 계획이다”고 극동지역 러시아군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은 지금 북일수교에 따른 배상금, 핵문제 해결 이후 경제지원을 통해 경제재건에 나서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북한이 미국 대선을 앞둔 시점에서 핵개발 위협을 통해 반대급부를 노리는 ‘핵카드의 근본적인 성격’을 변화시키는 일은 하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연제호 기자 news21@naeil.com
뉴욕타임스 인터넷판은 12일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과 고위 보좌관들은 북한이 첫 핵무기 실험을 준비하고 있다고 일부 전문가들이 믿을 수 있는 북한 움직임을 담은 정보보고를 최근 받았다고 보도했다. 이같은 보도는 량강도 폭발사건이 국내언론보도로 알려지면서 진위여부에 관심이 모아졌다.
하지만 량강도 폭발사건이 핵실험과는 무관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파월 국무장관과 라이스 안보보좌관 등 미국 정부 당국자들은 일제히 북한의 핵실험 가능성을 부인하고 나섰다.
이에 따라 이번 북한핵실험과 관련한 미국측 태도는 사실여부와는 관계없이 일단 의혹을 제기해 여론몰이를 하려는 네오콘(신보수주의자) 등 대북 강경매파의 의도가 개입된 것이 아닌가하는 의구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국내외 핵문제 전문가들은 일단 지형적, 지리적, 기술적인 이유로 북한 내 핵실험이 어렵다고 지적하고 있다.
일본의 핵문제전문가인 사토시 모리모토 교수는 “북한의 핵실험이 지상이나 공중에서 행해질 가능성은 전혀 없다”며 “핵실험이 있다면 지하핵실험일텐데 그러기 위해서는 미국의 네바다사막처럼 50∼60km크기의 사막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그는 이같은 사막이 없는 북한에서 핵실험을 할 경우 “한반도 전역의 지하수는 방사능에 오염될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으로서는 핵실험을 감행했을 경우 발생할 정치적 악영향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핵실험은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기정사실화하는 것으로 유일한 동맹국인 중국과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는 러시아의 강력한 반발을 살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또 북한이 10여년간 외교적 수단으로 사용해온 ‘핵카드’ 역시 미국과의 관계정상화, 대규모 경제지원 등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 채 사라지게 된다.
콜린 파월 미국 국무장관은 12일(현지시간) NBC방송의 ‘언론과의 만남’에 출연해 량강도폭발사건과 관련한 북한의 핵실험 가능성을 부인하면서 “만일 북한이 핵실험을 하려한다면 아마 미국보다도 주변 국가들이 더 난리가 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94년 제1차 북핵 위기 당시 외교부 부부장이었던 탕자쉬안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부총리급)은 “북한이 핵무기를 확실하게 만들었다는 증거가 있다면 우리는 당장 해방군을 동원해 북한의 핵무기를 탈취해오겠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공개적으로 핵무기 보유를 공포함으로써 스스로 ‘핵카드’를 버리는 일은 하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러시아도 마찬가지다. 러시아 일간지 ‘이즈베스티야’는 “한반도에서 핵전쟁이 일어날 경우, 러시아가 북한의 핵시설을 선제공격할 계획이다”고 극동지역 러시아군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은 지금 북일수교에 따른 배상금, 핵문제 해결 이후 경제지원을 통해 경제재건에 나서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북한이 미국 대선을 앞둔 시점에서 핵개발 위협을 통해 반대급부를 노리는 ‘핵카드의 근본적인 성격’을 변화시키는 일은 하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연제호 기자 news21@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