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 도봉산 자락 ‘생태골프장’ 추진
도봉구 “훼손된 곳 많아 오히려 식생 복원” …시민단체 “국립공원 경계 식생 훼손 반대”
지역내일
2004-09-22
(수정 2004-09-22 오후 12:17:43)
도봉구가 도봉산역 주변 공원화사업의 하나로 ‘도봉 생태골프장’을 추진 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 본지가 입수한 ‘도봉 생태골프장(가칭) 건설 기본계획’(2004.7·도봉구)에 따르면, 골프장은 총 9홀, 약 6만2300평 규모로 도봉동 산2-1번지 일원에 건설될 예정이다.
골프장 예정지 바로 서쪽은 북한산국립공원 도봉산 은석암 능선이고 동쪽에는 도봉산역과 환승주차장이 위치해 있다.
◆녹지자연도 6등급 이하 90%
도봉구가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이 일대에는 눈병 등을 유발하고 경제성이 저하되어 수종갱신 대상으로 간주되는 아까시나무와 은사시나무 군락이 전체의 54.4%로 가장 많고 기타 농경지가 18.2%를 차지하고 있다.
대상지 내 녹지자연도는 개발이 용이한 6등급 이하 지역이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미 훼손된 지역이라 할 수 있는 1등급 지역과 경작지인 2등급 지역이 약 30%, 녹지자연도 7등급 지역은 10%에 불과하다.
대상지의 경관은 뒤편의 도봉산을 배경으로 숲이 형성되어 있으나 주요 조망이 발생하는 국도 3호선 방면에서는 주차장, 주택지, 옥외 체육시설, 재활용품 중간집하장 등 불량경관이 주를 이룬다.
도봉구에서는 향후 골프장 건설을 통해 수림대가 조성되고 골프 코스의 녹지공간이 형성되면 경관이 오히려 좋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환경평가등급 2등급이 53%
도봉구의 자체 분석 결과 대상지의 환경평가등급은 2등급 지역이 53.63%로 가장 많고, 나머지는 3등급(26.57%), 4등급(11.81%), 5등급(7.99%)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개발에 지장이 없는 등급으로 판단되고 있다.
이를 지목별로 보면 임야가 74.03%로 가장 많고 나머지는 전(13.08%), 답(6.46%), 구거(하천유역·3.33%), 대지(2.31%), 기타 도로 및 잡종지의 순이며 모두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로 묶여 있는 상태다.
현행 규정 상 개발제한구역 안에 골프장을 설치할 수 있는 토지의 입지기준(시행규칙 제4조의 2)은 △경사도 15도 초과 면적이 사업계획 면적의 50% 이내일 것 △절토 및 성토 부분의 높이 15미터 이내 △시설면적 40% 이내 △골프연습장 면적은 골프장 면적의 10% 이내 등이다.
이런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도봉구는 시설면적을 40% 미만으로 구성하고 절토 및 성토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기존 지형을 최대한 활용, 9홀의 코스를 배치할 예정이다. 또 기존 훼손지역을 활용, 관리동과 클럽하우스, 골프연습장 등을 설치할 계획이다.
◆수돗물로 138톤 용수 공급
도봉 생태골프장이 운영될 경우 하루에 필요한 용수는 약 138톤으로 예상되고 있다. 도봉구는 이 용수를 전량 인근 상수도관로에 연결해서 공급할 계획이다.
또 연간 필요한 농약(살균제 136.4kg, 살충제 19.18kg, 제초제 13.7kg)과 비료(질소 성분 31.0kg, 인 성분 26.2kg, 칼륨 성분 26.8kg)의 사용을 최대한 줄여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사업 시행으로 녹지변동율이 79.7%로 녹지 면적이 감소하지만 골프장의 특성상 시설물인 티, 그린, 러프, 페어웨이에 식생이 조성되므로 녹지 감소에 의한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고 있다.
도봉구는 이런 계획에 따라 △9월 안에 주민 의견을 듣고 △10월 말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승인을 거쳐 △2005년 6월까지 건교부로부터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 승인 및 도시계획 시설사업 실시계획 인가’를 받겠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대해 도봉구 공원녹지과 관계자는 “생태 골프장은 훼손된 녹지 복원 차원에서 입안한 것”이라며 “훼손된 지역의 식생을 복원할 경우 오히려 골프장이 녹지를 늘릴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우이령보존회·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모임 등 환경단체들은 “국립공원 바로 옆 보존해야 할 숲속에 골프장 건설은 안 될 말”이라며 “사패산터널에 이어 북한산국립공원을 두 번 죽이는 행위”라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남준기 기자 jknam@naeil.com
최근 본지가 입수한 ‘도봉 생태골프장(가칭) 건설 기본계획’(2004.7·도봉구)에 따르면, 골프장은 총 9홀, 약 6만2300평 규모로 도봉동 산2-1번지 일원에 건설될 예정이다.
