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 버스터미널 입지 논란
주거환경 악화·접근성 미비로 재검토해야… 시, 5곳 중 현 부지가 최적의 조건 안양·군포·의왕 등 광역차원에서 금정역 대안 거론
지역내일
2004-10-25
(수정 2004-10-26 오후 5:32:29)
지난 2000년 주민 민원과 교통체계 문제로 열병합발전소 인근 동안구 현 관양동 부지를 재 선정하고도 도시기본계획 변경 절차로 4년 이상을 끌어 온 안양 버스터미널 건립이 또 다시 주민 반발과 접근성 미비 문제로 재검토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25일 시에 따르면 지난 93년 농수산물도매시장 인근 5552평을 터미널 부지로 선정하고 96년 (주)경보를 사업시행자로 선정, 추진했으나 부지면적의 협소함과 진출입로 부적합, (주)경보의 자금난까지 겹치면서 99년 건축허가가 취소되고 2000년 5월 8318평에 이르는 공업지역 안의 현 부지를 재 선정했다.
하지만 경기도는 도시기본계획에 현 부지가 반영되어 있지 않다며 공업지역을 준공업지역으로 변경하는 도시기본계획 변경절차를 먼저 밟을 것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시는 후보지 5개소에 대한 타당성 검토 용역을 완료 한 후 지난해 11월 경기도의 도시기본계획 변경 승인을 거쳐 올해 3월 건교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 상정했다.
두 번의 현장실사까지 마친 터미널 부지에 대한 도시기본계획 변경이 승인되면 시는 곧바로 도시계획시설 결정절차를 거쳐 빠르면 2006년 상반기에 공사에 착공할 계획이다.
하지만 현 부지 선정 당시 만안구 주민들의 접근성 부족과 교통체증 등을 이유로 반대 의견을 제시한 바 있는 시의회와 터미널 인근 한양, LG아파트 주민들이 반발하고 군포, 의왕을 포괄한 광역차원에서 터미널 부지를 결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원종국 의원(48·평안동)은 “열병합발전소와 쓰레기소각장이 있는 곳에 버스터미널까지 들어선다면 주민들은 소음과 분진 등으로 삼중고에 시달릴 것”이라며 “시는 도시기본계획 변경 절차를 완료한 것처럼 가정하면서 주거지역에 둘러싸인 현 부지를 고집할 것이 아니라 도심 외곽 등 다른 부지를 검토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밝혔다.
한양아파트에 거주하는 이모(64)씨도 “지금도 열병합발전소와는 30m 밖에 떨어지지 않아 생활의 불편을 겪고 있는 마당에 터미널이 인근에 들어서면 좁은 도로에 교통량이 증가하여 주거환경은 더욱 악화될 것”이라며 “특히 한양로와 아파트를 차단하고 있는 완충 녹지를 도로 확장에 사용한다면 소음과 분진으로 인한 피해는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지난 98년도에 안양·군포·의왕시장이 모여 광역차원에서 안양에 지역정보센터, 군포에 버스터미널, 의왕에 법원청사를 유치하기로 의견을 모았던 적이 있다”며 “보령제약 1만여평 부지를 포괄하는 금정역세권 개발에 버스터미널이 포함된다면 안양 현 부지보다는 금정역이 1·4호선 환승역인 관계로 안양 만안구와 광명 등에서도 접근하기가 용이하다며 경기도의 협조를 받아 안양과 군포시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인덕원 인근 2곳, 금정역 등 5곳 후보지에 대한 용역 결과, 현 관양동 부지가 차량 진출입로이 좋고 평촌역에서도 5분 거리에 위치해 최적의 입지조건을 갖춘 곳으로 평가받아 터미널 부지로 선정했다”며 “특히 아파트와 등지게 건물을 배치하고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특수바닥 강화제 시공 등으로 주민 피해를 최소화할 것이지만 인근 주민들도 안양시 전체를 위한 사업이라는 것을 이해해 주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금정역은 전철을 이용한 접근성에서는 우수하지만 도로가 협소하여 차량을 이용한 접근에는 문제가 많다며 아직 군포로부터 버스터미널과 관련하여 연락 받은 바가 없지만 협의가 들어오면 현 관양동 부지와 함께 검토할 수는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선상원 기자 won@naeil.com
25일 시에 따르면 지난 93년 농수산물도매시장 인근 5552평을 터미널 부지로 선정하고 96년 (주)경보를 사업시행자로 선정, 추진했으나 부지면적의 협소함과 진출입로 부적합, (주)경보의 자금난까지 겹치면서 99년 건축허가가 취소되고 2000년 5월 8318평에 이르는 공업지역 안의 현 부지를 재 선정했다.
