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영세소규모 사업장의 안전보건 시설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시행하고 있는 ‘클린사업’의 지원품목과 금액을 대폭 확대하고, 제출서류를 간소화하는 등 기업들이 손쉽게 활용하도록 했다.
노동부는 24일 그동안 직접적인 재해위험에 대응하는 ‘방호설비’ 75개 품목 위주에서 화재·폭발방지 설비 등 ‘예방설비’ 15개 종목을 추가로 지원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지금까지 최대 2000만원까지 지원하던 것을 3000만원으로 상향 조정했으며, 최대 4000만원까지 지원하는 ‘작업환경 취약업종’에 염료제조 등 화학제품제조업을 추가하기로 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노동부는 내년도 예산을 금년보다 43% 증가한 1000억원으로 대폭 증액할 예정이다.
노동부 관계자는 “‘클린사업 운영개선방안’이 시행되면 소규모 사업장의 안전보건 시설 투자가 획기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며 “이들 사업장의 재해예방과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클린사업’은 지난 2001년 10월부터 노동부와 산업안전공단이 50인 미만 사업장의 산재예방을 위해 의욕적으로 추진한 사업으로 지난 11일까지 모두 1만296개 사업장이 ‘클린사업장’으로 인정받았다.
/백만호 기자 hopebaik@naeil.com
노동부는 24일 그동안 직접적인 재해위험에 대응하는 ‘방호설비’ 75개 품목 위주에서 화재·폭발방지 설비 등 ‘예방설비’ 15개 종목을 추가로 지원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지금까지 최대 2000만원까지 지원하던 것을 3000만원으로 상향 조정했으며, 최대 4000만원까지 지원하는 ‘작업환경 취약업종’에 염료제조 등 화학제품제조업을 추가하기로 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노동부는 내년도 예산을 금년보다 43% 증가한 1000억원으로 대폭 증액할 예정이다.
노동부 관계자는 “‘클린사업 운영개선방안’이 시행되면 소규모 사업장의 안전보건 시설 투자가 획기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며 “이들 사업장의 재해예방과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클린사업’은 지난 2001년 10월부터 노동부와 산업안전공단이 50인 미만 사업장의 산재예방을 위해 의욕적으로 추진한 사업으로 지난 11일까지 모두 1만296개 사업장이 ‘클린사업장’으로 인정받았다.
/백만호 기자 hopebaik@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