골프장 예정지 바로 서쪽은 북한산국립공원 도봉산 은석암 능선이고 동쪽에는 도봉산역과 환승주차장이 위치해 있다.
◆녹지자연도 6등급 이하 90%
도봉구가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이 일대에는 눈병 등을 유발하고 경제성이 저하되어 수종갱신 대상으로 간주되는 아까시나무와 은사시나무 군락이 전체의 54.4%로 가장 많고 기타 농경지가 18.2%를 차지하고 있다.
대상지 내 녹지자연도는 개발이 용이한 6등급 이하 지역이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미 훼손된 지역이라 할 수 있는 1등급 지역과 경작지인 2등급 지역이 약 30%, 녹지자연도 7등급 지역은 10%에 불과하다.
대상지의 경관은 뒤편의 도봉산을 배경으로 숲이 형성되어 있으나 주요 조망이 발생하는 국도 3호선 방면에서는 주차장, 주택지, 옥외 체육시설, 재활용품 중간집하장 등 불량경관이 주를 이룬다.
도봉구에서는 향후 골프장 건설을 통해 수림대가 조성되고 골프 코스의 녹지공간이 형성되면 경관이 오히려 좋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환경평가등급 2등급이 53%
도봉구의 자체 분석 결과 대상지의 환경평가등급은 2등급 지역이 53.63%로 가장 많고, 나머지는 3등급(26.57%), 4등급(11.81%), 5등급(7.99%)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개발에 지장이 없는 등급으로 판단되고 있다.
이를 지목별로 보면 임야가 74.03%로 가장 많고 나머지는 전(13.08%), 답(6.46%), 구거(하천유역·3.33%), 대지(2.31%), 기타 도로 및 잡종지의 순이며 모두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로 묶여 있는 상태다.
현행 규정 상 개발제한구역 안에 골프장을 설치할 수 있는 토지의 입지기준(시행규칙 제4조의 2)은 △경사도 15도 초과 면적이 사업계획 면적의 50% 이내일 것 △절토 및 성토 부분의 높이 15미터 이내 △시설면적 40% 이내 △골프연습장 면적은 골프장 면적의 10% 이내 등이다.
이런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도봉구는 시설면적을 40% 미만으로 구성하고 절토 및 성토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기존 지형을 최대한 활용, 9홀의 코스를 배치할 예정이다. 또 기존 훼손지역을 활용, 관리동과 클럽하우스, 골프연습장 등을 설치할 계획이다.
◆수돗물로 138톤 용수 공급
도봉 생태골프장이 운영될 경우 하루에 필요한 용수는 약 138톤으로 예상되고 있다. 도봉구는 이 용수를 전량 인근 상수도관로에 연결해서 공급할 계획이다.
또 연간 필요한 농약(살균제 136.4kg, 살충제 19.18kg, 제초제 13.7kg)과 비료(질소 성분 31.0kg, 인 성분 26.2kg, 칼륨 성분 26.8kg)의 사용을 최대한 줄여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사업 시행으로 녹지변동율이 79.7%로 녹지 면적이 감소하지만 골프장의 특성상 시설물인 티, 그린, 러프, 페어웨이에 식생이 조성되므로 녹지 감소에 의한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고 있다.
도봉구는 이런 계획에 따라 △9월 안에 주민 의견을 듣고 △10월 말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승인을 거쳐 △2005년 6월까지 건교부로부터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 승인 및 도시계획 시설사업 실시계획 인가’를 받겠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대해 도봉구 공원녹지과 관계자는 “생태 골프장은 훼손된 녹지 복원 차원에서 입안한 것”이라며 “훼손된 지역의 식생을 복원할 경우 오히려 골프장이 녹지를 늘릴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우이령보존회·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모임 등 환경단체들은 “국립공원 바로 옆 보존해야 할 숲속에 골프장 건설은 안 될 말”이라며 “사패산터널에 이어 북한산국립공원을 두 번 죽이는 행위”라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남준기 기자 jknam@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