하지만 경기도는 도시기본계획에 현 부지가 반영되어 있지 않다며 공업지역을 준공업지역으로 변경하는 도시기본계획 변경절차를 먼저 밟을 것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시는 후보지 5개소에 대한 타당성 검토 용역을 완료 한 후 지난해 11월 경기도의 도시기본계획 변경 승인을 거쳐 올해 3월 건교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 상정했다.
두 번의 현장실사까지 마친 터미널 부지에 대한 도시기본계획 변경이 승인되면 시는 곧바로 도시계획시설 결정절차를 거쳐 빠르면 2006년 상반기에 공사에 착공할 계획이다.
하지만 현 부지 선정 당시 만안구 주민들의 접근성 부족과 교통체증 등을 이유로 반대 의견을 제시한 바 있는 시의회와 터미널 인근 한양, LG아파트 주민들이 반발하고 군포, 의왕을 포괄한 광역차원에서 터미널 부지를 결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원종국 의원(48·평안동)은 “열병합발전소와 쓰레기소각장이 있는 곳에 버스터미널까지 들어선다면 주민들은 소음과 분진 등으로 삼중고에 시달릴 것”이라며 “시는 도시기본계획 변경 절차를 완료한 것처럼 가정하면서 주거지역에 둘러싸인 현 부지를 고집할 것이 아니라 도심 외곽 등 다른 부지를 검토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밝혔다.
한양아파트에 거주하는 이모(64)씨도 “지금도 열병합발전소와는 30m 밖에 떨어지지 않아 생활의 불편을 겪고 있는 마당에 터미널이 인근에 들어서면 좁은 도로에 교통량이 증가하여 주거환경은 더욱 악화될 것”이라며 “특히 한양로와 아파트를 차단하고 있는 완충 녹지를 도로 확장에 사용한다면 소음과 분진으로 인한 피해는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지난 98년도에 안양·군포·의왕시장이 모여 광역차원에서 안양에 지역정보센터, 군포에 버스터미널, 의왕에 법원청사를 유치하기로 의견을 모았던 적이 있다”며 “보령제약 1만여평 부지를 포괄하는 금정역세권 개발에 버스터미널이 포함된다면 안양 현 부지보다는 금정역이 1·4호선 환승역인 관계로 안양 만안구와 광명 등에서도 접근하기가 용이하다며 경기도의 협조를 받아 안양과 군포시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인덕원 인근 2곳, 금정역 등 5곳 후보지에 대한 용역 결과, 현 관양동 부지가 차량 진출입로이 좋고 평촌역에서도 5분 거리에 위치해 최적의 입지조건을 갖춘 곳으로 평가받아 터미널 부지로 선정했다”며 “특히 아파트와 등지게 건물을 배치하고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특수바닥 강화제 시공 등으로 주민 피해를 최소화할 것이지만 인근 주민들도 안양시 전체를 위한 사업이라는 것을 이해해 주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금정역은 전철을 이용한 접근성에서는 우수하지만 도로가 협소하여 차량을 이용한 접근에는 문제가 많다며 아직 군포로부터 버스터미널과 관련하여 연락 받은 바가 없지만 협의가 들어오면 현 관양동 부지와 함께 검토할 수는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선상원 기자 won@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